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與民由之 (여민유지)

    ▶한자풀이與: 더불 여  民: 백성 민  由: 말미암을 유  之: 어조사 지'백성과 함께한다'라는 뜻으로공직에 나가면 대의 실천에 힘씀을 이름- <맹자>대장부(大丈夫)는 큰 어른 남자라는 의미로, 남자다운 남자를 가리킨다. 여성의 경우엔 여장부라고 한다. <맹자> 등문공장구 하편에서는 대장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천하의 넓은 곳에 거하며, 천하의 바른 지위에 서며, 천하의 큰 도를 행하며, 뜻을 얻어 공직에 나아가면 백성과 더불어 말미암고, 뜻을 얻지 못하여도 홀로 그 도를 행하며, 부귀하여도 음란하지 않으며, 빈천하여도 뜻을 바꾸지 않으며, 위엄과 무력으로도 능히 굽힐 수 없는 사람이야말로 대장부라고 할 만하다.”천하의 넓은 곳은 인(仁)을 말하고, 바른 지위는 예(禮), 큰 도는 의(義)를 말한다. 여민유지(與民由之)는 백성과 더불어 말미암는다는 뜻으로, 공직에 나아가면 백성과 함께하며 옳은 길을 가도록 힘써야 한다는 말이다. 오늘날에는 정치에서 민의(民意)를 중시하고 백성과 함께하는 것을 이른다. 여민동락(與民同樂)도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한다는 의미로, 백성과 동고동락하는 통치자의 자세를 비유하는 말이다. 이 또한 <맹자>에서 유래한다.반면 주지육림(酒池肉林)은 중국 고대의 폭군들이 벌인 사치와 방탕한 생활을 상징하는 표현이다. 하나라의 걸왕과 상나라의 주왕이 자신들 애첩의 요청에 따라 술로 연못을 채우고 고기를 나무에 매달아 연회를 즐겼다는 일화에서 유래한다. 비유적으로 속세를 의미하는 말로도 쓰인다.고장난명(孤掌難鳴)은 한 손으로 쳐서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주와 신하가 마음을 모아야

  • 학습 길잡이 기타

    2차 관계식은 도형의 완벽함 그려내는 마법 주문

    Ax2 + By2 + Cx + Dy + E= 0라는 복잡한 식을 보면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식 속에 눈에 보이지 않는 아름다운 도형의 세계가 숨어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일차식인 이 좌표평면 위에 단순하고 명확한 직선을 그려내듯, 이 딱딱한 이차 관계식 또한 단순한 계산식이 아닙니다. 이 식은 곧 좌표평면 위에 도형의 완벽함과 우아함을 그려내는 마법의 주문입니다. 이제 그 신비로운 변신 과정을 함께 확인해보시죠.자, 이제 미지수가 x, y 2개인 이차방정식의 일반형을 떠올려봅시다.Ax2 + By2 + Cx + Dy + E= 0이 복잡한 식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을까요? 물론입니다. 오늘은 이차 관계식에 대해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이차 관계식을 이야기할 때, 적어도 x2이나 y2항은 하나라도 있어야 의미가 있습니다. 먼저 A는 0이 아니고 B가 0인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때 방정식은 Ax2 + By2 + Cx + Dy + E= 0의 형태가 됩니다. 이 식을 y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단, D=0이라고 가정합니다).Dy=−Ax2−Cx−E 양변을 D로 나누어 정리하면,이는 결국 우리가 익히 아는 y=ax2 + bx +c 꼴의 이차함수로 귀결됩니다. 이 함수를 좌표평면 위에 그리면 바로 포물선이 됩니다. 중학교 3학년 과정에서 배우는 것처럼, 이차항의 계수의 부호에 따라 그래프의 모양이 결정됩니다. 계수가 양수면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 음수면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 그려지게 됩니다. 이처럼 복잡해 보이던 이차 관계식의 특정 조건이 곧 우리에게 익숙한 포물선을 그려내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A=0이고 B가 0이 아닌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이때 방정식은 By2+Cx+Dy+E=0의 형태가 됩니다.이 식을 x에 대해 정리하면,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훈민정음으로 읽는 우리말 역사

    10월 9일로 우리 글자 한글이 세상에 빛을 본 지 579돌을 맞았다. 애초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이름을 달고 태어났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고유명사로서의 훈민정음은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하나는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른다. 다른 하나는 3년 뒤 세종 28년(1446년)에 이를 널리 반포할 때 찍어낸 판각 원본을 가리킨다. 이 책은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우리나라 국보이기도 하다.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의 가치이 대목에서 종종 오해하는 게 있다. 우리 글자인 훈민정음, 곧 한글이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지정됐다는 잘못된 믿음이 그것이다. 가령 “유네스코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할 정도로 과학적이고 아름다운 우리말(또는 한글)이 무분별한 외래어와 정체불명의 신조어로 신음하고 있다” 식으로 말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이는 우리말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잘 가꿔나가야 한다는 뜻에서 한 말이지만, 잘못된 표현이다. 유네스코 유산으로 지정된 것은 한글이나 우리말이 아니라 ‘훈민정음’ 판각본이기 때문이다.유네스코는 특정한 나라의 언어나 문자를 기록유산으로 지정하지 않는다. 한글, 즉 글자로서의 훈민정음이 등록된 게 아니라 ‘훈민정음 해례본’, 즉 책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된 것이다. 해설과 용례를 담고 있어 ‘훈민정음 해례본’이라고 부른다. 이 책은 오

  • 영어 이야기

    성공적인 한 해 'banner year'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NPS), South Korea’s state-run pension fund and the country’s largest institutional investor, is set to book a third straight banner year, driven by strong stock markets, according to the investment banking industry.Its investment returns have topped 11% through September, nearly 2 percentage points higher than that in the same period last year.The KOSPI index has repeatedly set record highs this month, exceeding the 3,400-point mark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powered by chipmakers, battery producers and platform companies.The NPS is the world’s third largest pension fund with more than 1,267 trillion won, or $907.8 billion, in assets under management as of end-June.In 2024, it posted an all-time high 15% return from its investment following the previous record high of 13.59% in 2023.The pension fund will release its official third-quarter return figures in November.국민연금공단(NPS)은 주식시장의 호황에 힘입어 올해도 3년 연속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9월까지 수익률은 11%를 넘어섰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포인트 높은 수치다.코스피지수는 이번 달 여러 차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3400포인트를 돌파했다. 이는 반도체 제조업체, 배터리 생산업체, 플랫폼 기업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인 데 따른 결과다.국민연금은 6월 말 기준 1267조원(약 9078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연기금이다.2024년 국민연금은 투자 수익률 15%로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 전년도 기록인 13.59%를 뛰어넘은 수치다.국민연금은 오는 11월에 공식적인 3분기 수익률을 발표할 예정이다. 해설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대형 연금 중 하나인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2200만 명에 달해 한국인 3명 중 1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개념을 사회현상과 연결, 해결책 제시안 능력 평가

     단국대 논술의 기본 성격단국대학교 인문계열 논술은 매년 세 문항 체계로 출제되며, 각 문항이 서로 다른 사고 과정을 점검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시문을 요약하고 적용하는 능력, 사회과학적 이론을 사회현상에 연결하는 능력, 그리고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안하는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한 글쓰기 시험이 아니라, 수험생이 교과서에서 배운 기본 개념을 실제 사회현상과 접목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출제 의도와 문항별 요구 사항을 종합하면, 단국대 논술은 크게 세 가지 역량을 중점적으로 봅니다. 첫째, 텍스트 요약 및 분석 능력입니다. 이는 주어진 제시문을 압축적으로 정리하면서 핵심 주제와 논지를 파악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둘째, 관점 비교 및 적용 능력입니다. 이는 대립하는 이론이나 상이한 관점을 현실 사례에 맞춰 논리적으로 적용하는 것입니다. 셋째, 구체적 해결 방안 제시 능력입니다. 이는 주어진 문제 상황을 다층적으로 분석하고, 정부·기업·개인 등 다양한 주체별 역할을 구분해 제시하는 사고력입니다.따라서 단국대 논술은 교과 지식의 단순 암기가 아닌, 교과와 현실을 결합하는 사고 과정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문항별로 기출(2025학년도)과 모의논술(2026학년도)을 비교·분석해 그 성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문제 전반의 구조이 학교의 문제는 다시 세 문항으로 구성되며, 요약과 적용, 대립 이론의 비교·평가, 자료 기반 해결책 제시로 이어지는 사고의 전 과정을 점검합니다. 1번 문제는 2개 이상의 제시문에서 핵심 논지를 정확히 추출하고, 이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在所自處 (재소자처)

    ▶한자풀이在: 있을 재所: 바 소自: 스스로 자處: 처할 처어떤 환경에 있는 것은 스스로 처한 것임스스로 선택에 따라 운명이 달라짐을 이름 -<사기>재소자처중국 진(秦)나라의 대신 이사(李斯)가 젊어서 아직 초(楚)나라 말단 관리직에 있을 때의 일이다. 어느 날 그는 변소에 있는 쥐가 사람이 오면 놀라 황급히 도망가는 모습을 보았다. 또 어느 날에는 창고에 들어갔는데, 거기 있던 쥐들은 곡식을 열심히 갉아먹으며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 않는 것을 보았다. 두 곳의 쥐를 본 이사가 탄식하며 말했다.“사람이 잘나고 못난 것이 쥐와 같구나. 스스로 어떤 곳에 처해 있느냐에 달려 있을 뿐이구나!(人之賢不肖譬如鼠矣 在所自處耳).”이사는 서로 다른 쥐의 모습을 보고, 처한 환경에 따라 현자와 군자에 오르기도 하고 우민과 소인으로 전락하기도 한다고 생각했다. 높은 자리에 오르려면 그럴 수 있는 환경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 이사는 곧장 제(齊)나라의 사상가 순자(荀子)를 찾아갔다. 순자의 수제자로 학문을 다진 이사는 당시 막강한 세력을 갖춘 진나라로 다시 떠났다. 진나라의 실권자였던 승상 여불위(呂不韋)의 눈에 든 이사는 진왕의 신임을 얻게 되었고, 천하 통일에 지대한 공을 세워 20여 년 동안 재상직에서 공명을 누렸다.<사기> 이사열전에 나오는 이야기다. 이 고사에서 유래해 재소자처(在所自處)는 어떤 환경에 처할지는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자신의 처세에 따라 인생이 좌우된다는 뜻이다.세상사는 모두 자신에게서 비롯된다. 흔히 운명이라고 하는 것도 게으르고 나태한 자의 자기변명인 경우가 많다.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는 “인생은 B(Birt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本立道生 (본립도생)

    ▶한자풀이本: 근본 본  立: 설 립  道: 길 도  生: 날 생근본이 세워지면 도(道)가 생겨난다기초가 서면 나아갈 길이 보인다는 뜻 -<논어><논어(論語)> 학이편에는 공자의 제자 유자(有子)가 효와 공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 나온다.“그 사람 됨됨이가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을 공경하면서, 윗사람에게 무례하게 구는 것을 좋아하는 자는 드물다. 또한 윗사람에게 무례하게 구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서, 반란을 일으키기 좋아하는 자는 아직까지 없었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니, 근본이 제대로 서면 도(道)가 생기는 법이다. 따라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을 공경하는 것은 인(仁)을 행하는 근본일 것이다(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이에 대해 한나라 때 학자 유향(劉向)은 저서 <설원(說苑)>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니, 근본이 확립되면 도(道)가 생기는 법이다’라는 말은 뿌리가 바르지 않으면 가지가 반드시 굽어지고 처음이 성대하지 않으면 끝에 가서 쇠퇴하는 것과 같다. 이 때문에 군자는 근본 세우는 일을 귀중히 여기고 처음 시작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다.”본립도생(本立道生)은 근본이 서야 도가 생긴다는 뜻으로, 기본이 바로 서면 앞으로 나아갈 길이 보인다는 말이다. 본립이도생(本立而道生)으로도 쓴다. 무슨 일을 하든지 기본이 충실해야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할 때 쓴다. 근본을 바르게 하고 근원을 맑게 함을 뜻하는 정본청원(正本淸源), 일을 시작할 때 성실하게 정성을 다하는 것은 아름답다는 뜻의 독초성미(篤初誠美), 뿌리가 깊어야 가지가 번창한다는 뜻의 근심지영(根深枝榮), 뿌리가

  • 영어 이야기

    빈털터리가 되다 'left holding the bag'

    When cryptocurrency exchange operator Bullish rang the bell at the New York Stock Exchange (NYSE) on Aug. 13, a 30-something South Korean investor stayed awake until dawn.He put in buy orders for Bullish just to get a few more shares. “I expect the price to soar,” he said.He is one of a growing number of retail investors, known in Korea as the Ants, who put their savings into overseas equities.According to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the most heavily bought overseas stock by Korean retail investors in the first half of August was Figma, a design platform for web and mobile applications.But prices can collapse just as suddenly as they rise, analysts warn.“For Korea’s overseas retail investors, the question is how many will be left holding the bag when the fever cools,” said a stock broker.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사인 불리시(Bullish)가 8월 1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상장 기념 타종 행사를 열었을 때, 한 30대 한국인 투자자는 새벽까지 잠을 이루지 못했다.그는 불리시 주식 몇 주라도 더 사기 위해 매수 주문을 넣은 뒤 “주가가 폭등할 거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저축한 돈을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이른바 한국에서 ‘개미’라 불리는 개인투자자 중 한 명이었다.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8월 상반기 동안 한국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매수한 해외주식은 웹사이트와 모바일앱 디자인에 사용되는 도구를 개발하는 피그마(Figma)였다.그러나 전문가들은 가격이 급등하는 만큼 갑작스레 폭락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서울의 한 증권사 관계자는 “해외주식 열기가 식었을 때 한국 개인투자자 가운데 얼마나 많은 이가 손해를 보고 남겨질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해설올 들어 한국은 물론 미국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