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 이야기
가뭄 끝에 단비 'blessed rain after a drought'
SK On has landed a deal to supply nearly 100 gigawatt hours (GWh)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to Japanese carmaker Nissan Motor Co. The Korean company, also the world’s fifth-largest battery maker, announced that it will supply Nissan with 99.4 GWh of high-performance, high-nickel batteries from 2028 to 2033.Considering that the battery cells were recently sold at $104 per kilowatt hour (kWh), the total order value is estimated at 15 trillion won ($10.3 billion). The batteries, enough to power 1 million midsize EVs, are expected to be manufactured in SK On’s new plant in the US state of Kentucky, which is set to embark on mass production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The deal comes as blessed rain following a drought to the money-losing Korean battery maker amid the protracted global EV chasm, or EV’s stalled transition to a mainstream auto segment.SK온이 일본 닛산자동차에 100GWh에 달하는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세계 5위 배터리 제조업체인 SK온은 2028년부터 2033년까지 닛산에 총 99.4GWh 규모의 고성능 하이니켈 배터리를 공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최근 배터리 셀 가격이 kWh당 104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 계약 규모는 약 15조원(103억 달러)으로 추정된다. 중형 전기차 약 100만 대에 들어가는 물량으로 올해 상반기부터 미국 켄터키주에 새로 지은 SK온 공장에서 대량 생산할 예정이다.이번 계약은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침체로 손실을 겪고 있던 SK온에 가뭄 속 단비 같은 희소식으로 여겨지고 있다.해설대표적인 친환경차인 전기차는 자동차 회사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전기차로의 전환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전기차 수요가 기대만큼 빠르게 증가하지 않아 전기차 제조사는 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알고나면 민망한 말 '샅샅이'
“조◇◇ 국민의힘 의원은 ‘박×× 장관은 스스로 장관에 앞서 여당 의원이라고 선언했다. 정치적 중립 따위는 발에 낀 때 같은 존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2년 1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여야가 난타전을 벌였다. 당시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서로 상대 당 대선후보를 둘러싼 의혹을 부각하며 대리전을 벌인 것이다. 정치적 공방은 늘 있는 것이고, 우리 관심은 조 의원이 비유하는 말로 인용한 ‘발에 낀 때 같다’란 표현에 있다.“사타구니 깊은 데까지 자세히”란 뜻일상에서 무심코 하는 말 중에 “발에 낀 때같이 여긴다”라는 게 있다. “발가락에 낀 때”라고 하기도 한다. 하찮고 대수롭지 않은 것을 강조할 때 쓰는 말이다. 이 말은 몇 가지 변형된 형태로 쓰이는데, 우리 속담에 “발새 티눈만도 못하다”라는 게 그중 하나다. 이는 발가락에 난 귀찮은 티눈만큼도 여기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남을 몹시 업신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이를 “발가락의 티눈만큼도 안 여긴다”라고도 하는데, 같은 말이다. ‘때’가 ‘티눈’으로 대체됐다.그런데 우리말을 좀 아는 사람은 이를 ‘발새에 낀 때’라고 한다. 또는 ‘발샅에 낀 때’라고 한다. ‘발새’는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가리킨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옥화가 당신을 좋아할 줄 아우. 발새에 낀 때만도 못하게 여겨요”(김유정, <두꺼비>)라는 용례가 보인다.‘발샅’ 역시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가리킨다. ‘발새’와 같은 말이다. 이때 보이는 ‘샅’이 흥미로운 말이다. 샅은 두 다리의 사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대중문화는 현실 속에서 어떻게 작용할까
이번 호에서는 사회문화 영역에서 다루는 ‘대중문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먼저 ‘대중’이라는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대중(大衆)은 첫째, 수많은 사람의 무리를 뜻하며, 둘째로는 대량생산·대량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사회의 다수를 말합니다. 흔히 엘리트와 대비되며, 수동적이고 감정적이며 비합리적인 특성을 가진다고 평가되기도 합니다.따라서 대중이 향유하는 문화, 대중을 중심으로 생산·소비되는 문화, 대중이 주체가 되는 문화를 ‘대중문화’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과거에는 ‘매스 컬처(mass culture)’라는 용어가 널리 쓰였으나, 최근에는 대중매체가 다수의 취향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파퓰러 컬처(popular culture, pop culture)’라는 표현이 더 일반화되었습니다. 대중문화는 가요, 영화, 드라마 등 사회 전반에 퍼진 문화적 흐름이며, 과거의 귀족 중심 고급문화와 달리 대중의 기호와 요구를 반영하며 매체의 발달과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과 같은 전통매체는 물론, 디지털 기술 기반의 뉴미디어는 대중문화의 확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대중문화는 사회적 유대감 형성, 문화 다양성 증진, 창의성 확대,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등 긍정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방탄소년단은 자아 존중과 정신 건강을 노래하며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렸고, 마블의 <블랙 팬서>, <샹치>는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조했습니다. <오징어 게임>은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면서도 세계적 인기를 얻었고, 틱톡과 같은 플랫폼은 누구나 콘텐츠를 생산·공유할 수 있는 문화 생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鐵中錚錚 (철중쟁쟁)
▶한자풀이鐵: 쇠 철 中: 가운데 중 錚: 쇳소리 쟁 錚: 쇳소리 쟁쇠붙이 중 유난히 맑게 쟁그랑거리는 소리같은 무리에서 가장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후한서(後漢書)>후한의 광무제는 천하를 통일하는 과정에서 적미(赤眉) 일당의 소탕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적미는 왕망 시대에 생긴 농민들의 반란군으로, 신성한 색으로 여기던 붉은색으로 눈썹을 물들여 자기네의 표식으로 삼았기 때문에 붙은 호칭이다. 처음에는 번숭을 두목으로 하여 낭야에서 일어났지만 봉안, 서선, 사록 등이 군대를 거느리고 합류해 오면서 세력이 커져 산둥성을 중심으로 광대한 지역에서 위세를 떨쳤다.유분자를 옹립해 황제로 받든 적미는 서쪽으로 세력을 펼쳐 장안에 침입하고 왕망을 쓰러뜨렸다. 광무제는 이런 막강한 적미 세력과의 싸움에서 적잖게 고전했으나 동방으로 이동하는 적미들을 하남에서 총공격을 가함으로써 그들의 항복을 받아냈다. 적미들이 항복한 다음 날 아침 광무제는 군대를 도열시켜 열병식을 거행하고 참관한 번숭과 서선을 돌아보며 말했다.“통찰력이 있는 인재라면 전세의 추이를 보고 벌써 귀순했을 것이다. 대세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자라면, 아직도 항복을 받아들이지 않고 버티고 있을 것이다. 그대들을 쇠에 비유한다면 좀 더 견고한 쇠로서 범인 중에 놓고 보면 얼마쯤은 두드러진 사람들임이 틀림없도다.”이는 서선 등의 항복이 결코 이른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고집을 부리는 어리석은 자들보다는 조금 낫다는 평가다. <후한서>에 전해오는 이 고사에서 유래한 철중쟁쟁(鐵中錚錚)은 쇠붙이 중 유난히 맑게 쟁그랑거리는 소리
-
학습 길잡이 기타
탄소발자국 계산해 탄소배출량 줄여보세요
4월 11일. 필자의 학교에서는 벚꽃이 만개해 전교생이 벚꽃 완상을 했습니다. 그런데 다음 날 갑자기 눈이 내려 벚꽃 위에 눈이 내려앉았습니다. 봄과 겨울이 뒤섞인 듯한 이상기후입니다.이상기후는 기온이나 강수량 따위가 정상적인 상태를 벗어난 기후를 말합니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극지방의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극단적 기후변화 때문에 폭염, 가뭄, 홍수 발생이 빈번해졌습니다. 또한 생태계도 영향을 받아 많은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습니다.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약칭 IPCC)의 보고서에 있는 위의 그래프 ( 미술팀서 작업 필요, 첨부 한글파일 참조 ) 에서 1850년부터 2020년까지의 지구 표면의 온도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몇십 년간은 기온 상승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의 추세가 지속된다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인류의 산업활동 등으로 비롯된 온실가스 배출 증가가 지목되고 있습니다. 대기 중 온실가스는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재방출해 지구 표면과 대기 온도를 높이는 온실효과를 유발합니다. 우리나라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 중립·녹색 성장 기본법」에서는 온실가스의 종류를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으로 정의합니다. 이 중에서 연료를 연소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7%를 차지하는데, 이는 산업화 이후 화석연료 사용 증가에 따라 대기 중 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보여 기후변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폭싹 속았수다'에 담긴 문법들
지난 3월 선보인 넷플릭스의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시리즈가 큰 인기를 끌며 연일 화제다. 드라마 주요 무대인 제주와, 제목으로 쓰인 제주 방언도 덩달아 주목받고 있다. ‘폭싹 속았수다’가 표준어를 쓰는 이들에겐 ‘완전히 속았네요’쯤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제주 방언에서 ‘폭싹’은 ‘매우, 몹시’란 뜻이다. ‘속았수다’의 기본형인 ‘속다’는 ‘수고하다’라는 의미다. 어미처럼 쓰인 ‘-수다’는 표준어 ‘-어요’에 해당한다. 이 말은 함남 지방 사투리로도 많이 알려졌다. 그러니 드라마 제목 ‘폭싹 속았수다’는 “정말 수고 많았습니다” 정도의 뜻이다. ‘ㄱ, ㅂ’ 받침 뒤에선 된소리로 적지 않아우리가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폭싹’이란 표현이다. 우리말의 소리 적기, 그중에서도 된소리 적기에 관한 것을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말은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안 나오고,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는 ‘폭삭’의 비표준어로 나온다.그런데 표준어 ‘폭삭’을 우리는 “폭삭 망했다” “폭삭 늙었다” 식으로 어떤 상태가 아주 심한 것을 나타내는 말로 쓴다. 이는 ‘보통보다 훨씬 더, 더할 수 없이 심하게’란 뜻을 담은 ‘매우, 몹시, 아주’ 같은 부사와 의미 자질이 비슷하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시중에서는 이 드라마의 제목에 쓰인 ‘폭싹’을 ‘폭삭’으로 바꿔 쓰는 경향이 있다.물론 표준어에선 ‘폭삭’만이 바른 표기다. ‘폭싹’은 허용되지 않는다. 여기에는 한글맞춤법의 된소리 표기 규정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소수 기반 RSA 해독…사막서 바늘찾기 만큼 어렵죠
“암호 편지 한 장이 한 나라의 여왕을 단두대로 이끌었다면, 우리는 암호를 단지 숫자의 장난으로 볼 수 있을까?”1586년, 스코틀랜드의 여왕 메리 스튜어트는 옥중에서 편지를 보냈다. 그 편지는 치밀하게 암호화된 기호와 문자로 이루어진 정치적 음모의 기록이었다. 여왕은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를 암살하려는 계획을 동료들과 공유했고, 그 내용을 철저히 숨겼다. 그러나 영국의 정보국이 암호문을 가로챘고, 토머스 펠리페스라는 수학자이자 암호 해독가는 그 안의 규칙을 해석해냈다. 그날 단두대에 오른 것은 여왕 한 사람의 운명만이 아니었다. 암호가 역사의 흐름과 권력의 균형을 바꾼 순간이었다.메리 스튜어트가 사용한 암호는 단순한 단일 치환 암호였다. 알파벳을 일정한 기호나 다른 문자로 바꾸는 방식으로, 당시로서는 강력한 보안 기술이었다. 예를 들어 A는 △, B는 □, C는 ☆ 등으로 바뀌고, 특정 단어들은 전체 기호 하나로 요약되기도 했다. ‘Queen(여왕)’은 하나의 상징 기호로, ‘Death(죽음)’는 약어처럼 표현했다.하지만 이 암호는 결국 문자의 등장 빈도와 반복 주기를 분석하는 수학적 방식에 의해 해독되었다. 펠리페스는 편지 전체에서 반복되는 기호를 세어, 가장 많이 등장하는 기호가 영어의 ‘E’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착안했다. 그리고 그 주기를 파악해 특정 간격마다 나타나는 기호의 구조를 분석했고, 그 주기 길이가 소수(예: 7)일 때 해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소수 간격에서 나타나는 반복은 암호문의 패턴을 읽어내는 결정적 열쇠가 되었다.이런 방식은 훗날 더 정교한 암호 체계로 발전했다. 특히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공개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공통범위에서 논술 출제…논리적 서술 과정 중요
경기대는 지난해에 처음 수리논술을 실시했고, 서울여대는 자연계열의 경우 올해부터 기존의 과학논술을 수리논술로 출제한다. 따라서 덕성여대를 포함해 위 3개의 대학은 미적분을 제외한 수학 공통 범위 (수학,수학Ⅰ,수학Ⅱ)에서 논술을 출제하는 대표적 중위권 대학이라고 할 수 있다. 미적분이 빠진 만큼 문제의 난이도는 평이한 편이지만, 약술형 논술이 아닌 일반 수리논술 전형이므로 답안의 논리적 서술 과정이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된다.난이도와 유형이 유사하므로 이들 대학의 기출문항 및 예시 논제를 바탕으로 답안 작성을 꼼꼼히 연습할 것을 적극 권한다. ◆ 경기대·서울여대·덕성여대 ◆ 수리논술 대비 포인트 1. 문제의 난이도가 비교적 평이하고 수능과의 연계성이 높아 수능 및 EBS 연계 교재와 연동하여 대비 가능.2. 약술형 논술이 아닌 일반 수리논술 전형이므로 꼼꼼하고 논리적인 답안 서술과정 훈련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