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2008년 한국, 대변혁이 온다

    무자년(戊子年) 쥐띠 새해가 활짝 열렸다. 한 해가 바뀐다고 특별히 달라질 것은 없다. 동쪽에서 떠올랐던 태양이 서쪽에서 떠오르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올해를 새로운 10년을 여는 첫 해로 꼽는다. 새해면 으레 나오는 거창한 '수사(修辭)'로 들릴 수도 있다. 그러나 올 한 해 국·내외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을 생각하면 단순한 수사만은 아니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우선 한국은 불과 얼마 전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10...

  • 커버스토리

    2008년 대전망 - 경제

    ●한국경제 기업 투자환경 개선 기대감 완만한 성장 예상…물가 불안이 복병 외환위기 속에서 새해를 맞았던 1998년부터 10년 동안 내내 우리는 "경제가 안 좋다"는 소리를 귀가 아프도록 들어야 했다. "경제를 꼭 살리겠습니다"라는 구호를 내걸고 대통령에 당선된 이명박 정부로 새출발하는 올해는 어떨까. ⊙ 기업 투자 환경 바뀐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기업인 출신인 내가 대통령이 된 만큼 기업들이 투자에 나설 것"이라고 자신했다. ...

  • 커버스토리

    2008년 대전망 - 사회

    ●한국사회 컴퓨터·TV·오디오가 통합, 단순하게… 한강 등 수상 레포츠 시대 활짝 열릴듯 올해 한국 사회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고령화와 여성의 사회 진출,디지털화 등 지난 5년은 물론이거니와 앞으로 5년도 넘게 사회를 관통할 '메가 트렌드'가 지속되는 가운데 △단순한 삶 △활력(청춘) △안전 및 환경 등이 사회의 핵심적인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에 대한 보호는 더욱 강화되고 여성에게 일과 가정 생활을 양립할 수 있는 각종...

  • 커버스토리

    시사이슈는 논술의 보고(寶庫)

    또 한 해가 저물어간다. 해마다 이맘 때면 신문마다 국내외 10대 뉴스나 분야별 10대 뉴스가 등장한다. 한 해를 정리하는 일은 언론만의 몫인가. 고등학생이라면,특히 수험생이라면 올해 10대 뉴스와 그 의미 정도는 한 번쯤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시사이슈 자체가 논술시험 주제는 아닐지라도 논술문제를 내는 교수님들이라면 시사이슈에서 영감을 얻은 문제의식을 논술에 투영하고 싶어하지 않을까. 예컨대 최근 수년간 대입 논술의 단골 주제였...

  • 커버스토리

    신정아 사건이 보여준 신호보내기와 인식부조화

    학력위조와 스캔들로 한국 사회를 뒤흔든 신정아·변양균 사건은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유명 인사들이 줄줄이 학력위조 사실을 고백했고,미술계·관료·대학·기업·은행들이 두루 엮인 터라 황색저널리즘과 '카더라방송'의 도배거리가 됐다. 그러나 이 사건은 그저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그칠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모순들의 종합선물세트이자 대입 논술에서 주문하는 다양한 사고의 재료도 된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학벌...

  • 커버스토리

    게임이론으로 복기해 보는 아프간 인질사태

    게임이론의 고전인 '죄수의 딜레마' 상황(도표 1)을 보자. 죄수 A,B가 강력범죄로 체포돼 각기 분리된 방에서 심문을 받는다. 검찰은 증거가 불충분해 죄수들의 자백이 필요하다. 죄수 한 명만 자백하고 다른 한 명이 부인하면 전자는 석방,후자는 가중처벌로 징역 10년이다. 둘 다 자백하면 징역 5년씩,둘 다 부인하면 확보된 증거로 징역 1년씩만 구형된다. 이때 죄수 A,B는 모두 부인하는 게 최선(징역 1년씩)이지만,죄수들은 고민 끝에...

  • 커버스토리

    사람들은 왜 유토피아를 꿈꿀까?

    토머스 모어의 소설 '유토피아'(1516년)에서 유래한 유토피아(utopia)는 그리스어로 없다는 의미의 ou와 장소를 뜻하는 topos의 합성어(영어로는 no place)이다. 문자 그대로 지구상에는 없는 곳이다. 문화권마다,종교마다 이 같은 유토피아적 개념이 있다. 에덴동산이나 젖과 꿀이 흐른다는 가나안,천국,극락에서부터 엘도라도,샹그리라,엘리시움,샴발라,무릉도원,이어도 같은 것들이다. 따라서 유토피아는 세상에 없는 곳이지만 유토피아...

  • 커버스토리

    유토피아의 꿈 … '헛된 망상'인가, '인간 본성'인가

    사람들은 현실생활이 어려울수록 종교에서 위안을 찾는다. 대다수 종교들은 믿는 자에게 현세의 복락,내세의 구원으로 위안을 준다. 기독교·이슬람교의 천국과 영생,불교의 극락과 정토,인도 종교의 윤회와 해탈 같은 것들이 그렇다. 종교에서의 천국 개념은 유토피아적 상상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보려는 노력들도 끊임없이 시도된다. 이때 '완벽한 세상' 역시 상상 속에 그려지는 유토피아다. 차별 없고,빈부격차 없고,계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