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미국發 도미노 금융위기 오나
지난 16일 미국의 5대 투자은행인 베어스턴스는 2억3000만달러(주당 2달러)에 또 다른 투자은행인 JP모건체이스로 넘어갔다. 2억3000만달러(원화는 약 2300억원)라면 베어스턴스의 맨해튼 본사 건물값(약 12억달러)의 4분의 1도 안 되는 헐값이다. 직접적인 원인은 '자금 위기'였다. 베어스턴스는 작년부터 금융시장의 '뇌관'이 되고 있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계 채권에 투자해 막대한 손실을 봤다. 급기야 회사에 돈이 부족하다는 소문...
-
커버스토리
금융위기는 왜 발생하지?
'비이성적 과열'투자가 거품 초래…버블 붕괴땐 연쇄 부도 전 세계에 또 한 차례 '금융위기'의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진원지는 놀랍게도 세계 경제의 중심인 미국이다. 미국의 집값 하락에서 비롯된 서브프라임 모기지(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이 집을 살 때 빌려준 돈) 부실파문은 금융시장을 뒤흔들더니 급기야 85년의 역사를 가진 우량 투자은행까지 속절없이 무너뜨렸다. 집을 살 때 금융기관은 집값을 감안해 돈을 빌려주는데 집값이 떨어지면서 빌...
-
커버스토리
금융시장은 어떻게 발전했나?
주식회사 제도 등장과 함께 증권 투자업 눈부신 발전…잦은 위기 부작용도 셰익스피어(1564∼1616)의 희곡 '베니스의 상인'에는 중세의 금융을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 한 토막이 나온다. 주인공 안토니오는 친구를 위해 유대인 고리대금업자 샤일록으로부터 빚을 제때 갚지 못하면 자기의 가슴살 1파운드를 제공한다는 조건으로 돈을 빌린다. 약속한 날 돈을 갚지 못해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하자 친구의 약혼자가 재판관으로 나타나 샤일록에게 원금의 1...
-
커버스토리
세계화 시대에 민족주의란…
"민족이란 대체 무엇입니까? 어째서 하노버(독일) 왕조는 하나의 민족이 아닌 반면 네덜란드는 하나의 민족입니까. 스위스는 세 개의 언어, 두 개의 종교, 서너 인종으로 구성돼 있지만 하나의 민족이라고 할 수 있단 말입니까? … 프랑스는 켈트족이기도 하고 이베리아족이기도 하며 게르만 민족이기도 합니다. 독일은 게르만족이기도 하고 켈트족이기도 하며 슬라브족이기도 합니다. … (중략) 민족은 영속적인 그 무엇이 아닙니다. 민족들은 새롭게 ...
-
커버스토리
민족주의를 둘러싼 3대 쟁점
허구인가 실체인가, 세계화 시대에 존속 가능한가, 민족이 먼저인가 세계시민이 먼저인가? 민족과 민족주의는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화두다. 민족주의의 근원에서부터 세계화로 인한 존속 가능성까지 논란이 일고 있다. 민족이란 과연 실체가 있는 개념인지, 미래에 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갑론을박이 진행 중이다. 민족주의를 둘러싼 쟁점에 대해 살펴본다. ⊙ 민족은 허구인가 실체인가? 일부 학자들은 민...
-
커버스토리
개방·다민족사회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 가슴열고 세계를 포옹해야
민족주의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산업혁명과 프랑스 대혁명을 거치면서부터다. 대혁명을 계기로 시민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자연히 민족 개념이 강조되었다. 왕이 국가를 통치하는 군주국가시대엔 '왕권은 신으로부터 내려온다'는 왕권신수설이 국가의 통치 이념이었다. 그러나 시민이 주인인 시민국가에서는 국민을 구분하는 경계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민족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민족의 정의에 대해서도 학자들간에 이견...
-
커버스토리
달러시대 막 내리나
'달러의 위기,달러 시대의 종말.' 요즘 신문에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국제 금융시장 동향을 전할 때 빠지지 않는 제목이다. 미국 달러화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돈이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달러는 세계 유일의 '기축통화'로 군림해 왔다. 기축 통화라는 것은 지구의 모든 나라들이 달러로 무역을 하고 달러로 돈 계산을 한다는 말이다. 달러는 미국 경제에 대한 절대적인 신임을 바탕으로 세계의 결제 및 준비 통화 역할을 했다. 또 그런 ...
-
커버스토리
흔들리는 달러 패권시대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최근 영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달러화가 금융시장에서 헤게모니(주도권)의 일부를 잃어가고 있으며 그 자리를 유로화가 채우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의 지적대로 달러의 위상이 흔들리면서 유로화가 세계의 기축통화로 역할을 확대해가고 있다. 달러의 기축통화 독점시대가 달러와 유로가 양분하는 과점시대로 바뀌는 양상이다. 과거에는 달러 가치가 하락하더라도 이를 대체할 만한 통화가 없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