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달러가치 떨어지면 원화가치 상승→수출상품가격상승 →가격경쟁력 약화→수출 줄고 경제 성장 둔화 환율은 매우 어려운 문제다. 그러나 지금은 세계화 시대다. 환율에 대해 알지 못하면 결코 세계인이 될 수 없다. 인내심을 가지고 공부해보자. 환율이란 어떤 나라의 돈과 외국 돈의 교환 비율로 외국 돈과 한 나라 화폐의 교환 비율을 말한다. 원·달러 환율은 우리 돈인 원화와 미국 돈인 달러화의 교환 비율이며 원·엔 환율은 원화와 일본 돈인 엔...
-
커버스토리
인간의 행동, 타고나는가 환경 탓인가?
'현대판 늑대 소년, 병원에서 하루 만에 탈출-모스크바 경찰 긴급 수색작전' 지난해 12월 국내 일간지에 소개된 한 외신 기사 제목이다. 러시아 경찰이 모스크바 인근 숲속에서 늑대처럼 살고 있는 한 소년을 발견해 병원으로 옮겼으나 하루 만에 뛰쳐나가 수색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외신은 '그 소년이 어떻게 사회에서 완전히 격리됐는지 알 수 없지만 러시아어를 전혀 하지 못하고 마치 늑대처럼 사람들을 할퀴고 대들었다'며 특별 사회 교육이 필요하다...
-
커버스토리
Nature vs Nurture 인간의 행동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사람의 행동은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 동서고금의 많은 철학자와 과학자들이 수 백년간 연구해 왔지만 아직까지 완전한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는 주제이다. 인간 행동은 유전자와 관계가 있다고 믿는 선천론자(유전자 결정론자)와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경험론자 사이에 전개되고 있는 이른바 본성 대 양육 논쟁이다. 논쟁은 유전자결정론의 우생학이 독일 나치즘의 유대인 말살 정책에 활용된 후 50년간은 잦아드는 듯했다...
-
커버스토리
비만이나 범죄는 유전자 탓이다!?
일란성 쌍둥이 비만(유전영향) vs 동양계 미국인 비만(환경영향) '죄인은 태생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인자를 갖고 태어나는가, 아니면 살아가면서 생활이 궁핍하거나 어쩔 수 없는 환경으로 인해 범죄를 저지르는가?' 그렇다면 범죄인은 교화할 수 있을까? '비만은 절제하지 않은 데서 오는 과식 행동의 결과인가, 아니면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하나의 유전적 질환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현실 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궁금증을 일으키는 것들이다...
-
커버스토리
안락사, 품위있는 죽음인가 의학적 살인인가
[#1] 1975년 카렌 앤 퀸란은 다이어트 중 음주로 뇌 손상을 입어 식물인간이 됐다. 카렌의 부모는 딸이 품위 있게 죽을 수 있도록 인공호흡기 제거를 요청했으나 담당의사와 병원은 이를 거부했다. 결국 뉴저지주 대법원은 가망 없는 카렌에게 인공호흡기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했다. 카렌은 정작 호흡기를 떼고도 식물인간 상태에서 9년을 더 살다가 1985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2] 테리 윌리스는 1984년 교통사고로 머리를 다쳐 식...
-
커버스토리
인간은 편안한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갖고 있는가
안락사 찬성론자든, 반대론자든 논거로 드는 것이 인간의 존엄성이다. 반대론자들은 기독교와 칸트 철학의 전통 아래 인간의 존엄성은 인간이란 사실 자체에서 생기며, 인간이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주장한다. 윤리적으론 타당해 보이지만 비용 등 현실적 문제에는 해답이 없다. 반면 찬성론자들은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것이 존엄한 것이며, 인생의 질은 고려하지 않고 양(시간)만 연장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맞선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죽음에...
-
커버스토리
생글기자 지상토론 - 안락사
생명을 정말로 존중한다면 허용해야 찬 영화 '밀리언 달러 베이비'를 보면 주인공 프랭키는 사지가 마비된 채 안락사를 원하는 매기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준다. 힐러리 스웽크의 고난했던 삶과 진정한 사랑의 결과란 것을 알게 된 관객들은 누구나 프랭키의 '범법행위'에 공감할 것이다. 이처럼 안락사는 경우에 따라선 누구나 공감하고 필요성을 느끼는 것이기도 하다. 안락사 제도가 존재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환자 스스로가 존엄하게 죽을 자기 결정...
-
커버스토리
양심적 병역거부 어떻게 볼 것인가
우리는 종교 신자(또는 무신론자)인 동시에 국민이다. 반전 사상에 기울 수도 있고 애국주의 신봉자가 될 수도 있다. 신체 조건에 따라 군대에 갈 수도,안 갈 수도 있다. 우리는 대한민국의 주인이기도 하고 구성원이기도 하다. 여기서 한번 생각해 보자. 국가가 부여한 의무와 내 신념이 서로 상충할 때 어느 쪽을 우선해야 하는가. 내 신념과 타인의 신념이 충돌한다면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 국가가 주는 혜택(국방, 치안, 안전 등)과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