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41) 닐 포스트먼 '테크노폴리'(Technopoly)

    과학기술이 정말 인류를 행복하게 할까? 현대인의 생활에서 과학기술이 끼친 영향을 제외한다면 아마 우리는 한순간도 제대로 살아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젠 필수품이 된 휴대폰과 컴퓨터는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며, 버스 지하철 등 교통수단과 함께 현대인의 공간적 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00년 전 우리 선조의 삶과 현재 우리 삶을 비교해 보면, 분명히 우리는 발달한 현대 과학기술 덕분에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누리고 ...

  • 교양 기타

    (40) 조식의 '남명집(南冥集)'

    정승 열명 낸 집보다 처사 한명 낸 집이 더 낫다 '처사(處士)'란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지. 요즘 일상생활에서는 '처사'란 말을 거의 쓰지 않지만 아직도 절에서는 남자 신도를 부를 때 사용하는 말이다. 옛날 우리 조상들은 '정승 열을 낸 집보다 처사(處士) 한 명을 낸 집이 더 낫다'고 말하기도 했다. '처사'가 무엇이기에 막강한 권력을 상징했던 '정승' 열 명보다도 낫다고 한 것일까? 조선시대 퇴계 이황과 더불어 영남학파의 양대 산맥인...

  • 교양 기타

    (39) 메리 W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혹은 근대의 프로메테우스'

    1818년 메리 W 셸리(Mary Wollstonecraft Shelley)가 쓴 『프랑켄슈타인, 혹은 근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는 인간에게 불을 전해준 프로메테우스를 끌어들인 데서 알 수 있듯이 인류의 미래를 바꾸고 싶은 과학자 프랑켄슈타인에 대한 이야기다. 물론 프랑켄슈타인 박사는 진정한 프로메테우스가 되지 못했다. 밀턴의 『실낙원』과 성서의 '창세기'를 패러디해 실패한 ...

  • 교양 기타

    (38)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러시아 혁명 풍자…20세기 최고 정치 우화소설 조지 오웰(본명 에릭 아서 블레어, 1903~1950)의 『동물농장』은 러시아 혁명을 풍자한 소설이다. 실제 사건 및 인물들을 우화의 형식을 통해 신랄하게 풍자한 20세기 최고의 정치 우화소설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우화소설의 무대는 농장이고, 여기에 나오는 일단의 농장 동물들은 러시아 혁명가들이나 정치 사상가들을 상징하고 있다. 이 책 전반에 걸쳐 오웰의 문장 스타일은 단순, 명료,...

  • 교양 기타

    (37) 미셸 투르니에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방드르디,태평양의 끝』은 현대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미셸 투르니에(1924~ )의 데뷔작이자 대표작이다. 제목의 방드르디는 프랑스어로 금요일이란 의미인데,『로빈슨 크루소』의 프라이데이를 대신하는 인물이다. 작가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내가 볼 때 1719년에 나온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에는 극도로 충격적인 두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우선 그 소설에는 방드르디(프라이데이)가 있으나마나 한 존재로 취급되어 있어요. 그는 단순...

  • 교양 기타

    (36) 제임스 러브룩 '가이아: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지구는 살아있는가? ◆제임스 러브록(James Lovelock,1919~) 영국의 과학자이자 발명가, 저술가로서 1994년 이후 옥스퍼드대 그린칼리지의 명예 객원교수를 맡고 있다. 가이아 이론은 1979년 『Gaia: A New Look at Life on Earth』 이란 책을 통해 주장한 새로운 가설이다. 국내에선 『가이아: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로 번역되어 나왔다. 가이아(Gaia)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대지의 여신'으로...

  • 교양 기타

    (36) 리처드 도킨스 '눈먼 시계공'

    인간이 우연히 생겨날수 있겠는가? 창조론 논박 『이기적 유전자』의 저자인 리처드 도킨스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진화생물학자 중의 한 명이다. 도킨스가 특별한 이유는 그만의 탁월한 설명력에 있다. 그의 『눈먼 시계공』은 인간의 머리 속에서 창조론을 몰아내는데 가장 강력한 무기로 간주되고 있다. 지금까지 어느 무신론적 철학자도 창조론을 이보다 효과적으로 논박한 적이 없었다. 또 어느 과학자도 도킨스만큼 훌륭하게 적들을 굴복시키지 못했...

  • 교양 기타

    (35) 앨프리드 W. 크로스비 '수량화 혁명'

    근대 과학문명이 왜 유럽에서 발전하게 됐을까? 10세기까지만 해도 유럽은 이슬람이나 중국에 비해 문명의 발전이 한참이나 뒤떨어진 지역이었다. 하지만 16세기에 이를 즈음 유럽인들은 다른 문명에 앞서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시작했고 근대화를 이뤄나갔다. 이후 유럽 제국주의는 탁월한 항해술과 우수한 무기를 바탕으로 다른 대륙을 정복했고, 20세기 초까지 식민지 지배를 계속하였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 수 있었을까? 근대 과학문명의 발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