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5) 플라톤 '국가'

    # 플라톤(Platon, B.C.429~B.C.347) 고대 그리스 철학자. 정치에 꿈이 있었으나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계기로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였다. B.C.385년경 아카데메이아를 창설하였고, 시칠리아를 방문하여 시라쿠사의 참주(僭主) 디오니시오스 2세를 통해 이상 정치를 실현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플라톤의 사상은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는 이성주의와 철인이 국가를 통치해야 한다는 유토피아적인 정치 철학이 골격을 이루고 있다. 영국 철...

  • 교양 기타

    (4) 소크라테스의 대화록(下)

    오늘은 소크라테스의 대화록 두 번째 시간입니다. 먼저 전편에 다루었던 소크라테스의 핵심 사상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소크라테스는 기존의 철학자들처럼 외적 세계(자연과 우주)를 탐구하지 않고 인간의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었습니다. 핵심사상은 회의(懷疑)를 통해 명료한 통찰력을 갖추게 되는 인간의 지혜(智慧)가 도덕적 가치와 국가 통치의 기준이 된다는 것입니다. 지혜롭지 못한 민중들에 의해 정책이 결정되는 민주주의는 어리석은 제도라고 비판...

  • 교양 기타

    (3) 소크라테스의 대화록 (上)

    안녕하세요? 생글 독자 여러분.오늘은 '너 자신을 알라'는 명언으로 유명한 소크라테스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저서를 남기지 않았습니다. 그의 제자 플라톤이 스승의 행적과 사상을 기록한 '대화'를 통해서 알 수 있을 뿐입니다. ■ 소크라테스(Socrates,BC 469~BC 399) 철학의 아버지로 불릴 만한 인물.키케로는 "철학을 하늘에서 땅으로 끌어내린 사람이 소크라테스"라고 말했다. 도덕이란 무엇인가,지혜란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질문했다...

  • 교양 기타

    (2) 장자(莊子) <下>

    오늘은 '장자' 두 번째 순서입니다. 먼저 전편에 다루었던 장자의 주요 사상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장자 사상의 핵심은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행위'라는 뜻을 담고 있는 '무위자연(無爲自然)'입니다. 인위적인 힘을 통해서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려는 유가와 법가 사상은 오히려 자연 질서를 파괴하는 잘못된 사상 체계라고 봅니다. 장자의 특징은 시비도리(是非道理)를 가리지 말라는 일종의 자유방임적 정신 체계입니다. 굳이 현대 사...

  • 교양 기타

    (1) 장자(莊子) <上>

    생글 독자 여러분에게 새로운 기획을 선보입니다. 주요 고전 속에서 우리가 반드시 읽어두어야 할 문장들을 선별해 간단한 해설과 함께 싣습니다. 학생들이 원전을 다 읽어낼 수 없고 또 읽어낸다 해도 정작 핵심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지난 2000여년 동안 인류의 주요 사상들이 어떤 궤적을 그려왔는지를 알지 못하고는 비록 한 두 문장을 암기한다고 해서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이번 호부터 게재되는 '고전 속 제...

  • 교양 기타

    (45) 새뮤얼 헌팅턴 '문명의 충돌'

    '냉전의 시대' 지나 서로 다른 문명의 갈등 냉전 체제가 끝나고 세계화가 본격화되면서 세계는 평화의 시기를 맞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자국의 이익을 위한 크고 작은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현실 속에서라면 보편 이념을 바탕으로 한 세계 시민 사회를 모색했던 칸트의 주장은 한 철학자의 이상적인 꿈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이미 일정 정도 이념적 갈등이 마무리된 시점에서 무엇이 분쟁의 요소로 등장할 것인가? 새뮤얼 헌...

  • 교양 기타

    2006학년도 서울대 수시 특기자 전형문제 (44)

    이혼 늘어난 현대사회 … 행복은 무엇인가? * 연령별 인구 및 이혼율의 추이에 반영된 사회변화를 고려해 볼 때, 이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행복해졌다고 할수 있는가? 제시문을 비판적으로 참고하여 논술하시오. [제시문 A] 인류는 苦痛과 快樂이라는 자연의 두 主權者에게 지배당해 왔다. 지금 무엇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지 지시하고,또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바로 그 고통과 쾌락인 것이다. 한편으로는 善惡의 기준이,다...

  • 교양 기타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인간은 왜 사는지 … 행복이란 무엇인지 … "한 마리의 제비가 날아온다고 봄이 오는 것이 아니요,하루 아침에 여름이 되는 것도 아닌 것처럼,인간이 복을 받고 행복하게 되는 것도 하루나 짧은 시일에 되는 것이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의용으로 작성한 초고를 그의 아들 니코마코스가 편집하여 엮은 책이다. 전체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은 '인간을 위한 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한 원리론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