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 기타
(50) 마키아벨리 '군주론'
"국가는 도덕으로 통치하는 것 아니다" … 근대정치론의 시작 근대 정치학의 토대가 되고 있는 군주론은 권력을 얻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권모술수주의로 인식되어 오랫동안 비난을 받아 왔다. 그러나 마이카벨리가 이 책을 서술할 당시 이탈리아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그의 작품이 정치적 혼란을 극복하려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그가 살던 시대는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처럼 군소 국가들의 대립, 외세 침략 등으로 혼란스러운...
-
교양 기타
(49) 한나 아렌트 '폭력의 세기(On Violence)'
전쟁과 혁명의 공통분모는 폭력 일찍이 시몬느 베이유는 폭력이 난무하는 상황(예컨대 전쟁)에서 "폭력은 폭력의 피해자를 사물로 뒤바꿔 버린다"고 말했다. 언론을 통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피해 상황과 사상자 수는 사태의 규모,그 이상의 것을 짐작하지 못하게 한다. 사망자 카운트가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존재했을 떨림과 두려움, 고통, 소식을 전하는 손가락의 잔인함은 '타국에서 발생한 재앙을 구경하는 현대적인 경험'(수잔 손택,<타인의 고통&g...
-
교양 기타
(47) 앨빈 토플러 '부의 미래' (하)
미래의 석유인 지식을 찾아 나서라 ◆원문 읽기 미국,일본,중국,EU 등 오늘날의 주요 경제국들은 그들 누구도 원치 않는 위기를 향해 달리고 있다. 정치 지도자들은 그것에 미처 대비하지 못해 미래의 경제적인 진보를 제한하게 될 것이다.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이 위기는 비동시화 효과(de-syncronization effect)의 직접적인 결과로,심층 기반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반인 '시간(time)'을 생각 없이 다뤄서 생겨난 문제다...
-
교양 기타
(46) 앨빈 토플러 '부의 미래' (상)
새로운 富 창출시스템을 찾아라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 1928년 뉴욕에서 출생하였다. 1949년 뉴욕대학교를 졸업한 뒤 중서부 공업지대에서 용접공으로 일하면서 노동조합 관련 잡지에 글을 기고하여 문필가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면서 저널리스트가 되었다. 1980년 출판된 대표작 '제3의 물결(The Third Waves)'은 고도 정보화 사회에 대한 시나리오로 돌출적인 사회 현상을 신문 잡지 식으로 다루어, 그 저류(底流)...
-
교양 기타
(45) 도스토예프스키 '지하생활자의 수기'
인간이 합리적이어서 존엄하다고? 도스토예프스키(1821~1881) 소설의 주인공은 언제나 지하생활자다. 그의 대표작 '죄와 벌'에서 살인을 저지른 라스콜리니코프도 그렇고,이 책의 주인공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작가는 주인공의 이상한 캐릭터를 통해 하나의 위대한 사상을 말하고 있다. 인간의 존엄성은 자유에 있으며, 자유는 이성보다 비합리성에 있다는 것이다. 그의 소설 주인공이 하나같이 엉뚱하고, 변덕스럽고 기괴한 이유가 바로 그 때문...
-
교양 기타
(44) 제임스 트위첼 '욕망, 광고, 소비의 문화사'
예술인가, 쓰레기인가 제임스 트위첼(James B.Twitchell) '광고와 문화'에 대한 독특한 접근법으로 세계 문화비평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저명한 문화사가이자 인문학자이다. 미국 플로리다대 영문학ㆍ광고학 교수이며, 미국 최고의 광고잡지인 '에드에이지'에 고정칼럼을 쓰고 있다. 저자는 마케팅 전문가로서 광고학자는 아니기 때문에 책을 읽다보면 일반 독자들의 시선과 쉽게 교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책이 다루고 있는 내용에 비해 무척 ...
-
교양 기타
(43) A. N. 화이트헤드 '관념의 모험' (Adventures of Ideas)
정신의 모험이 없는 문명은 쇠퇴한다 문명의 진보란 어떻게 가능한가? 형이상학이 철학의 공공연한 적으로 간주되던 20세기 초,묵묵히 자신만의 독자적인 형이상학적 사변체계를 웅장하게 건설한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1861~1947). 그의 역작 『관념의 모험』(1933)은 인류로 하여금 문명을 향해 서서히 나아가도록 한 관념의 영향을 기술한 인류 역사에서의 '관념의 모험'이자,동시에 이런 역사상의 모험을 설명해줄 관...
-
교양 기타
(42)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니체, 폐허 위에서 예술을 논하다 "진리는 추악하다. 우리는 진리로 말미암아 멸망하지 않도록 예술을 가지고 있다." -니체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는 늘 변화한다. 철학자들은 이렇게 변화하는 현상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데아, 원상, 실체, 물(物) 자체 등의 개념으로 튼튼한 집을 지었다. 그러던 어느 날 니체(F.W.Nietzsche 1844~1900년)가 망치를 들고 나타나 튼튼하게 보였던 집을 마구 부수기 시작한다. 현상의 배후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