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 기타
(8)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인간은 유전자의 복제욕구 수행하는 '생존기계' ▶리처드 도킨스(Clinton Richard Dawkins,1941~) 행동생물학자(ethologist).옥스퍼드 대학 생물학 교수.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 이론으로 사회생물학 논쟁을 불러일으키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동물들의 행동과 자연 선택(natural selection) 간의 관계를 밝히고 유전자가 진화에 있어서의 주 선택 단위(unit of selection...
-
교양 기타
(7) 칼 포퍼 ② ‥ 이데아 -> 변증법
포퍼는 '이성(reason)'에 대한 과신을 버리라고 말한다. 이때 이성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인간의 합리적 추론 능력 자체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인식된 이성',다시 말해 하나의 관념체계를 말한다. 추론된 세계관을 하나의 고정불변하는 절대가치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포퍼는 그런 세계관의 하나로 역사에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고 생각하는 역사주의를 예로 들었다. 포퍼가 서구 지성사에서 만악의 근원으로 꼽고 있는 사상의 원...
-
교양 기타
(6) 칼 포터 ① ‥ '유토피아가 곧 닫힌사회' 알아야
안녕하세요? 생글 독자 여러분.오늘 함께 할 인물은 '칼 포퍼'입니다. 인류의 대재난이었던 2차 세계대전의 원인으로도 지적되는 전체주의적 정치 체제를 비판하고,사회 구성원들의 합리적인 비판과 토론이 살아있는 '열린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한 과학철학자입니다. 플라톤,헤겔,마르크스를 비판했으며 소위 이상사회를 건설한다는 관념적 이념 지상주의가 역설적으로 인류사회 비극의 씨앗이 된다는 점을 냉철한 언어로 비판한 철학자로 유명한 사람입니다. 오늘...
-
교양 기타
(5) 플라톤 '국가'
# 플라톤(Platon, B.C.429~B.C.347) 고대 그리스 철학자. 정치에 꿈이 있었으나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계기로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였다. B.C.385년경 아카데메이아를 창설하였고, 시칠리아를 방문하여 시라쿠사의 참주(僭主) 디오니시오스 2세를 통해 이상 정치를 실현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플라톤의 사상은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는 이성주의와 철인이 국가를 통치해야 한다는 유토피아적인 정치 철학이 골격을 이루고 있다. 영국 철...
-
교양 기타
(4) 소크라테스의 대화록(下)
오늘은 소크라테스의 대화록 두 번째 시간입니다. 먼저 전편에 다루었던 소크라테스의 핵심 사상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소크라테스는 기존의 철학자들처럼 외적 세계(자연과 우주)를 탐구하지 않고 인간의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었습니다. 핵심사상은 회의(懷疑)를 통해 명료한 통찰력을 갖추게 되는 인간의 지혜(智慧)가 도덕적 가치와 국가 통치의 기준이 된다는 것입니다. 지혜롭지 못한 민중들에 의해 정책이 결정되는 민주주의는 어리석은 제도라고 비판...
-
교양 기타
(3) 소크라테스의 대화록 (上)
안녕하세요? 생글 독자 여러분.오늘은 '너 자신을 알라'는 명언으로 유명한 소크라테스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저서를 남기지 않았습니다. 그의 제자 플라톤이 스승의 행적과 사상을 기록한 '대화'를 통해서 알 수 있을 뿐입니다. ■ 소크라테스(Socrates,BC 469~BC 399) 철학의 아버지로 불릴 만한 인물.키케로는 "철학을 하늘에서 땅으로 끌어내린 사람이 소크라테스"라고 말했다. 도덕이란 무엇인가,지혜란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질문했다...
-
교양 기타
(2) 장자(莊子) <下>
오늘은 '장자' 두 번째 순서입니다. 먼저 전편에 다루었던 장자의 주요 사상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장자 사상의 핵심은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행위'라는 뜻을 담고 있는 '무위자연(無爲自然)'입니다. 인위적인 힘을 통해서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려는 유가와 법가 사상은 오히려 자연 질서를 파괴하는 잘못된 사상 체계라고 봅니다. 장자의 특징은 시비도리(是非道理)를 가리지 말라는 일종의 자유방임적 정신 체계입니다. 굳이 현대 사...
-
교양 기타
(1) 장자(莊子) <上>
생글 독자 여러분에게 새로운 기획을 선보입니다. 주요 고전 속에서 우리가 반드시 읽어두어야 할 문장들을 선별해 간단한 해설과 함께 싣습니다. 학생들이 원전을 다 읽어낼 수 없고 또 읽어낸다 해도 정작 핵심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지난 2000여년 동안 인류의 주요 사상들이 어떤 궤적을 그려왔는지를 알지 못하고는 비록 한 두 문장을 암기한다고 해서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이번 호부터 게재되는 '고전 속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