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 기타
2004학년도 건국대 정시 논술문제 해설
현대사회 바람직한 가족관은 무엇인가 ※지문 (가)의 논지를 근거로 하여 (나)와 (다)에 나타난 가족관의 차이를 밝히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 (가) 가정 하면 우리는 자유 행복 사랑 프라이버시 등의 단어를 떠올린다. "집 떠나면 고생이다"는 말도 있듯이 가정은 우리가 편안히 먹고 입고 자는 곳이다. 바깥에서 지친 우리의 심신이 마음놓고 쉴 수 있는 곳이다. 가정에서 자녀는 사랑을 받으며 양육된다. 메마르고 각박한 바...
-
교양 기타
울리히 벡, 엘리자베트 벡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사랑 … 결혼 … 가정 … 우리가 서 있는 위치는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한 삶을 꿈꾼다. 어느 누구도 불행하기 위해 살아가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인간의 삶에 있어 진정성을 의심받지 않는 유일한 명분은 행복일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사랑,결혼,가정은 행복이라는 삶의 명분을 내세우는 대표적인 양식일 수 있다. 울리히 벡과 그의 아내 엘리자베트 벡-게른샤임의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은 사랑,결혼,가정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을...
-
교양 기타
2005학년도 고려대 수시2학기 논술문제
다른 문화간의 교류 얻는 것 ㆍ잃는 것 I.제시문 (가), (나), (다)의 내용을 각각 요약하시오.(110~140자) II.세 개의 제시문을 연관시킬 수 있는 하나의 주제를 찾아내어 제시문들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그 주제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시오.(650~750자) (가) 유럽인들의 남미 대륙 진출이 개시되었을 때 남부 브라질에는 언어와 문화에서 상호 관련성을 지닌 원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 지역의 여러 부족은 유럽인들...
-
교양 기타
2005학년도 고려대 수시2학기 논술문제 해설
文化교류 ; '획일화' 냐 '융합화' 냐 주장 다양해 이번 논제는 문화 간의 교류에 대한 각자의 입장을 묻고 있다. 세 개의 제시문에는 문화 간의 교류 및 접촉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획일화·동화의 문제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이 나타나 있고,수험생들은 이 세 제시문의 논리적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써야 한다. 특히 제시문에 대한 요약문을 작성하는 것과 각 제시문 간의 연관관계를 밝히는 것이 주요한 평가 요소므로 이 부분에...
-
교양 기타
마빈 해리스 '문화의 수수께끼'
당신이 어떤 수수께끼는 풀 수 없는 수수께끼라고 믿는 한 그 수수께끼는 결코 풀리지 않는다. …중략… 여러 유형의 문화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인간의 삶이 단순히 되는 대로의 것이거나 변덕스러운 것은 아니라는 가정에서 시작해야 한다. 이런 가정에서 시작하지 않는다면 전혀 이해하기가 불가능하게 보이는 관습이나 제도에 부딪치면 포기해 버리고 싶은 유혹을 견딜 수 없게 된다. …중략… 아주 기이하게 보이는 신앙들이나 관행들이라 해도 면밀히...
-
교양 기타
2006학년도 동국대학교 수시2학기 논술 문제(38)
※제시문 [가]와 [나]를 읽고,접속의 시대에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측면의 인간 관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구체적 사례를 들어 논증하시오. (501~600자) [가] 과학이 발달하기 전만 해도 이러한 것들(출제자 주:만족과 효용)을 느끼기 위해선 대상물을 소유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실제로 가지고 있어야 접속할 수 있고 그래야 추억과 효용을 느낄 수 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과학이 점점 발달하면서 그 대상물을 소유하지 않고도 접...
-
교양 기타
논제에서 무엇을 요구하는지 먼저 이해하라
논술은 항상 지금 이 자리에서 시작한다. 어떤 논제도 현재의 시대적 특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논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 중요한 것은 논제에서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이해다. 이번 논제처럼 현대 사회는 '접속의 시대다'라고 전제하고 있다면,이미 전제하고 있는 시대적 특성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기해서는 안 된다. 우선 출제자가 바라보는 현대 사회에 대한 진단에 동의한 상태에서 자신의 견해를 전개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자칫 논의 ...
-
교양 기타
(37) 제레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접속의 시대' 인간관계는 어떻게 변할까 온갖 종류의 관계가 우리 생활의 한가운데로 온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데카르트의 명제는 '나는 접속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새로운 명제로 바뀌었다. 인터넷 통신을 통해 알게 된 남녀가 서로의 실연의 상처를 보듬는 과정에서 사랑을 느끼게 된다는 영화 『접속』은 한때 많은 사람들에게 채팅에 대한 로망을 심어주었다. 현실 공간이 아닌 사이버 공간에서,실명이 아닌 ID로 접속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