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케이스 젠킨스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 Keith Jenkins, Re-thinking History, 1991 ) 케이스 젠킨스는 영국 잉글랜드 남동부의 웨스트 서섹스(West Sussex)에 있는 치체스터 대학교의 역사담당 조교수다. 그는 '포스트모던' 역사연구 분야에서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이미 고전의 반열에 올라 있는 다른 역사학 이론서를 제쳐두고 듣도 보도 못했을지도 모를 이 책을 읽을 것을 제안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고전(古典)'이라는 딱지가 기존의 권위...

  • 교양 기타

    오리엔탈리즘과 배타적 민족주의는 닮은꼴

    [가] 저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오리엔탈리즘에 대해 이야기를 좀 더 나눠 보고 싶군요. 제국주의 시기에 서양인들은 자원 착취와 시장의 확보라는 두 가지 목적으로 해외에 진출해야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역사 문화 지리 사상 등과 관련된 해외 원주민들에 대한 정보를 얻어야 했죠. 이런 식으로 제국주의 시기에 서양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동양에 관한 지식의 체계가 '오리엔탈 스터디' 곧 '동양학'입니다. 그들은 세계를 서양 동양으로 나누고 '서양...

  • 교양 기타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스웨덴의 스톡홀름 근교에 가면 방대한 규모의 아름다운 궁전을 만나게 된다. 드로트닝홀름이라는 이름의 이 궁전은 18세기에 건축된 왕궁과 넓은 정원으로 베르사유 궁전을 모델로 지어졌다고 한다. 그런데 이 궁전을 거닐다 보면 재미있는 별궁이 나오는데 그 양식이 중국풍이다. 이 이국적인 궁전은 왕비를 위한 왕의 특별한 선물이었다고 한다. 이를 통해 적어도 당시의 유럽에서 중국풍이라는 것이 대단히 고급스럽고 값비싼 '트렌드'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 교양 기타

    실전 해제

    다음 제시문 (가) (나) (다)에는 죽음에 대해 인간이 가질 수 있는 태도가 각기 다르게 드러나 있다. 이들의 다른 점을 기술하고,이를 논거로 활용하여 인간이 죽음에 대해 가져야 할 태도가 무엇인지 논술하라. ---------------------- [가] - 플라톤 '파이돈'에서 "오오 나의 벗이여"라고 소크라테스가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이 진리라고 하면 이제 인생의 여로의 마지막에 이르러 지금 내가 가고자 하는 곳으로 감에 있어,...

  • 교양 기타

    플라톤의 대화편 '파이돈'

    1. 플라톤의 철학적 방법 플라톤의 '대화편' 속 주인공인 소크라테스(그런 점에서 플라톤의 소크라테스라 해야 할 것이다)는 아무리 하찮은 사람의 이야기도 그냥 흘려 듣는 법이 없다. 그 사람이 아무리 멍청하고 우스운 질문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해 대화를 이끌어 나간다. 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무뢰배,도통 귀를 닫고 모르쇠로 일관하는 사람에게도 좌절하지 않는다. 장소와 사람은 다르지만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삶의 의미를,본질을,이데아를 찾아 나...

  • 교양 기타

    2005년 고려대 정시 논제

    다음 네 개의 제시문에 공통되는 주제를 말하고 제시문들 사이의 관계를 밝히시오. 그리고 그 주제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시오.(2005년 고려대 정시 논제) 1. 우리가 가진 근본 욕구들 중에는 도덕적 충동에 따라 행동하려는 욕구가 있다. 그러나 큰 조직에서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있는 자유를 불가피하게 억압받고,조직의 규칙을 준수하도록 강요받는다. 그 규칙은 인간에 의해 고안되었지만 인간 자체는 아니다. 아무리 세심하게 만들어졌어도...

  • 교양 기타

    작은 것이 아름답다

    E.F 슈마허(이상호 옮김, 문예출판사, 2001)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성장을 외면하지 않으면서 생태계의 파괴를 지양할 수 있는 반성과 전망을 담고 있다. 생태계의 파괴는 인류 문명 전체에 대한 하나의 명백한 위협으로 대두되고 있다. '파생된 사유체계로서의 경제학',즉 메타경제학적 관점으로 현실을 보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도 이러한 성장과 생산에 대한 근대인의 일방주의를 돌아보기 위해서다. "지난 100년 동안 과학기술의 발전은 기회...

  • 교양 기타

    2005년 성균관대학교 정시 논제

    - 영문 제시문은 한글 번역문으로 바꾸었음. 1. 은 한 학자가 문화와 관련해 음악에 대해 쓴 글이다. 이 글의 논지를 자세히 기술하시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가 강조했듯이,문화산업의 본질적 특성은 반복(재연)이다. 아도르노는 '대중적' 음악과 '순수한'음악을 대비시켜 이것을 설명한다. 아도르노의 초기 작업에 해당하는 1936년도 논문 '재즈에 대하여'에서 그는 "대중음악의 본질적 특성은 표준화"라고 주장했다. 그는 1941년 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