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 기타
인간의 무한한 욕망이 행복 파괴의 결과 불러
다음 지문들은 현대문명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와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제시된 글들을 바탕으로 이 주제에 관하여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1600자 내외로 쓰시오.) ※2003학년도 정시 경희대 논술 기출문제로 영문 제시문을 한글로 번역한 것임. (가) 문제들이 수렴되면서 환경적 위기에 도달하게 된다. 이것들은 더 이상 인간의 착취에 이용 가능한 신세계가 없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인구는 지탱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계속 성장...
-
교양 기타
위험사회 -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이 책은 산업사회의 '성찰적 근대화'에 대한 저술이다. 고전적 산업사회에서는 '부(富)를 생산하는 논리'가 '위험을 생산하는 논리'를 지배했다면,위험사회에서는 이 관계가 역전된다는 것이 그 논점이다."(제1부)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은 현대 산업사회의 특성을 '위험사회(risk society)'라는 너무나도 적절한 용어로 정의하고 있다. 울리히 벡이 이야기하는 위험은 '눈앞의 위험'이라기보다는 '직접 감지되지는...
-
교양 기타
미셸 푸코, '지식인의 정치적 기능' 중에서
오랫동안 지식인은 진리와 정의를 주관하는 자로서 발언하였으며,그 권위를 인정받아 왔다. 사람들은 보편적 진리의 대변인으로서 지식인에게 귀기울였다. 지식인은 모든 사람의 의식과 양심의 지표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지식인은 이제 더 이상 이러한 역할을 할 것을 요구받지 않는다. 지식인은 보편,모범,모든 이들을 위한 진리와 정의의 자격으로서가 아니라 그들의 직업적인 근로 조건 또는 삶의 조건이 처한 구체적인 장에서 일하는 것에 익숙해졌다. 이...
-
교양 기타
미셸 푸코 - 권력과 지식
미셸 푸코(1926~1984)는 프랑스의 사상가다. 푸코의 지적 편력을 쫓아가다 보면 그를 특정한 범주에 잠시나마라도 붙들어 매두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의 학문적 연대기는 크게 세 시기로 분절된다. '광기의 역사'와 '임상의학의 탄생' 등을 통해 1950년대에서 60년대 초반까지 푸코는 프랑스 철학의 실증주의적 전통을 이어받아 '정상'과 '비정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그리고 임상 의학이라는 지식이 ...
-
교양 기타
종교와 과학의 관계에 대해 논하라
종교나 과학의 두 사상 영역의 어느 쪽도 여러 가지 것들이 추가되고 배제되고 수정돼 왔다. 따라서 지금으로서는 1000년 내지 1500년 전에 이루어지던 것과 같은 주장이 제기된다고 해도, 그 주장은 이전의 시대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의미의 제한 또는 확장이 이루어진 것이다. 논리학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명제는 그것이 참 아니면 거짓 둘 중의 하나이지 그 중간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실제로 어떤 명제가 중요한 진리를 나타내고 있다해도,그것...
-
교양 기타
화이트헤드 - 과학과 근대 세계
영국의 비평가 허버트 리드는 화이트헤드의 '과학과 근대 세계'를 가리켜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이래 과학과 과학철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저서"라고 평했다. 근대 과학의 본질을 규명하고 그것이 어떻게 근대인들의 세계관에 영향을 끼쳤는가를 분석한 이 책은 과학철학 혹은 과학 사상사의 뛰어난 고전 중 하나다. 수학자에서 출발해 유기체 철학이라는 독창적인 세계관을 주창한 철학자로 변신한 화이트헤드는 난해한 저서로 악명이 높다. 그러나 이 책은 대...
-
교양 기타
테크노크라시 시대는 공동체적 가치에 둔감
다음 제시문들은 국가를 이끌어가는 원리와 방법에 대한 동서고금의 다양한 생각들을 보여준다. 제시문 (가) (나) (다)를 논의의 근거로 삼아 현대적 의미의 리더십을 논술하시오. (가) 나라일을 정돈하는 것은 자질구레하게 형벌을 정하는 데에 있지 아니하고 오직 전하의 한 마음에 달려 있습니다. 그런데 전하께서 좋아하시는 일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학문을 좋아하십니까,풍류와 여색을 좋아하십니까,활쏘기와 말달리기를 좋아하십니까? 군자를 좋아...
-
교양 기타
마키아벨리, 군주론
근대적인 사고를 논할 때 마키아벨리를 떼어놓을 수 없다. 그의 '군주론'은 덕과 윤리라는 고전적인 덕목으로부터 정치의 독립까지 포괄한 혁명적인 저술이었기 때문이다. 근대의 시작을 알리는 이정표로 케플러 갈릴레이 뉴턴으로 이어지는 과학 혁명이 있었고,그와 더불어 데카르트의 철학적 혁신이 있었다면,사회와 윤리를 보는 관점에서 근대 이전과 이후를 결정적으로 나누는 기점이 바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다. 근대 사회철학의 대표적인 사상을 사회계약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