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多聞闕疑 (다문궐의)

    ▶한자풀이多: 많을 다    聞: 들을 문    闕: 빼놓을 궐    疑: 의심할 의많이 듣되 의심나는 것은 제쳐두다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을 이르는 말 - <논어>다문궐의(多聞闕疑)는 많이 듣되 그중에 의심나는 것은 제쳐둔다는 뜻이다. 다양한 의견을 듣고 그중 의심스럽지 않을 것에 대해 조심스레 말하면 잘못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로, 주로 공직자의 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출처는 <논어> 위정(爲政) 편이다.제자 자장(子張)이 벼슬을 구하는 방법을 묻자 공자가 답했다. “많이 듣고서 그중에 의심스러운 것을 빼놓고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말한다면 허물이 적어질 것이다. 그리고 많이 보고서 그중에 위태로운 것을 빼놓고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행한다면 후회가 적어질 것이다. 말하는 데 허물이 적고 행하는 데 후회가 적으면 녹봉과 벼슬자리는 바로 그 가운데 있을 것이다(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다문궐의(多聞闕疑)와 다견궐태(多見闕殆)는 공자가 강조한 나랏일을 맡은 자들의 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이면서 모든 사람에게 두루 적용되는 올바른 몸가짐이기도 하다. 다양한 관점과 입장에서 이야기를 듣거나 보고 그중 확실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하고 행동을 신중히 하면 실수와 과오를 줄일 수 있다. 말과 행동이 신중하면 잘못이나 실수는 그만큼 줄어든다. 공자는 경청하고 의심하며 신중히 판단하는 습관을 몸에 배게 하는 것이 공직자의 기본자세라고 본 것이다.다문궐의는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면서 확증편향에 쉽게 빠지는 현대인에게 던지는 의미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혁신의 본뜻은 '가죽을 벗긴다'

    ‘운외창천(雲外蒼天)’, 어두운 구름 밖으로 나오면 맑고 푸른 하늘이 나타난다는 뜻이다. 희망을 잃지 않고 난관을 극복해가면 더 나은 미래가 열린다는 말이다. 우리 중소기업계는 지난해 말 중소기업중앙회가 조사한 ‘올해의 사자성어’로 이 말을 선택했다. 어려운 경영 환경이지만 절망해서는 안 된다며 스스로 격려하는 의지를 담아냈다. 60년 만에 돌아오는 ‘육십갑자’·‘환갑’갑진년(甲辰年) 새해가 밝았다. ‘갑진년’은 육십갑자의 41번째 간지로, 청룡의 해로 알려져 있다. ‘갑(甲)’이 천간(天干)의 하나로 푸른색을 뜻하고, ‘진(辰)’이 지지(地支)의 하나로 용을 나타낸다. ‘간지’란 천간과 지지를 합쳐 이르는 말이다. ‘천간’은 고대 중국에서 날짜나 달, 연도를 따질 때 쓰던 말이다.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10개가 있다. 이것을 십간(十干)이라 부른다.십간이 하늘을 의미해서 천간이라 하는 데 비해 ‘지지’는 땅을 가리켜 지간이라 한다.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십이지로 구성됐다. 각각은 ‘쥐, 소, 범, 토끼, 용, 뱀, 말, 양, 잔나비, 닭, 개, 돼지’로 상징된다. 우리가 ‘띠’라고 하는 것은 이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사람이 태어난 해의 지지를 동물 이름으로 상징화해 이르는 것이다.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순차적으로 배합한 게 ‘육십갑자’다. 태어난 해에 맞춰 갑자년, 을축년, 병인년 식으로 꼽다 보면 60가지가 나오고, 61번째에 다시 갑자로 돌아온다고 해서 ‘환갑’이라고 한다. 그러니 환갑, 즉 60세는 ‘만 나이&rsquo

  • 학습 길잡이 기타

    어렵고 힘든 수학 왜 공부해야 하나요

    많은 학생이 생활과 관계없는 수학 때문에 힘들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수학은 과학, 정보,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도입한 개념에 대해 체계를 잡아주는 학문이다. 벡터, 함수, 방정식, 실수, 허수 등 모든 수학적 개념은 실생활에서 필요한 개념을 학문적으로 완성한 것이다. 수학은 실생활과 동떨어진 과목이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부분을 채워주는 학문이다.우리 삶에서 가장 먼저 수학을 접하는 것은 개수를 세는 것이다. 그다음으로는 덧셈, 뺄셈을 하게 되는데, 구구단에서 수학 인생의 첫 번째 고비를 맞이하게 된다. 이 고비를 벗어나면 나눗셈까지 멋지게 해낸다. 중학교에 진학하면서 수학 시간에 접하게 되는 각종 네모(□)와 문자의 등장은 수학으로 가는 길이 낯설고 어렵다는 걸 느끼게 한다. 새로운 문자 때문에 수학 여행에서 이탈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면, 잠시 멈추고 이 글을 읽어보길 권한다.살면서 물건을 체계 있게 쌓아야 할 때가 있다. 물건을 쌓는 규칙은 맨 윗줄에는 1개, 그 아랫줄에는 2개, 그다음 줄에는 3개씩 놓는 것이다. 만약 물건이 10개 있다면, 맨 아랫줄에는 몇 개를 놓아야 할까? 당연히 몇 번 시도해보면 맨 아랫줄에 4개를 놓고 4줄을 쌓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런데 11개라면 어떨까? 이 규칙으로는 쌓기가 어려워지고, 약간의 변형이 필요해진다. 11개의 경우, 적어도 4개로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45개의 물건이 있다면 아랫줄에 몇 개를 놓아야 할까? 이 규칙에 딱 맞춰서 쌓을 수 있을까? 물건을 셀 때는 맨 윗줄부터 세면 되지만, 쌓을 때는 아랫줄부터 해야 하므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이런 경우 수학을 활용하면 문제를 쉽게 해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공통범위안에서 출제…난이도는 중상 이상

    성균관대는 2022학년도 이후부터 수학(고1 과정)을 기반으로 수능 공통 범위(수학Ⅰ, 수학Ⅱ)에서 수리논술을 출제하면서 다른 주요 상위권 대학에서 출제하고 있는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를 제외해 학생들의 표면적인 학습 부담은 줄었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제시문을 기반으로 한 증명형 서술 문제라는 논술의 특성상 변별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으며, 실제로 성균관대 논술고사에 대한 수험생들의 체감 난이도는 다른 대학에 비해 오히려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균관대 수리논술을 대비하는 수험생들은 고1 수학의 기초를 탄탄히 하고 수학적 귀납법과 같은 증명형 문제를 꾸준히 연습하면서 2022학년도 이후의 기출 문항을 반복해서 풀어보아야 한다. 성균관대 수리논술 대비전략 주요 포인트1. 고1수학 과정 (절댓값, 도형, 합성함수 등)의 기초를 탄탄히 할 것.2. 수학적 귀납법 등의 증명형 문제를 꾸준히 연습할 것.3. 실 출제범위가 변경된 2022학년도 이후 기출문항을 반복해서 풀어볼 것.

  • 영어 이야기

    새로운 직책으로 지명하다 'tap'

    Kakao Corp., South Korea’s top mobile platform, has tapped its venture capital unit head as the new CEO to reform the startup-turned-conglomerate.Kakao said on Wednesday its CEO nomination committee appointed Chung Shina, CEO and managing partner of Kakao Ventures Corp., a wholly owned subsidiary of the operator of the country’s dominant mobile messaging app KakaoTalk, as its new chief executive.Chung is scheduled to replace current Kakao Corp., CEO Hong Euntaek and take office in March 2024 through approval by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a board of directors’ meeting. “I feel a great sense of responsibility and duty to take over the new leadership at this critical time,” Chung said.“To meet the society’s expectations and standards, we will actively work for responsible management rather than autonomous management only for growth while focusing more on future core business sectors,” she said.스타트업으로 시작해 대기업 반열에 올라선 국내 1위 모바일 플랫폼 카카오가 기업 쇄신을 위해 벤처캐피털 자회사 사장을 신임 대표로 지명했다.카카오 CEO 후보 추천위원회는 카카오톡 100% 자회사인 카카오벤처스의 정신아 대표를 신임 대표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정 대표는 홍은택 현 카카오 대표 후임으로 주주총회와 이사회 승인을 거쳐 2024년 3월 취임할 예정이다.정 내정자는 “중요한 시기에 새로운 리더십을 이어받게 되어 더없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낀다”고 말했다.그는 “사회의 기대와 눈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성장만을 위한 자율 경영이 아닌 적극적인 책임경영을 실행하고, 미래 핵심사업 분야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해설카카오가 강도 높은 개혁을 위해 새로운 대표로 벤처캐피털 자회사 사장을 지명했다는 기사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瓦釜雷鳴 (와부뇌명)

    ▶한자풀이瓦: 질그릇 와  釜: 가마 부    雷: 우레 뢰(뇌)  鳴: 울 명와부뇌명흙으로 만든 솥이 우레처럼 울려 퍼지다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득세해 기세등등한 모습- <초사>전국시대 초나라 시인 굴원은 일찍부터 재주와 학식이 뛰어났다. 그는 초회왕(楚懷王)의 신임을 받아 중책을 맡았지만 후에 모함을 받아 양자강 이남 먼 땅으로 유배되었다. <초사>는 추방되어 강남땅에 머물 때 그가 쓴 낭만주의 풍경이 두드러진 서정시집이다. 그중 ‘복거’는 당시 사회의 어두운 면과 굴원 자신의 비분강개가 잘 표현되어 있다. 그 글에는 이런 내용이 나온다.추방된 지 3년 동안 간신들의 참소로 초왕을 만나지 못한 굴원은 분한 마음에 점을 잘 친다고 소문난 태복(太卜) 정첨윤을 찾아가 물었다. “내가 어떤 일들에 대한 의혹이 풀리지 않소. 점을 쳐서 내가 잘 판단할 수 있게 도와주셨으면 하오.”첨윤이 시초(蓍草: 점을 치는 데 사용한 국화과의 톱풀)를 바로 놓고 거북 등껍질의 먼지를 털어내며 굴원에게 물었다. “선생은 무엇을 일러주시길 원합니까?”굴원이 말했다. “나는 충심을 다할 것인가, 아니면 세상에 영합하여 곤경을 벗어날 것인가? … 숨김없이 직언하다 스스로 화를 부를 것인가, 아니면 세속의 부귀를 탐하여 구차하게 목숨을 구할 것인가? 이런 것들입니다. 지금 세상이 혼탁해 매미의 날개를 무겁다 하고, 천균이나 되는 무게를 가볍다고 합니다. 황종(黃鍾) 같은 좋은 악기는 깨트려 버림을 받고 질솥이 우레처럼 울려 퍼집니다. 아첨하는 사람은 제멋대로 날뛰고 현명한 사람은 이름도 알려지지 않습니다(黃鍾棄 瓦釜雷鳴 讒人高張 賢士無名).&

  • 영어 이야기

    착공하다 'break ground'

    Hyundai Motor Co., the world’s third-largest automaker along with its affiliate Kia Corp., on Monday broke ground on a dedicated electric vehicle factory in South Korea in its push to lead the global future mobility industry.Hyundai, the country’s top carmaker, is schedul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plant with an annual capacity of 200,000 EVs in 2025 with an investment of 2 trillion won ($1.5 billion) for mass production from the first quarter of 2026.“The dedicated EV plant marks another beginning toward the era of electrification for the next 50 years,” said Hyundai Motor Group Chairman Chung Euisun in a speech at the groundbreaking ceremony. “I am honored to share the dream of a company for a hundred years here.”The factory in the metropolitan city about 300 kilometers southeast of Seoul will be Hyundai’s first new domestic plant in 29 years since it built a facility in Asan in 1996.계열사인 기아자동차와 함께 세계 3위 자동차 회사로 자리매김한 현대자동차는 미래 모빌리티산업을 주도하기 위해 월요일 국내 전기차 전용 공장 기공식을 개최했다.우리나라 최대 자동차 제조사인 현대차는 공장 건설에 2조 원을 투자해 2025년 연간 생산 20만 대 규모의 전기차 공장 건설을 완료한 후 2026년 1분기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기공식에서 “전기차 전용 공장은 향후 50년 전동화 시대를 향한 또 다른 시작”이라고 말했다. 정 회장은 “100년 기업의 꿈을 이곳에서 공유하게 돼 영광"이라고 덧붙였다.서울에서 동남쪽으로 약 300킬로미터 떨어진 전기차 전용 공장은 1996년 현대아산 공장 준공 이후 29년 만에 처음으로 현대차가 국내에 건설하는 공장이다.해설현대차가 미래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에 신규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짓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눈에 보이는 글자보다 맥락을 파악하고 서술해야

    지난 시간의 종합형 문제(12월 11일 자 16면)에 대한 답안을 분석하면서 유형에 대한 이해를 마무리해보겠습니다.우선 “다음 제시문 [나]와 [다]를 비교해 핵심 논지를 파악”하라는 물음을 살펴보면, 비교가 핵심이 아니라 핵심 논지를 파악하는 ‘요약’이 핵심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교를 장황하게 기술하기보다는 핵심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명하게 짚으면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두 제시문의 공통점을 ‘노동’으로 잡을 경우 오답이라는 것입니다. 왜일까요? [나]와 [다]의 핵심 논지를 바탕으로 [라]를 설명할 것인데, [라]는 노동을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눈앞에 보이는 것만 즉각적으로 주워담는다면 전체 흐름이나 출제 의도에서 어긋날 수 있습니다. 맥락을 살피면서 글을 써야 합니다. [나]는 기술 발전의 가치 중에서 개개인이 얻게 된 수혜를 말하고 있습니다. 반면 [다]는 [나]와 비교했을 때 기술 발전으로 인해 사회구조적 개선이 일어났다는 데 더 초점을 두고 있네요.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답안을 비교하며 ‘요약’할 수 있습니다.[나]와 [다]는 모두 기술 발전의 근본적 가치를 제시한다. [나]는 산업적 발전과 생산수단의 변화가 노동의 의미를 변화시켜 왔다고 주장한다. 직업의 폭이 넓어지고 육체적인 노동을 대체할 수단을 마련하게 되면서 노동은 자아실현과 만족의 수단으로 기능하게 되고, 인간은 주체성을 회복하게 된 것이다. [나]가 개체적 차원의 가치를 제시한다면, [다]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기여한 사회구조적 수평화에 주목한다.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는 정보기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