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우리는 문화와 인간을 이어 주는 스토리텔러죠"
김옥석 문화관광해설사는 1990년대 초 국내 문화유산을 알리기 위해 도입한 문화유산해설사를 시작으로 30여 년 해설사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수학 교사 출신인 데다 말솜씨까지 갖춘 그의 해설에 경기 고양시 서삼릉 태실을 찾는 관람객들이 귀를 쫑긋 세운다. 그에게 직업으로서의 해설사 얘기를 들어 봤다.▷서삼릉 태실은 어떤 곳인가요.“조선의 쉰네 분 왕, 스물두 분의 왕의 후손들이 태어날 당시의 태(胎)를 모신 곳입니다. 원래 태실은 전국의 명산에 있었는데, 일본인들이 이 태실을 파헤쳐 대부분의 유물을 일본으로 가져가 버렸죠. 이후 똑같이 생긴 비석을 만들어 날 일(日) 자 모양의 태실을 만들어 놓은 거예요. 그때가 1925년입니다.”▷고양시 문화관광해설사는 언제부터 한 건가요.“2005년 경주에서 고양시로 이사 오면서 시작했어요. 당시 해설사 모집 담당자가 제 이력서를 보곤 ‘경주에서 하셨어요?’라며 놀라더군요. 경주는 문화유산이 많기 때문에 그만큼 해설사의 실력이나 노하우가 뛰어나죠. 그때부터 시작해 문화관광해설사 전국 회장, 고양시 회장 등을 역임했습니다.”▷문화관광해설사는 어떤 일을 합니까.“각 지역의 문화재를 관람객에게 소개하는 역할이죠. 유치원생부터 노년층까지 남녀노소 다양한 관람객 눈높이에 맞춰 역사와 스토리를 전해야 합니다. 능숙한 스토리텔러가 돼야 하는 거죠.”▷해설사 선발은 어떻게 진행하나요.“대개 지자체에서 모집 공고를 내고 선발하게 되는데, 전국적으로 시기나 기준이 다 달라요. 일반적으로 서류 전형과 필기·실기 시험, 면접 그리고 교육으로 진행합니다. 고양시의 경우 현재 6기까지 선발
-
영어 이야기
in the wake of = as a result of<~의 결과로서>
Newbuilding prices for LNG carriers, which are more profitable than oil tankers and container ships, are expected to rise further, given the rising price trend of used vessels, he said.In addition to growing demand from European ship owners, which are seeking alternatives to Russian natural gas in the wake of the Russia-Ukraine war, stricter environment regulations are also creating new and replacement demand for eco-friendly ships that reduce carbon emissions.Last week,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 UN maritime safety agency, said it now requires its member states to cut carbon emissions from ships by 30% of their 2008 levels by 2030 and raise the target to 80% by 2040. All ships must aim to achieve zero emissions by 2050.Analysts said Korean shipbuilders stand to benefit from tougher regulations and growing demand for eco-friendly vessels, including methanol-powered ships.유조선이나 컨테이너선보다 수익성 높은 LNG선의 신조선가는 중고 선박 가격 상승세를 감안할 때 더 오를 것으로 전망한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결과로 러시아 천연가스 대체재를 모색하는 유럽 선주들의 수요 증가와 함께 환경 규제 강화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선박에 대한 신규 및 대체 수요도 창출되고 있다.지난주 유엔 해양 안전 전문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는 회원국 선박의 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08년 수준의 30%까지 줄이고, 2040년까지 80%로 줄여야 한다고 발표했다. 모든 선박은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전혀 하지 않는 탄소 중립을 목표로 해야 한다.애널리스트들은 “한국 조선업체들이 강화된 환경 규제와 메탄올을 연료로 쓰는 선박을 포함한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설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가격이 오르면서 한국 조선사들이 반사이익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인과관계 구문 '-어서다' 바로쓰기
인과관계 구문은 엄격하게 써야 한다. 논리성을 드러내는 말이라 잘 쓰면 글의 합리성과 타당성, 설득력을 높일 수 있다. 글에 탄력성과 짜임새를 주기도 한다. 그러나 잘못 쓰면 글의 흐름이 어색해지고, 글을 오히려 허술해 보이게 한다. 다음 뉴스 문장도 그런 점에서 주의 깊게 들여다볼 만하다. 중소기업의 인력난은 어제오늘 이야기가 아니지만, 새삼 부각되고 있는 정보기술(IT) 업종에서의 인력 빼가기 실태를 지적한 대목이다.이유나 근거 나타내는 서술어로 쓰여“IT업계를 중심으로 소프트웨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전문가 등 개발자 구인난이 심해지면서 중소기업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고액 연봉,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 등 자본력을 앞세운 대기업들이 개발자를 싹쓸이하면서 중소기업의 인력 유출이 잇따르고 있어서다.”‘-어서다’는 ‘-기 때문이다’를 대체하는 표현이다. 의미가 거의 같다. 요즘 구어체가 뉴스 문장에도 늘어나면서 예전에 ‘때문이다’를 쓰던 곳에 ‘-어서다’가 많이 나타난다. 이 역시 남발되다 보니 잘못 쓰는 경우가 꽤 있다. ‘때문이다’ 구문의 틀에 맞춰 예문을 분석해보자.‘①개발자 구인난이 심해져 중소기업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결과문) ②대기업이 개발자를 싹쓸이해 중기 인력 유출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원인문)’ 이게 골자다. 이를 한 문장으로 묶으면 ‘②…중기 인력 유출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에(원인) ①중소기업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결과)’라는 이상한 문장이 된다. 인과관계가 아니라는 뜻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①과 ②는 같은 의미다. 같은 얘기를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歸去來辭 (귀거래사)
▶한자풀이歸: 돌아갈 귀 去: 갈 거 來: 올 래 辭: 말씀 사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벼슬에서 물러나 자연으로 돌아감 - 귀거래사(歸去來辭)도연명(陶淵明: 365~427?)은 위진남북조시대 동진(東晋) 말~남조(南朝) 송 초의 시인이다. 유토피아 무릉도원을 노래한 ‘도원화기’라는 불세출의 명작을 남겼다. 집 문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를 심어놓고 스스로를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 부르기도 했다.그는 어려서부터 책 읽기를 좋아했고 도교와 불교에 관심이 많아 관련 서적을 외고 다닐 정도였다. 좨주(祭酒: 국자감의 우두머리)로 벼슬을 시작해 참군(參軍)을 거쳐 팽택현령에 임명됐으나, 쌀 다섯 말 때문에 허리를 굽힐 수 없다며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죽을 때까지 벼슬하지 않고 살았다. 관직에서 물러나면서 유명한 시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썼다.시골로 은거해 농사를 지었고, 평생 가난과 병에 시달렸지만 끝내 권세와 타협하지 않았다. 따스한 인간미와 담담한 기풍은 당시의 선비들이 즐겨한 유희 문학과는 질적으로 달랐다. 기교를 부리지 않는 평범한 시풍이어서 당시에는 멸시에 가까운 평을 받았지만, 후에는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시풍은 당나라 맹호연 왕유 유종원 백거이 등을 비롯해 많은 시인에게 영향을 미쳐 중국 문학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다음은 ‘귀거래사’의 내용이다.‘자, 돌아가자. 숨 막히는 속세와의 인연은 끊어버리자. 이제 다시 벼슬에 올라 무엇을 더 얻으리. 따뜻한 피붙이들의 말을 귀히 여기고, 거문고 소리 들고 책 읽으며 수심을 날려버리자. 농부가 나에게 봄이 찾아오고, 서쪽 논
-
대학 생글이 통신
자습·인강 잘 조합해 알찬 여름방학 준비하자
많은 고등학생이 여름방학을 어떻게 하면 잘 보낼 수 있을지 궁금해합니다.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여름방학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뭐니해도 2학기에 배울 과목을 예습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2학기 과목의 개념 학습과 유형별 문제 풀이를 끝내고, 심화 문제 풀이까지 일부 들어갈 것을 추천합니다. 여러분도 이미 경험해 알고 있겠지만, 학기 중에는 특정 과목의 학습 능력을 끌어올릴 시간을 확보하기가 어렵습니다. 기본적으로 학교 수업이 이뤄지는 시간이 있으므로 개별적으로 약점 포인트를 점검하고 강화하는 시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죠. 여러 가지 수행평가와 비교과 활동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방학 기간에 개념 학습과 문제 풀이 실력을 다질 수 있을까요?첫째, 방학 때 스스로 공부해 성적 상승효과를 볼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또한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는 얘기입니다. 수학과 과학은 교과 과정이 비교적 연속적이고 가르치는 사람이나 교재에 따른 문제 유형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해당 과목들은 방학 때 집중적으로 학습하면 다음 학기에 확실히 나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어, 영어, 사회 과목은 출제자인 학교 선생님들이 어떤 교수법을 취하는지에 따라 학습량과 방향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따라서 방학 때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과목에 집중하는 게 좋습니다.둘째, 인터넷 강의를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수험생이 날마다 몇 시간씩 스스로 집중하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멘토로서 권장하고 싶은 공부법도 아닙니다. 체력 소모가 크고 시간이 갈수록 집중도도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것을
-
대학 생글이 통신
공부 중에도 틈틈이 신문 읽는 습관 키워보세요
학창 시절에는 학교 시험과 수능 보는 일에 집중하기 마련입니다. 그것이 학생의 본분을 다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학교 시험과 수능을 대비해 공부하는 것은 진학이란 목표를 이루고 교양지식을 쌓는 정도 외에 큰 의미가 없다고 느낄 때가 많을 겁니다.공부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하면, 시험 준비는 머리를 더 똑똑하게 하는 기능을 하지 않습니다. 시험공부는 말장난하는 문제를 얼마나 잘 푸느냐, 교과서에 숨은 지엽적인 부분까지 얼마나 잘 외우느냐의 문제가 돼 시험이 다 끝나고 나면 허탈해지기도 합니다. 시험을 잘 본 덕분에 저는 감사하게도 서울대에 진학했습니다. 그러나 대학 타이틀을 떼고 냉정하게 자신을 돌아보면 특별히 할 줄 아는 게 없고 고작 시험 하나 잘 보는 초라한 모습이었습니다.경영학의 구루 피터 드러커가 한 말 중에 가장 인상 깊은 게 있습니다. “하지 않아도 될 일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만큼 쓸모없는 일은 없다.” 제가 중·고등학교 시절 한 일을 정확히 표현한 말 같았습니다. 시험공부를 열심히 효율적으로 했지만, 사실 그것은 저라는 사람을 성장시키는 일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매우 쓸모없었습니다.그렇다고 해서 시험공부를 포기하고 제 갈 길을 가기엔 부담스러운 게 사실입니다. 노력하면 시험을 잘 볼 수 있는데 굳이 공부하지 않고 주변의 기대를 저버릴 수 있을까요. 저 역시 좋은 대학교에 가서 어느 정도 보장된 삶을 살고 싶다는 마음도 있었습니다.시험공부를 안 하기에도 그렇고, 계속 시험공부만 하기도 싫었던 제가 선택한 타협안은 틈틈이 신문을 보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타협 방법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좋아하는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복수 제시문 요약형은 논리적 관계를 살펴보자
지난 시간에는 하나의 제시문을 요약하는 방법에 대해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다수의 제시문을 통합적으로 요약하는 요령을 알아보겠습니다.예) 아래 세 제시문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시오. (서강대 23모의 기출지문 활용)[가] 우리 사회에서 상당수가 이들과 같은 ‘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아웃은 어떤 일에 몰두하다가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가 계속돼 무기력증이나 불안감, 우울감이 생기는 현상을 뜻한다. 전문가들은 번아웃에서 탈출하기 위해 제주 한 달 살기와 같은 거창한 계획을 세우지 않아도 일상에서 의도적으로 쉼을 찾고 평소 자신이 좋아하는 일의 리스트를 만들며 회복탄력성을 키우라고 강조한다. (중략)20대는 번아웃을 느끼는 이유로 남들과의 비교(39.8%)와 완벽주의적 성향(3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30대에서는 성공에 대한 압박(35.5%)을 꼽은 이들이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MZ세대가 조기교육과 입시, 취업의 무한 경쟁에 노출되면서 과거에 비해 번아웃을 빨리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설문 응답자인 A씨(26)는 “대학 졸업 후 취업에 실패하면서 취업에 성공한 다른 사람들과 나를 비교하게 됐고 늘 무기력한 상태가 됐다”고 했다. 사무직 여성 B씨(32) 역시 “비전이 없는 일을 앞으로도 계속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소화불량과 만성피로가 왔다”고 말했다. - 동아일보 2022.7.12.[나]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지니계수가 있듯이 유사한 산출방식으로 ‘행복지니계수’도 구할 수 있다. 외국의 여러 행복 실증연구는 행복지니계수가 소득지니계수의 절반 정도라고 보고한다. 이에 비춰보면 2016
-
대입 전략
논술전형, 45개 대학에서 1만1348명 모집…인문 선발 중 72.7%, 자연 64.2% 수능 최저 요구
논술전형은 수시모집 전형 중 내신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전형 중 하나다. 상당수 대학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고 있어 내신보단 수능의 영향력이 더 크다. 내신 4~5등급대 학생도 논술 실력과 수능 성적만 뒷받침된다면 도전해볼 만하다. 2024학년도 전국 논술전형 선발 규모와 수능 최저 수준을 분석해본다.연세대·성균관대 등 ‘논술 100%’로 선발수시 요강 기준으로 2024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선발 인원은 전국 45개 대학 총 1만1348명에 달한다. 서울권이 25개 대학 5815명, 경기·인천지역 수도권은 14개 대학 3724명, 지방권은 6개 대학 1809명 규모다. 지방권보다는 수험생 선호도가 높은 서울권 선발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다. 주요 21개 대학 중 서울대와 고려대, 국민대를 제외하고 18곳에서 논술을 실시한다. 서울시립대의 경우 자연계 학과만 논술전형을 운영한다. 주요 대학 중엔 건국대 선발 인원이 434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중앙대 426명, 성균관대 398명, 홍익대 393명, 연세대 355명, 세종대 340명, 한국외국어대 322명, 동국대 304명, 이화여대 300명 순으로 선발 규모가 크다.내신은 대학별로 10~40%까지 반영한다. 홍익대의 내신 비중이 10%로 낮은 편이고, 숭실대·경기대·수원대 등이 40%로 높은 편이다. 내신 반영 비중이 40%에 달한다고 해도 등급 간 점수 차이가 작고, 기본점수가 높기 때문에 내신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45개 대학 중 11곳은 내신을 반영하지 않고 논술 100%로 선발한다. 연세대, 성균관대, 경희대, 경희대(국제), 이화여대, 건국대, 동덕여대, 덕성여대, 한국항공대, 연세대(미래), 한국기술교대 등이 해당한다.수능 최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