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생글이 통신
고교 생기부, 피라미드처럼 쌓아올려야
고등학교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생활기록부(생기부)입니다. 생기부는 단순히 성적표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학생의 전반적인 학습 태도와 활동, 성장 과정까지 담아내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저는 피라미드식으로 1·2·3학년 생기부를 차근차근 채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생기부는 학생의 발전 과정과 잠재력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담아낼 수 있어야 하죠. 예를 들어 고등학교 1학년은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수험생으로서 기본적인 학습 습관을 기르는 시기입니다. 이때 성실하고 협력적인 태도, 규칙적인 생활 등 기본적인 부분을 잘 기록해두면 2학년, 3학년으로 올라가면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생기부가 대학 진학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대부분 대학에서 생기부를 통해 수험생의 학교생활 전반을 평가합니다. 고교 3년 동안 생기부를 잘 작성하고 충실하게 채워나간다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기가 생각하는 진로를 구체화해온 과정과 학습 태도, 교내외 경험 등을 잘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전반적인 학습 패턴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데도 생기부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1학년 때부터 참여한 학습 활동이나 결과를 잘 기록해놓으면 2학년 이후에 어떤 점을 개선하고 발전시켜나가야 할지 생각해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 학급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등에 관한 기록을 통해 자기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학습과 활동의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생기부는 장기적 목표 설정과 성취를 돕는 도구입니다. 1학년 때는 자신이 잘하는 과목이나 활동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從容有常 (종용유상)
▶한자풀이從: 따를 종 容: 얼굴 용 有: 있을 유 常: 항상 상얼굴색과 행동에 변함이 없다군자의 몸가짐을 비유하는 말 -<예기(禮記)>從容有常공자는 “얼굴색을 꾸미고 말을 번지르르하게 하는 사람은 인(仁)이 적다고 했다. 예로부터 이상적인 인간상을 군자(君子)라고 했는데, 이를 강조하고 몸소 실천하려고 애쓴 사람이 공자다. 군자는 최고의 인격과 선을 갖춘 사람이다. 군자는 희로애락(喜怒哀樂)이라는 감정의 변화를 얼굴에 쉽게 드러내면 안 된다. 공자는 얼굴은 곧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고, 변하지 않는 얼굴색을 지니는 게 군자의 미덕이라고 했다.떠들지 않고 소리 없이 얌전한 것을 두고 조용하다고 하는데, 여기서 조용은 한자 ‘종용(從容)’에서 온 것이다. 말 그대로 얼굴을 따른다는 뜻이다. 마음과 얼굴빛이 따로인 경우 표리부동(表裏不同)한 사람이 된다. 얼굴로는 반기고 말로는 친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생각을 품고 있는 구밀복검(口蜜腹劍)도 표리부동과 뜻이 이어진다.‘유상(有常)’은 군자로서 변하지 않는 상도(常道)를 말한다. 작은 일로 처신이나 말이 우왕좌왕하지 않고 늘 중심이 있음을 이른다. 두 말을 합한 종용유상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얼굴색이나 행동거지가 변하지 않으며, 자신의 소신대로 정도(正道)를 걷는 것을 의미한다. 공자는 <예기(禮記)> 치의 편에서 종용유상을 통치자의 바른 자세라고 했다. 백성을 다스리는 자의 행동거지는 항상 조용하면서 법도에 어긋나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종용유상의 몸가짐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백성은 그의 덕에 감화되어 불변의 충성심을 보인다고 했다.<시경(詩經)>에도 도읍의
-
대학 생글이 통신
4~5월까지 매일 1시간 독서 지문 읽으세요
국어가 어렵다고 하면 이상하게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모국어니까요. 그렇지만 수능 국어를 준비하면서 모의고사 점수가 생각만큼 잘 나오지 않아 실망하는 학생이 많습니다. 수능 국어의 특징과 전반적인 공부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수능 국어는 독서, 문학, 선택과목 등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독서는 비문학 지문, 문학은 문학작품의 일부를 읽고 문제를 푸는 것입니다. 선택과목에서는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한 가지를 선택합니다. 2028학년도 수능부터는 선택과목이 사라지지만, 큰 흐름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국어는 단기간에 성적을 올리기 어렵지만, 독해력이 뒷받침된다면 다른 과목에 비해 시간을 많이 들이지 않아도 되는 과목입니다. 우선 독서 분야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은 길고 생소한 지문을 읽기도 전에 두려움을 느낍니다. 또는 지문을 다 읽었음에도 머릿속에서 내용이 잘 정리되지 않아 문제를 잘 풀지 못합니다.문학을 어렵게 느끼는 학생도 있습니다. 시의 함축적 표현을 해석하지 못해 작품을 반복해서 읽다가 시간을 허비하거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의 말과 행동을 전체 맥락과 연결해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독서가 어렵다면 생소한 주제의 독서 지문을 기출문제를 통해 많이 접할 것을 권합니다. 아직 수능 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이라면 독서 부분이 어려운 것이 당연합니다. 적어도 4~5월까지는 매일 1시간 정도 꾸준히 독서에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문을 읽어도 내용이 정리가 안 된다면, 글을 읽을 때 의식적으로 앞 문장과 뒤 문장의 내용을 연결 지어 이해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문제지의 공백 부분에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리논술 주력 대학…수능최저, 선택과목 챙겨야
이들 대학은 모두 적정 수준의 수능 최저와 전 과목 출제 범위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수험생 입장에서는 미적분과 함께 기하 및 확률과통계 등의 선택과목을 모두 학습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는 반면에 문제 난이도는 평이한 수준이어서 수학 2등급대 학생이라면 충분히 대비가 가능한 대학들이다. 일반적으로 수리논술은 합격 여부를 가늠하기 어려운 소위 ‘로또 전형’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그와 달리 이들 대학은 개별 학생의 역량을 바탕으로 합격 가능성을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대학군에 속한다. 따라서 이들 대학 중 2~3곳을 주력 대학으로 선택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상향 1~2곳과 하향 1~2곳을 추가해 수리논술 원서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논술 전략이라 할 수 있다. ◆ 이화·경희·건국·동국·홍익 ◆ 수리논술 대비전략1. 수능최저기준 충족여부 및 선택과목 이수가 합격의 결정적 역할- 수능최저 충족 및 선택과목 이수한 경우 수학 2등급이면 합격가능성 있음2. 미적분과 선택과목(기하/확률과 통계) 모두 고르게 학습해야3. 문제 난이도는 높지 않은만큼 모든 문항을 고르게 푸는 것이 합격의 관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방황하는 말 '가품', 선택받은 말 '짝퉁'
지난해 말부터 이어지고 있는 ‘가품’ 논란이 패션·유통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작년 12월 국내 패션 플랫폼 1위 업체인 무신사에서 패딩 혼용률이 허위로 기재된 사실이 알려졌다. 올해 초엔 국내 1위 이커머스 쿠팡에서 ‘짝퉁’ 영양제 사건이 터졌다. 이들 업체는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한 ‘정책’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무신사 등은 입점 브랜드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섰다. 롯데온, SSG닷컴, 네이버 등 국내 대기업 이커머스사도 ‘위조품’으로 판명되면 대금 정산을 보류하는 ‘정책’을 펴기로 했다. 100년 역사 ‘가품’은 사전에 없어유통가에 ‘짝퉁’ 시비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우리 관심은 이들 논란을 전하는 저널리즘 언어에 있다. 우리말의 의미·용법과 관련해 주목할 말들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가품’ ‘짝퉁’ ‘위조품’ 같은 말이 눈에 띈다.‘가품(假品)’이란 말이 요즘 많이 쓰인다. ‘거짓 가(假)’ 자를 썼으니 가짜 상품이란 뜻일 것이다. 하지만 국어사전에는 보이지 않는다. 단어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얘기다. 이에 비해 ‘진품(眞品)’은 말 그대로 ‘진짜인 물품’을 가리킨다. ‘정품(正品)’이란 말도 쓴다. 진짜거나 온전한 물품이란 뜻이다. 이들은 사전에 올라 있다. ‘거짓 가(假)’를 쓴 ‘가품’이 ‘참 진(眞)’ 자를 쓴 진품에 상대하는 말이니 그럴듯한데, 아쉽지만 <표준국어대사전>은 다루지 않았다. 그 대신 가짜 물품을 가리키는 말로 ‘모조품’이 있다. 다른 물건을 본떠 만든 물건이란 뜻이다. 그림이면 ‘모사품’
-
학습 길잡이 기타
주파수 '소수'로 배치하면 안정적 데이터 전송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지는 수, 소수(素數). 이 단순한 정의 속에는 수학의 신비와 미해결된 수많은 문제가 숨어 있다.초등학교에서 배운 소수(小數, decimal)는 분수를 십진법으로 표현하는 것이었지만, 중학교에 올라가 마주한 소수(素數, prime number)는 전혀 다른 세계의 개념처럼 느껴졌다. 숫자 대신 문자가 등장하고, 3.14 대신 ‘파이(π)’를 사용하며, 익숙했던 소수와 완전히 다른 ‘나누어지지 않는 수’를 배우는 순간, 나는 이 새로운 개념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그렇다면 소수란 무엇일까?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지는 수, 그것이 바로 소수다. 하지만 이 단순한 규칙을 따르는 숫자들이 왜 그토록 중요한 의미를 가질까? “이 소수는 대체 어디에 쓰이는 걸까?” 세상의 모든 것이 실용적인 의미를 가져야 한다고 믿는 나에게, 그리고 나와 같은 궁금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지난 칼럼에서 건축물에서 공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수 간격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 바 있다. 흥미롭게도, 이 개념은 무선통신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무선 주파수가 겹치면 서로 다른 신호 간 간섭이 발생해 통신 품질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수를 기반으로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소수 간격으로 주파수를 배치하면 특정 신호들이 배수 관계를 이루지 않게 되어, 서로 간섭 없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와이파이, 휴대전화 통신, GPS 신호 등에서 필수적인 원리로 작용한다.소수는 지구상의 통신을 안정화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우주 신호를 분석하는 데에도 소수가 활용된다. 최근
-
대입 전략
고3 학생수 늘었다고 "합격선 상승" 단정 못해…의대 정원 줄면 상위권 N수생 유입 줄어들 수도
2026학년도 대학 입시를 치르는 금년도 고3 수험생은 45만3812명이다. 2025학년도보다 4만7733명, 11.8%가 늘어났다. 최근 5년 새 가장 많다. 학생 수가 많아지면 비례적으로 학교 내신 상위권, 수능 상위권 학생 수가 늘어난다. 따라서 2026학년도 합격선이 전년보다 높아질 수 있다는 부담감이 생길 수 있다. 게다가 의대 모집 정원이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줄어드는 상황이라 의대 합격선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학생 수는 늘어나고 최상위권 모집 정원은 줄어들어 합격선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고3 학생 수는 2022학년도 44만6573명, 2023학년도 43만1118명, 2024학년도 39만4940명으로 해마다 감소했다. 이에 따라 의대 합격선도 낮아졌으며, 내신과 수능에서 고득점을 받는 학생이 줄면서 상위권 학생 수도 감소했다. 따라서 최상위권 의대 합격선도 수시 내신, 정시 수능 점수 모두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그러나 수시 합격선은 2022학년도에 1.26등급, 2023학년도 1.21등급, 2024학년도 1.19등급으로 매년 높아졌다. 일반적 예상과는 정반대인 상황인 것이다.정시 합격선 또한 2022학년도 국수탐 백분위 평균점수 기준으로 2022학년도 97.6점, 2023학년도 98.2점, 2024학년도 97.9점이었다. 2023학년도가 다소 돌발 상황이었지만, 2022학년도와 2024학년도에 학생 수가 5만1633명 줄어들었어도 수능 점수는 오히려 상승했다.고3 학생 수가 줄어들었음에도 내신, 수능 모두 합격선이 높아졌다. 원인으로는 최상위권 대학 학생들이 의대에 더 쏠렸거나 고3 이외의 학생이 추가로 들어왔다고 볼 수 있다.상위권 N수생 변수가 상당히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2026학년도는 고3 학생 수는 늘
-
영어 이야기
선두 또는 중심에 있을 땐 'at the forefront'
South Korea’s grocery delivery platform Oasis Corp., which has been looking to expand its e-commerce market at home and abroad, is seeking to buy TMON Inc., which has been placed under court protection. It is now at the forefront to acquire TMON.TMON, Korea’s first-generation e-commerce player famous for its low-price marketing strategy, filed a motion with the Seoul Bankruptcy Court on Tuesday to request the designation of Oasis as its initial bidder.TMON and its sister e-commerce platform WeMakePrice Co. have been in negotiations with multiple potential buyers of their businesses since their business faltered last July due to delayed payments to vendors.They have been under court management since last summer and looking to find a new owner. After it failed to find the right suitor, Oasis has approached them with an offer to buy TMON.국내외 전자상거래 시장 확장을 모색해온 한국의 식품 배달 플랫폼 오아시스가 법정관리 중인 티몬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오아시스는 현재 티몬 인수 경쟁에서 선두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국의 1세대 전자상거래 업체로 저가 마케팅 전략을 펼친 것으로 잘 알려진 티몬은 지난 화요일 서울회생법원에 오아시스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해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다.티몬과 자매사인 위메프는 지난 7월 공급대금 지연 문제로 경영이 어려워진 여러 잠재적 구매자와 협상을 진행해왔다. 두 회사는 지난해 여름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한 후 새로운 인수 희망자를 찾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적절한 인수자를 찾지 못한 상황에서 오아시스가 티몬 인수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설우리나라 전자상거래(e-commerce) 시장은 1990년대 중·후반 인터넷 보급이 확대되면서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인터파크, 옥션, G마켓 등의 인터넷 쇼핑몰이 생겨나면서 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