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실전 수능 기회' 교육청 모의고사도 소홀히 말아야

    고등학교 3학년이 되면 교육과정평가원 모의고사 연 2회에 더해 교육청 모의고사 4회를 보게 됩니다. 고3이라면 이미 5월 교육청 모의고사를 치렀을 것입니다. 평가원 모의고사는 수능 출제 기관이 시행하는 모의고사인 만큼 그 중요성에 대해 더 설명할 필요가 없겠지요. 그렇다면 교육청 주관 모의고사는 어떨까요?고3 학생들에게는 교육청 모의고사 또한 소중한 기회입니다. 실제 수능과 비슷한 환경에서 같은 유형의 문제로 시험을 본다는 경험 자체만으로도 교육청 모의고사는 의미가 있습니다. 평소에는 수능과 비슷한 환경에서 실전 연습을 하기 어렵습니다. 수능 시간인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4시 37분까지는 학교 수업을 들어야 하고, 그 후에는 과목별 자습과 수행평가를 준비해야 하니까요. 따라서 교육청 모의고사도 실제 수능을 본다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해 시험을 치러야 합니다.교육청 모의고사는 형식이 수능과 동일합니다. 수능 시험장에 가면 평소 문제를 풀던 습관대로 시험을 봅니다. 따라서 수능 시험과 같은 형식의 시험을 최대한 많이 경험하고 자신만의 문제 풀이 순서를 만들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능과 유사한 형태의 시험을 자주 경험해야 강점과 약점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도와주는 시험이 바로 교육청 모의고사입니다. 교육청 모의고사를 본 당일에는 시험문제를 다시 한번 훑어보며 잘 안 됐던 점을 분석하고 자기 나름의 전략을 생각해봐야 합니다.교육청 모의고사는 평가원 모의고사와 달리 수능의 경향성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수능 영어는 지문 난이도는 낮추고 선지 난도는 높이는 방식으로 변별력을 확보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영어 이야기

    어려운 상황 속 숨돌릴 틈 'a break in the storm'

    The Korean Teachers’ Credit Union (KTCU), a retirement fund operator for South Korean teachers, has picked 10 local private equity firms to run blind pool funds, backed by a total commitment of 700 billion won, according to sources in the investment banking industry.The selected PE firms include JKL Partners Inc., IMM Credit & Solutions Inc., Praxis Capital Partners Co., H&Q Korea Partners Co., Premier Partners LLC, Genesis Private Equity, Eum Private Equity, LB Investment Inc., Daol Private Equity Ltd. and Korea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Fund.KTCU is expected to allocate between 40 billion won and 100 billion won per fund, depending on the outcome of final negotiations.The latest commitment by the teachers’ retirement fund is expected to bring a measure of relief to the Korean private equity industry - a welcome break in the storm.한국 교직원을 위한 연금 운용 기관인 한국교직원공제회가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10곳을 블라인드펀드 운용사로 선정하고, 총 7000억 원을 출자할 계획이라고 투자은행(IB) 업계 소식통이 전했다.선정된 사모펀드 운용사에는 JKL파트너스, IMM크레딧앤솔루션,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 H&Q코리아파트너스, 프리미어파트너스, 제네시스PE, 이음PE, LB인베스트먼트, 다올PE, 그리고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가 포함됐다.KTCU는 최종 협상 결과에 따라 펀드별로 400억 원에서 최대 1000억 원까지 배정할 것으로 보인다.이번 교직원공제회의 출자 결정은 최근 침체된 국내 사모펀드 업계에 어느 정도 숨통을 틔워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치 폭풍 속에서 잠시 찾아온 소강상태와도 같다.해설펀드(fund)란 어떤 목적을 위해 모은 자금, 기금을 의미합니다. 특히 투자와 관련된 펀드는 공모펀드(public offering fund)와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로 나뉩니다. 공모펀드는 50인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국민대 신설 등 3928명 선발…수학문항 변별력 높아

    2026학년도에는 국민대, 강남대 등이 약술형 논술을 신설하면서 총 3928명을 약술형 논술 전형으로 선발한다.약술형 논술은 크게 국어와 수학을 모두 출제하는 가천대 유형과 수학만 출제하는 한국외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고사 시간이 비교적 짧으면서 특히 수학 문항의 변별력이 대체로 높다고 볼 수 있다(표 참조). 수학 문항은 전체적으로 평이한 난이도로 구성되지만, 가천대의 경우 확실한 킬러 문항이 1~2개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대비 전략이 필요하다.▶ 2026학년도 약술형 수리논술 대비포인트 ◀1. 수Ⅰ, 수Ⅱ EBS 연계교재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것이 효율적- EBS 수능특강, EBS 수능완성 병행학습2. 고1 수학의 탄탄한 기초를 바탕으로 수Ⅰ, 수Ⅱ의 단원별 개념을 고르게 익혀야 함-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등 고1 기초내용과 지수로그, 수열, 극한 등과 연계비중 높음3. 실제구성과 동일한 모의고사 훈련으로 실전력 극대화- 평이한 5~6 문항을 빠르게 풀고, 이후 킬러문항 1~2 문항을 공략하는 것이 합격포인트

  • 대입 전략

    17개 의대 정시 평균 98.19점 → 97.44점 떨어져…수시는 서울권 제외 하락…메디컬 전반 내림세

    2025학년도는 전국 40개 의대(의학전문대학원 포함)의 모집 정원이 전년 대비 1509명 늘면서 의대 입시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이르던 해다. 전체 모집 정원이 3058명에서 4567명으로 큰 폭으로 늘면서 의대 최저 합격선은 하락할 것이란 예측이 많았다. 의대가 최상위권 학생을 블랙홀처럼 흡수하면 치대, 한의대, 약대 등 메디컬 학과 전반의 합격선도 연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종로학원이 2024학년도, 2025학년도 2개년 동일 기준 발표 대학으로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의 수시·정시 일반전형 합격선을 분석한 결과, 실제 메디컬 전반의 합격선 하락 추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점수에 맞춰 지원하는 안정 지원 경향이 강한 정시에서 합격선 하락 추세는 더 뚜렷했다. 대학별 발표 성적 기준이 70%컷, 평균, 최저 등으로 달라 대학 간 직접 비교는 힘들지만, 2개년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데는 유의미할 것으로 보인다.먼저 의대 수시 학생부교과 전형을 살펴보면, 2개년 동일 기준 발표 20개 대학의 합격선을 분석한 결과, 2024학년도 평균 1.24등급에서 2025학년도 1.35등급으로 0.11등급이 하락했다. 권역별로 들여다보면 서울권(3개교)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합격선 하락이 목격됐다. 경인권보다 지방권 하락 폭이 더 컸다. 경인권(2개교)은 같은 기간 1.00등급에서 1.06등급으로 0.06등급 하락에 그쳤지만, 지방권(15개교)은 1.28등급에서 1.41등급으로 0.13등급이 떨어졌다. 지방권 중에선 부울경(부산·울산·경남 3개교)의 하락 폭이 0.16등급(1.18등급 → 1.34등급)으로 가장 컸다.의대 수시 학생부종합도 유사한 추세다. 합격선 발표 18개 대학 기준 1.87등급에서 1.95등급으로 0.08등급이 하락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역-제구실'로 엿보는 우리말 조어법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신고된 홍역 환자는 모두 52명이다. 이는 지난해 1년간 발생한 환자 49명보다 많은 것으로, 2019년(연간 194명) 이후 6년 만에 최다다.”이달 4일 국내 홍역 환자가 다시 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 한동안 화제가 됐다. 우리나라는 2014년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홍역 퇴치국으로 인정받았다. 그런데도 소규모 환자가 계속 생기는 이유는 이들 대부분이 해외에서 유입되어서다.‘제구실’은 환유 통해 탄생한 조어‘홍역(紅疫)’은 1~6세의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하는 급성전염병이다. 온몸에 좁쌀 같은 붉은 발진이 돋는다고 해서 붉을 홍(紅) 자와 염병 역(疫) 자를 써서 이름 지었다. 이름에는 병에 대한 단서가 담겨 있다. ‘후진국형 질병’이라고 할 만큼, 의료시설과 후생이 열악하던 지난 시절엔 아주 흔한 병이었다.그런 만큼 우리말에도 그 존재감이 역력히 남아 있는데, ‘제구실’이 그것이다. ‘제구실’이란 ‘자기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나 책임’을 뜻하는 말이다. “제구실도 못 하는 주제에 남의 걱정을 한다” 같은 게 전형적 용법이다. 여기에 더해 ‘어린아이들이 으레 치르는 홍역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아이가 홍역을 앓고 나야 비로소 사람 구실을 한다는, 그만큼 누구나 치러야 하는 역병이라고 해서 생겨난 이름이다.“홍역을 치렀다”라는 관용구에도 이 질병에 대한 무서움이 담겨 있다. 이는 어떤 일에서 ‘몹시 애를 먹거나 어려움을 겪는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큰아들의 가출로 온 집안이 홍역을 치렀다”처럼 쓴다. 그러니 홍역의 또 다른 이름인

  • 대학 생글이 통신

    "경제학의 목적은 보다 나은 세상 만들기죠"

    저는 어릴 때부터 책 속 주인공을 돕는 조력자가 되고 싶었습니다. 중학교 3학년 때 우연히 EBS 다큐멘터리 ‘자본주의’를 봤는데요. 주인공이 꿈을 이루는 책 속의 행복한 결말과 달리 현실에는 복지의 사각지대에 있어 도움을 받지 못하는 청소년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또 그런 청소년들이 가난한 환경 탓에 무언가를 꿈꿀 마음의 여유조차 갖기 어렵다는 것도 깨달았습니다. 그 순간 목표가 생겼습니다. 전 세계 빈곤 청소년들의 꿈을 지켜주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경제학과에 진학했습니다.대학에 입학해보니 경제학과에선 수학을 생각보다 더 많이 필요로 했습니다. 동기끼리 “우리는 분명 문과생인데, 수학과에 온 것 같다”는 말을 주고받을 정도입니다. 경제학보다 수학을 더 많이 활용하는 전공 분야도 많겠지만, 경제학은 기본적으로 그래프와 공식을 이용해 세상을 분석합니다. 이때 수학적 방법은 복잡한 경제 현상을 단순화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서울대 경제학부는 2024학년도부터 미적분을 고등학교에서 배워야 할 필수 권장 과목으로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입학생의 수학적 역량을 중요시한 것입니다. 따라서 수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경제학과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말하면 그래프나 수학적 공식이 경제학의 전부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경제학에서 그래프와 공식은 수단일 뿐입니다. 궁극적 목적은 경세제민, 즉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하는 것입니다. 단순한 물질적 풍요를 넘어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경제학의 목표입니다.최근 경제학계에선 국내총생산(GDP)을 대신하는 행복지수(Happy Planet Inde

  • 학습 길잡이 기타

    전기의 진동, 빛의 파동…허수가 문제 푸는 열쇠죠

    허수는 처음엔 받아들이기 어려운 개념이었다. 실수처럼 눈으로 볼 수도, 손으로 측정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계산 속에서 그 존재는 점점 더 명확해졌다. 삼차방정식을 풀던 과정에서, 전기회로의 진동을 분석할 때, 빛의 파동과 소리의 진동을 수식으로 설명할 때, 허수는 실수보다 더 자연스럽게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되었다.우리는 허수를 기호 i로 표현하기로 약속했다. 이때 i는 i2=-1이라는 관계를 갖는 특별한 수로, 실수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새로운 수의 세계를 열어준다. 이 허수는 단독으로 존재하기보다 실수와 결합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a+bi라는 형태는 하나의 수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실수 a와 허수 b가 함께 있는 형태로, 이를 ‘복소수’라고 부른다.복소수는 특별한 점이 하나 있다. 바로 시각화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중학교 수학 시간에 x+y=3 같은 방정식을 그래프로 그릴 때,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직선이나 곡선을 표현했던 것을 떠올려보자. 복소수도 마찬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축은 우리가 익숙한 ‘x, y’가 아니라, 실수 부분은 가로축, 허수 부분은 세로축에 두는 것이다. 가령 3+4i가 있다고 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좌표 (3, 4) 위의 한 점으로 대응시키는 것이다. 이 공간을 우리는 ‘복소평면(complex plan)’이라고 부른다.이 복소평면에서 복소수는 단순한 좌표가 아니라 벡터로 생각할 수 있다. 즉 방향과 길이를 가진 화살표처럼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또 다른 장점이다. 예를 들어 3+4i는 길이 가 되고, 방향은 실수축과 이루는 각도로 표현할 수 있다.이 구조의 진가는 곱셈이나 나눗셈을 할 때 드러난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二虎競食計 (이호경식계)

    ▶한자풀이二: 두 이    虎: 범 호    競: 다툴 경    食: 먹을 식    計: 꾀 계두 마리 호랑이를 다투게 만드는 계책상대의 갈등을 조장해 이익을 취함 -<사기(史記)><사기(史記)> 장의열전에는 변장자(卞莊子)가 두 마리의 호랑이를 잡은 이야기가 나온다. 변장자가 호랑이를 찌르려고 할 때 그가 묵고 있던 여관에서 심부름하는 아이가 말리면서 이렇게 말했다.“두 호랑이가 소를 잡아먹으려고 하는데, 고기를 먹어보고 맛이 있으면 반드시 서로 다툴 것이고, 다투게 되면 반드시 싸울 것이며, 싸우게 되면 큰 놈은 다치고 작은놈은 죽을 것이니, 다친 놈을 찌르면 단번에 두 마리 호랑이를 잡았다는 소리를 듣게 될 것입니다.”변장자가 그 말을 따라 기다리니, 과연 두 마리 호랑이가 싸워 큰 놈은 다치고 작은놈은 죽었다. 변장자는 다친 놈을 칼로 찔러 단번에 두 마리의 호랑이를 잡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고사에서 유래한 이호경식계(二虎競食計)는 ‘두 마리 호랑이가 서로 싸우게 하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대적하는 상대의 갈등을 조장해 서로 싸우게 함으로써 이익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호경식지계(二虎競食之計)라고도 한다.<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도 이 계책이 언급된다. 여포가 서주에 주둔한 유비에게 몸을 의탁하자, 조조는 두 사람이 힘을 합쳐 자신을 공격해올 것을 두려워했다. 이에 순욱은 무력을 쓰기보다는 유비와 여포가 서로 싸우게 하는 계책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황제에게 청하여 유비를 서주목(徐州牧)으로 임명하게 하고, 여포를 제거하라는 밀서를 내리십시오. 유비가 여포를 제거하면 유비는 한쪽 팔을 잃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