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의문의려 (倚門倚閭)
▶한자풀이倚 : 기댈 의門 : 문 문倚 : 기댈 의閭 : 이문려'문에 기대어 기다린다'는 뜻으로자식이 돌아오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 - 《전국책(戰國策)》춘추시대 왕손가(王孫賈)는 열다섯에 제(齊)나라 민왕을 모시는 신하가 되었다. 왕손가의 어머니는 그가 입조(入朝)해 집에 늦게 돌아올 때면 문 앞에 기대 서서 아들을 기다리곤 했다.연(燕)나라가 제나라의 도성 임치(臨淄)를 급습해 민왕이 피신했다. 왕손가는 이 소식을 듣고 황급히 뒤쫓았으나 왕을 찾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어머니가 꾸짖듯 물었다. “연나라 군대가 쳐들어왔는데, 너는 어찌하여 왕을 보호하지 않느냐?” “저는 왕이 어디 계신지 모르겠습니다.”어머니가 버럭 화를 냈다. “네가 아침에 나가 늦게 돌아올 때면 나는 대문에 기대 네가 돌아오는지 바라보았고, 네가 저녁에 나가 돌아오지 않으면 나는 마을 문 앞에 기대어 네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女朝出而晩來 則吾倚門而望 女暮出而不還 則吾倚閭而望). 너는 지금 왕을 섬기는 몸으로 왕이 어디 있는지도 모르면서 어찌 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말이냐.”어머니 말에 왕손가가 다시 민왕의 행방을 알아보니, 이미 초(楚)나라 장군 요치에게 살해당한 뒤였다. 왕손가는 사람들을 규합해 요치를 주살했다. 전한 시대 유향이 전국 시대 전략가들의 책략을 모은 《전국책》에 나오는 고사다. 참고로 주(周)나라 때 행정구역으로 스물다섯 집을 리(里)라 했는데, 리마다 세운 문 곧 이문(里門)을 려(閭)라고 한다.의문의려(倚門倚閭)는 ‘문대 기대어 기다린다’는 뜻으로, 밖에 나간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부모의 간절한 심정을 비유하는 말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나쁜 의뢰인' 변호할 때 고충 느껴" 변호사의 세계
"돈 많이 버는 직업? 의뢰인 입장 헤아리는 센스 필요하죠"법무법인 한별 허종선 파트너 변호사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하 우영우)’가 인기다. 천재적인 두뇌와 자폐스펙트럼을 동시에 지닌 신입 변호사 우영우의 대형 로펌 적응기를 그린 이 드라마를 보며 시청자들은 사건을 통쾌하게 해결하는 변호사 우영우에게 감정을 이입한다. 변호사를 다룬 드라마와 영화는 늘 세간의 이목을 끈다. 그래서일까. 많은 직업이 생겨났음에도 변호사는 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 순위에서 여전히 상위권에 올라 있다. 사법시험 폐지, 로스쿨 도입 이후 변호사의 문턱이 낮아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바늘구멍만큼 통과하기 어려운 직업 변호사의 세계를 허종선 변호사에게 들어봤다. ▶변호사가 되려면 어느 정도로 공부를 잘해야 하나요.“천재일 필요는 없지만 넉넉잡아 전국 상위 10% 안에는 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시험에서 운(運)은 필수입니다.”▶공부만 잘하면 변호사 업무를 잘 할 수 있나요. “그건 아닌 것 같아요. 공부를 잘해야 할 수 있는 직업이긴 하지만 그것보다 소통 능력이나 센스가 필요한 직업이에요. 보통 변호사들은 공부머리와 일머리 모두 있어야 잘 할 수 있는 직업이라고 하거든요.”"의뢰인 입장에서 생각하는 센스가 필수" ▶변호사의 센스란 어떤 것을 말하는 건가요. “의뢰인이 사실 관계를 복잡하게 말할 때 쟁점이 뭔지, 의뢰인이 뭘 바라는지, 향후 대응 방안을 단계적으로 어떻게 세워나갈 건지를 그려야 하는데 센스가 없으면 안 되죠. 순발력, 상황 대처능력, 증거 수집이나 사건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의뢰인이
-
대학 생글이 통신
"열등감 떨쳐내기 위해 이 악물고 공부했더니…"
부모님으로부터 “너는 커서 뭐가 되려고 하니?”라는 말을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듣고, 농구를 좋아해 선수들의 사진으로 벽을 도배하다시피 했습니다. 성적표는 점수를 올려 위조했습니다. 아버지는 성적표를 보고 실망 가득한 표정을 애써 감추셨습니다.저를 놓고 싶었습니다. 스스로에 대한 기대나 미래에 대한 열망을 포기하면 마음이 편할 것 같았습니다. 학교생활을 취미로 생각하고, 남들보다 이른 나이에 고깃집 불판을 닦거나 편의점에서 바코드를 찍고 싶었습니다. 돈을 벌면 부모님으로부터 자립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했고, 이런 경험들이 내 삶에 좋은 양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때 제 나이는 열여섯이었습니다.입학 성적 173등으로 고등학교에 들어갔습니다. 공부할 생각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공부 잘하는 친구 앞에서 점차 주눅 드는 제 모습이 보였습니다. 피가 끓었습니다. 열등감을 떨쳐내고 싶어 공부하기로 했습니다.희망 학교란에 서울대를, 희망 직업란에 검사를 써서 제출했습니다. 담임선생님께서 이를 보고 귀엽다는 듯 피식 웃으며 머리를 한번 쓰다듬어 주셨습니다. 한번 더 피가 끓었습니다.무엇을 먼저 해야 할까 고민하다 해외 농구 기사를 본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영어가 그나마 만만했습니다. 기초가 없어도 영어 단어 암기는 의지만 있다면 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습니다. 영어 학원에 등록했습니다.전교 173등 주제에 서울대와 검사를 꿈꾸는 것이 부끄러웠기에 더 열심히 했습니다. 물론 죽을 맛이었지만 하다 보니 오기가 생겼습니다. 두 달 동안 4000개 정도의 단어를 외웠습니다. 화장실에 갈 때도, 산책할 때도 단어장을 들고 다녔습니다. 도무지 외워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올렛길 vs 올레길, 규범과 현실 사이
‘약 400만 건 대(對) 15만 건.’ 대략 26배 차이다. 최근 구글 전체에서 검색된 ‘올레길’과 ‘올렛길’의 빈도수다. ‘둘레길’과 ‘둘렛길’은 어떨까? 그 차이는 더 일방적이다. ‘1100만 건 대 1만1000건’이다. 둘레길 빈도가 둘렛길보다 1000배 정도 많다.지난 7월 초 국립국어원 회의실. 올레길과 둘레길의 표기 문제가 현안으로 올라왔다. 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을 규정(제30항)한 정신에 따르면 ‘올렛길[올레낄], 둘렛길[둘레낄]’로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 표기 사례는 ‘올레길, 둘레길’로 사이시옷 없는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다. 규정과 현실 어법이 다르다 보니 널리 쓰이는 말인데도 표기를 정하지 못해 아직 사전에 오르지 못했다. ‘실횻값’ 등 규정 따르면 표기 어색해져사이시옷은 우리말 적기의 두 기둥인 ‘소리적기’와 ‘형태적기’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나온 완충장치라고 할 수 있다. 가령 ‘전세’와 ‘값’이 결합할 때 누구나 [전세깝] 또는 [전섿깝]으로 발음한다. 이를 발음대로 적자니 원형이 무너지고, 반대로 원형을 살려 ‘전세값’으로 적자니 표기가 실제 발음을 드러내지 못한다. ‘전셋값’은 그런 고민 사이에서 찾아낸, 일종의 절충형으로 이해하면 된다. 사이시옷을 덧붙임으로써 ‘전세’의 말음을 막아 뒤에 오는 ‘값’을 자연스럽게 [깝]으로 발음하게 한 것이다. 시옷(ㅅ)은 마찰음이지만 받침으로 쓰일 때 폐쇄음인 ‘ㄷ’(대표음)으로 발음돼 뒤에 오는 자음을 된소리로 나게 한다.하지만 사이시옷이 언제나 환영받는 것은 아니다. 특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삼마태수 (三馬太守)
▶한자풀이 三 : 석 삼馬 : 말 마太 : 클 태守 : 지킬 수세 마리의 말만 타고 오는 수령재물을 탐하지 않는 청백리를 이름 -조선시대 송흠(宋欽)의 고사송흠(宋欽)은 조선 성종 때 외교문서를 담당한 승문원에서 일하다 연산군의 폭정을 비판해 관직에서 쫓겨났다. 중종반정으로 복직해 홍문관 박사 등의 관직에 올랐다. 특히 그는 1528년 담양부사가 된 뒤 장흥부사, 전주부윤, 전라도 관찰사 등 지방의 외직(外職)에 여러 해 있었다.당시 조선은 지방관이 사용할 수 있는 역마(驛馬)의 수를 관직에 따라 법으로 정해 놓았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따르면 부사(府使: 지방 장관직)는 부임이나 전임 시 짐을 운반하는 태마(駄馬) 한 필을 포함해 세 필의 말을 쓰고, 수행원을 위해 네 필의 말을 쓸 수 있었다. 때문에 대다수 지방관은 7~8필의 말을 데리고 떠들썩하게 부임하고 전임했다.하지만 송흠은 늘 세 필의 말만으로 검소하게 행차하고 짐도 단출했다. 지극한 효성과 청렴으로 이름이 높아지면서 백성들은 그를 삼마태수(三馬太守)라고 불렀다. 삼마태수는 ‘세 마리의 말만 타고 오는 수령’이라는 뜻으로, 재물을 탐하지 않는 청렴한 관리를 이른다. 맑고 흰 벼슬아치를 이르는 청백리(淸白吏)도 뜻이 같다.《고려사(高麗史)》에도 비슷한 고사가 전해진다. 고려 충렬왕 때 승평부(현재의 순천)의 부사로 있던 최석(崔碩)이 비서랑이 되어 그곳을 떠나게 되자, 마을 사람들이 말을 바치며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르라 청했다. 최석이 웃으며 사양했다. “말은 경도(京都)에만 이를 수 있으면 될 것을 골라서 무엇하겠느냐” 하고는 모두 되돌려 보냈다. 마을 사람들이 말을 받지 않자 망아지
-
영어 이야기
우월함을 표현할 땐 edge를 활용해요
Naver’s web browser Whale challenges global rivals:New functions and localization services give Whale an edge in South KoreaSouth Korea’s homegrown web browser Whale, developed by Naver Corp., is quietly increasing its presence in the domestic market, where Google Chrome maintains its dominance.In many other countries, Chrome, Microsoft Edge and Apple Inc.’s Safari control the web browser market. In South Korea, however, Whale boasts a higher average share than Edge in the PC and mobile internet markets with about a 10% share, according to web analytics company StatCounter. The figure compares with Whale's market share of 8.3% as of end-2020.Naver launched a PC version of its own web browser Whale in 2017 and its mobile version in 2018. The Whale of the country’s top online portal was designed to reduce the time users spend browsing the internet. To do so, it introduced a multitasking function that splits the screen and allows users to browse two websites with a dual tab.네이버의 웹 브라우저 웨일이 글로벌 경쟁자들에게 도전한다:새로운 기능과 한국 시장에 특화된 서비스가 웨일의 강점네이버가 개발한 한국의 토종 웹 브라우저 웨일이 구글 크롬이 장악하고 있는 시장에서 조용히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대부분 나라에서 웹 브라우저 시장은 크롬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에지, 애플의 사파리 등이 장악하고 있다. 하지만 웹 분석회사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한국의 PC·모바일 브라우저 시장에서 웨일은 약 1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에지를 따돌렸다. 2020년 말만 해도 웨일의 점유율은 8.3%였다.네이버는 자체 웹 브라우저인 웨일을 2017년 PC용으로 선보인 데 이어 2018년에는 모바일 버전도 내놨다. 한국 1위 포털인 네이버가 만든 웨일은 이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드는 시간을 줄이도록
-
대입 전략
전국 44개 대학 1만1248명 논술전형으로 선발…44곳 중 38개 대학에서 내신 10~60% 반영
수시 논술전형은 내신의 실질 영향력이 학생부위주전형에 비해 작은 편이다. 이 때문에 내신 등급이 낮은 학생들이 논술전형을 목표하는 경우가 많다. 논술전형에서 내신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내신 영향력이 아주 없다고는 할 수 없다. 대학별로 내신 반영 비율 및 실질 영향력의 차이가 커 내신 영향력을 무시 못할 대학도 분명 있다. 대학별로 내신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꼼꼼하게 살펴본 뒤 지원을 결정해야 한다. 2023학년도 논술전형 내신 영향력을 분석해본다.학생부(교과) 반영 비율 0~60%까지논술전형은 논술고사 성적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면서 내신 등급에 해당하는 학생부(교과)를 함께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대학은 출결·봉사 등 학생부(비교과)를 적게는 3%에서 많게는 10%까지 반영한다. 하지만 학생부(비교과)는 특별한 상황이 아닌 이상 만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당락에 끼치는 영향력이 큰 편은 아니다. 이렇게 44개 대학에서 올해 1만1248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학생부를 반영하지 않고 논술 100%로 선발하는 대학은 연세대, 성균관대, 건국대, 덕성여대, 연세대(미래), 한국항공대 등 6개 대학뿐이다.학생부(교과)를 반영하는 곳 중 반영 비율은 대학별로 작게는 10%에서 많게는 60%에 이른다. 홍익대, 홍익대(세종), 숙명여대, 서강대 등이 10%로 작은 편이다. 중앙대, 경희대, 서울여대 등 9개 대학은 내신을 20% 반영하고, 이화여대, 서울시립대, 한국외국어대, 세종대 등 18개 대학은 내신 반영 비중이 30%로 더 높다. 숭실대, 가천대(글로벌, 메디컬) 등 6개 대학은 내신을 40% 반영하고, 서경대는 내신 반영 비중이 60%로 가장 높다.평균 3~5등급에선 내신 영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지문의 문장이 복잡한 이유? 친절한 설명 때문
가상의 결과는 관측할 수 없으므로 실제로는 사건을 경험한 표본들로 구성된 시행집단의 결과와, 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표본들로 구성된 비교집단의 결과를 비교하여 사건의 효과를 평가한다. (중략)이중차분법은 시행집단에서 일어난 변화에서 비교집단에서 일어난 변화를 뺀 값을 사건의 효과라고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사건이 없었더라도 비교집단에서 일어난 변화와 같은 크기의 변화가 시행집단에서도 일어났을 것이라는 평행추세 가정에 근거해 사건의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이 가정이 충족되면 사건 전의 상태가 평균적으로 같도록 두 집단을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중략)같은 수원을 사용하던 두 회사 중 한 회사만 수원을 바꿨는데 주민들은 자신의 수원을 몰랐다. 스노는 수원이 바뀐 주민들과 바뀌지 않은 주민들의 수원 교체 전후 콜레라로 인한 사망률의 변화들을 비교함으로써 콜레라가 공기가 아닌 물을 통해 전염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중략)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이중차분법을 적용하면 사건의 효과를 잘못 평가하게 된다. 예컨대 ㉠어떤 노동자 교육 프로그램의 고용 증가 효과를 평가할 때,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드는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비중이 비교집단에 비해 시행집단에서 더 큰 경우에는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지 않을 것이다.-2022학년도 6월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ㄴ 시행집단…ㄴ 비교집단…라는 평행추세 가정혹시 국어영역 지문을 읽으면서 문장이 복잡하다고 느낀 적은 없는가? 그것은 느낌이 아니라 사실이다. 그 이유는 국어영역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을 넘어서는 전문 용어를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는 출제되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