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국내에 단 10명뿐인 직업 미술 경매사

    경매 현장의 지휘자 손이천 K옥션 수석경매사 부동산, 주식에 이어 미술품 투자가 새로운 재테크로 각광받고 있다. 과거 미술품 투자는 극소수에게만 허락되는 프라이빗 투자 수단으로 일반인들에겐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최근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아트테크(예술+재테크)’가 새로운 투자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코로나19로 묶여 있던 투자 심리가 폭발하면서 지난해 미술품 경매시장 규모는 약 2969억 원으로 전년(1139억원) 대비 2.6배로 불어났다. 전에 없던 호황을 누린 미술품 경매시장에서 눈에 띄는 직업이 있다. 경매 현장을 지휘하는 ‘미술품 경매사’다. 특유의 카리스마로 현장을 압도하는 손이천 K옥션 수석 경매사를 만나 봤다.▶‘무한도전’이나 ‘나혼자산다’ 같은 예능 프로그램에서 본 기억이 있어요. 미술품 경매사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쉽게 말해 경매 현장에서 경매를 진행하는 일이에요. 작품에 대해 소개하고, 적당 가격에 경매를 시작해 응찰을 받는 등 경합·낙찰의 모든 과정을 맡아서 진행하죠. 가장 높은 가격에 낙찰을 시키지만 또 그 가격이 과하게 높지 않게 시장의 적정 가격에 잘 파는 게 경매사의 역할이죠.”▶높은 가격에 낙찰시킬수록 좋은 거 아닌가요.“물론 단기간의 실적을 봤을 땐 좋죠. 하지만 경매 회사는 중개 역할이기 때문에 저희가 팔았던 제품이 다시 저희 쪽으로 올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과도한 경합 끝에 시장가보다 높은 금액에 응찰을 받은 분이 다시 경매에 내놓게 될 경우 그보다 높은 가격을 받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거든요. 가격의 균형을 유지하는 게 경매회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矯枉過正 (교왕과정)

    ▶한자풀이 矯: 바로잡을 교 枉: 굽을 왕 過: 지날 과 正: 바를 정구부러진 것을 펴려다 거꾸로 굽는다잘못을 고치려다 되레 더 나빠짐       -<후한서(後漢書)> 등후한의 원강이 지은 오나라 월나라 역사서 <월절서(越絶書)>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원수를 갚고 적을 치는 것은 그 지성이 하늘에 통하지만 잘못을 고치려다가 오히려 정도가 지나친다(子之復仇 臣之討賊 至誠感天 矯枉過直).’<후한서(後漢書)>에도 뜻이 같은 문구가 있다. ‘나라가 잘 다스려지면, 사람들은 부정한 기풍과 혼란을 바로잡기를 바라는데 구부러진 것을 바로잡으면서 마땅한 정도를 지나치기도 한다(復入于矯枉過正之檢).’교왕과정(矯枉過正)은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 반대로 굽는다는 뜻이다. 흠을 고치려다 정도가 지나쳐 되레 나쁜 결과를 불러오는 것을 꼬집는 말이다. 교왕과직(矯枉過直)으로도 쓴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다’는 우리 속담과 뜻이 비슷하다. 작은 일에 힘쓰다 큰일을 그르친다는 소탐대실(小貪大失)과도 문맥이 닿는다.쇠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교각살우(矯角殺牛)는 우리 귀에 더 익은 한자성어다. 중국에서는 예전에 종을 처음 만들 때 뿔이 곧게 나고 잘생긴 소의 피를 종에 바르고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 한 농부가 제사에 올릴 쇠뿔이 조금 삐뚤어져 이를 바로 바로잡으려다 뿔이 뿌리째 빠져서 소가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했다. 이 또한 작은 흠을 고치려다 수단이 지나쳐 일을 망치는 것을 비유한다.자공이 스승 공자에게 물었다.“자장과 자하는 누가 낫습니까.”“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과'의 기술, 일상의 언어와 격식의 언어

    지난달 내내 인터넷을 달군 ‘심심한 사과’ 논란은 우리 사회에 새삼 문해력이란 화두를 던졌다. 하지만 그 본질은 ‘쉬운 우리말 쓰기’를 실현하기 위한 수많은 다툼 중 하나로 수렴된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 쓰기’는 19세기 말 독립신문에서 파격적으로 한글 전용과 띄어쓰기를 도입한 이후 100년 넘게 이어온 우리말 운동의 방향타였다. 그 가치는 지금도 유효하다. ‘헤밍웨이식 글쓰기’, 장단점 함께 살펴야간결하면서도 평이한 언어를 쓰는, 이른바 ‘헤밍웨이식 글쓰기’는 전통적으로 언론에서 추종해온 기사 작법의 원칙이다. 하지만 그것이 다는 아니다. 짧은 문장과 쉬운 단어가 특징인 헤밍웨이 문체가 오히려 어휘력 향상을 가로막는다는 주장도 간과할 수 없다. 적어도 어떤 단어가 문장 속에서 꼭 필요하고 적절한 표현이라면 다소 어려운 말도 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요지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 쓰기’와 ‘난해하지만 정교하고 고급스러운 어휘 사용’, 두 명제는 글쓰기에서 늘 딜레마로 작용한다.‘심심한 사과’ 논란에 가려 크게 보도되지는 않았지만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사과문이 또 하나 있었다. 코로나로 3년 만에 재개된 인천 OO축제가 배경 무대다. 행사 진행자의 ‘퐁퐁남’ 발언 등 부적절한 언행이 세간의 입길에 올랐다. 조직위는 여론 악화를 우려해 급히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렸다. “주최 측으로서 … 책임을 통감합니다. 그리고 해당 사안에 대해 진심의 사과 말씀을 드립니다.”사과문의 일부로, 그리 어렵지 않은 단어로 구성된 문구다. 짧은 문장이지만 우리말 오류 몇 가지가 압축적으로

  • 대입 전략

    2022학년도 이화여대 <초등교육과>국수탐 평균 92.7점 '최고'…정시 수능 국수영탐 영역 간 반영비중 차 적은 편

    교대는 전국에 10곳, 일반 4년제 대학 초등교육과는 3곳이 있다. 전국 교대 및 초등교육과 정시 입시 결과를 분석해보고, 올해 정시 선발 방법을 살펴본다.교대 및 초등교육과는 문과생이 선호하는 대표적 학과 중 하나로 인문계 학생의 지원 비중이 높은 편이다. 특히 상위권 학생의 지원이 많아 합격선이 높게 형성되곤 한다. 교대 및 초등교육과도 통합수능 첫해의 영향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주요 대학 인문계 학과의 합격선이 주저앉았던 현상이 교대 및 초등교육과에서도 관찰됐다. 수학에서 이과생(미적분 또는 기하 응시) 강세로 문과생의 백분위가 전반적으로 낮게 형성되면서 벌어진 일이다.대입정보포털 ‘어디가’를 통해 발표된 교대 및 초등교육과 12곳의 통합수능 첫해인 2022학년도 정시 합격선을 분석한 결과 이화여대 초등교육과가 국어, 수학, 탐구 백분위 평균(70%컷 기준) 92.7점으로 가장 높게 분석됐다. 국수탐 백분위 합으로 바꿔보면 278.1점에 해당하는 점수다. 이를 주요 대학과 비교해보면 고려대 사학과(92.7점), 한양대 정책학과(92.7점), 연세대 문화인류학과(92.5점), 성균관대 교육학(92.2점)과 비슷한 수준이다.다음으로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91.0점, 춘천교대 90.5점, 서울교대 89.7점, 부산교대 89.2점, 경인교대 88.8점, 대구교대 87.8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청주교대가 81.2점으로 가장 낮은 합격선을 보였다. 백분위를 발표하지 않은 공주교대는 제외한 결과다.이를 2021학년도 합격선과 비교해보면 춘천교대와 대구교대를 제외한 10곳의 합격선이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합격선이 내려갔다. 전주교대가 2021학년도 90.2점에서 2022학년도 84.0점으로 6.2점 내려가면서 가장 큰 하락폭을

  • 대학 생글이 통신

    독해·사고·논리·유추력 말로 표현할 줄 알아야

    논술과 일반 면접을 비롯한 시험은 빠르고 정확한 문제 풀이를 요구하는 반면 제시문 면접은 독해력과 사고력, 논리력, 유추력을 요구합니다. 국어 비문학 문제를 서술형으로 답하는 것과 같습니다.독해력은 주어진 지문을 읽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시험에서는 다른 내용의 제시문이 여러 개 주어지기 때문에 모든 지문을 정확히 이해하고 풀기 어렵습니다. 만약 자기가 아는 내용이 제시문으로 주어지면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기 때문에 과학 선행 지식이 풍부할수록 유리합니다.유추력은 여러 개의 제시문에서 키워드를 찾고 다른 제시문 간의 연관성을 찾는 능력입니다. ‘제시문 (가) (나) (다)를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단어를 적으시오’는 제시문 면접의 단골 질문입니다. 이를 풀기 위해선 제시문 (가) (나) (다)의 내용을 몇 개의 키워드로 요약하고, 그중 공통되는 키워드를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 구한 키워드가 다음 문제를 푸는 열쇠인 경우가 많아 정확한 키워드를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얼핏 쉬워 보이지만, 삼투압 현상과 <춘향전>의 공통점을 찾으라고 하면 대부분 어쩔 줄 몰라 합니다.그래서 필요한 게 사고력입니다. 창의력이나 확장력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한 제시문에 대해 최대한 많은 개념을 떠올리는 능력입니다. 여러 개념을 떠올릴수록 공통되는 개념을 찾기도 쉬워지고, 답변의 질 또한 올라갑니다. 거의 확대해석이라 생각될 정도로 생각을 확장할 것을 추천합니다.문제 풀이와 별개로 답변을 조리 있게 말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는 어느 면접에서나 중요하지만, 제시문 면접에서는 과학적 개념을 말로 설명하는, 학생들이 거의 해보지 않

  • 대학 생글이 통신

    수험생도 적절히 쉬고 명상해야 학습효과 높아

    대부분의 시간을 수능 공부에 할애하는 수험생은 포기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시간을 주로 공부하는 데 쓴다고 해서 취미생활을 아예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공부하는 절대적 시간이 많아야 하는 것은 맞지만 모든 시간을 수능에 대한 생각으로 채우는 건 좋지 않습니다. 오히려 적절히 쉬면서 공부 이외의 것으로 주의를 환기해야 학습 능률을 올릴 수 있습니다. 특히 개념을 다 배우고 문제풀이로 실력을 다지는 단계에서 같은 내용을 계속 반복하면 질릴 수 있습니다. 감을 유지하면서도 지치지 않도록 과목별 공부 주기를 잘 설정하고 중간중간 잘 쉬어줘야 합니다. 자신이 어떤 활동을 할 때 생기가 돌고 인생에 대한 욕심이 생기는지를 알아내 취미로 삼으면 공부하는 데 원동력이 되기도 합니다.수험생의 삶도 존중받아야 합니다. 시험을 준비하는 시간은 결과의 대가로 희생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으로서 살아가는 인생의 한 부분입니다. 10대 후반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아가고 진로를 탐색하는 시기입니다. 시험 준비를 이유로 이 시기에 해야 하는 중요한 일을 넘겨버려서는 안 됩니다. 종종 책을 읽으며 세상을 보는 시각을 넓히기도 하고 자신이 걸어온 길과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도 가져야 합니다. 이렇게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의 틀을 세우다 보면 삶의 주체성이 생겨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을 중심에 두는 것입니다. 고3 학생들은 시험 경험이 비교적 많은 재수생들이, 지방에 사는 학생들은 각종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 학생들이 막연히 두려울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처지를 잘 모르기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대상의 긍정 또는 부정은 관점에 따른다

    아도르노의 미학은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통해 예술의 자율성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예술은 사회적인 것인 동시에 사회에서 떨어져 사회의 본질을 직시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의 미학은 기존의 예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한다. 가령 사과를 표현한 세잔의 작품을 아도르노의 미학으로 읽어 낸다면, 이 그림은 사회의 본질과 유리된 ‘아름다운 가상’을 표현한 것에 불과할 것이다.하지만 세잔의 작품은 예술가의 주관적 인상을 붉은색과 회색 등의 색채와 기하학적 형태로 표현한 미메시스일 수 있다. 미메시스란 세계를 바라보는 주체의 관념을 재현하는 것, 즉 감각될 수 없는 것을 감각 가능한 것으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략>그는 … 미적 체험을 현대 사회의 부조리에 국한시킴으로써, 진정한 예술을 감각적 대상인 형태 그 자체의 비정형성에 대한 체험으로 한정한다. 결국 그는 … 미적 체험을 현대 사회의 부조리에 국한시킴으로써, 진정한 예술을 감각적 대상인 형태 그 자체의 비정형성에 대한 체험으로 한정한다. 결국 아도르노의 미학에서는 주관의 재현이라는 미메시스가 부정되고 있다.한편 아도르노의 미학은 예술의 영역을 극도로 축소시키고 있다. 즉 그 자신은 동일화의 폭력을 비판하지만, 자신이 추구하는 전위 예술만이 진정한 예술이라고 주장하며 전위 예술의 관점에서 예술의 동일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이는 현실 속 다양한 예술의 가치가 발견될 기회를 박탈한다. 실수로 찍혀 작가의 어떠한 주관도 결여된 사진에서조차 새로운 예술 정신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베냐민의 지적처럼, 전위 예술이 아닌

  • 영어 이야기

    노력으로 성과를 얻을 때 표현은 carve out

    Artificial intelligence(AI)-driven translation has been dominated by big tech. Alphabet Inc.’s Google LLC is the global leader while Naver Corp. is the dominant player in South Korea based on Naver Papago, a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cloud service. These services translate everything from research materials to day-to-day conversations.But that doesn't prevent startups from carving out a place of their own in the machine translation industry. They can often tackle business verticals, niche marketplaces where suppliers serve a specific business audience in a specialized industry, better than conglomerates.One such firm is Flitto. With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on its radar, the startup recently introduced a QR code-based multilingual menu translation service. The service works on restaurant menus and brochures at tourist information centers. It is compatible with QR codes available at major shopping malls such as The Hyundai Seoul i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인공지능(AI) 번역 분야는 초대형 테크 기업들이 지배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구글, 국내에서는 네이버(파파고)가 각각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들은 자료 조사, 외국인과의 대화 등 일상적인 번역까지 해결해준다.그렇다고 컴퓨터 번역산업에서 스타트업이 설 땅이 없는 것은 아니다. 빅테크가 해결하기 어려운 버티컬(전문) 영역은 스타트업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이다.플리토가 이런 기업이다. 이 회사는 식음료 사업자들을 위해 QR코드 기반의 메뉴판 번역 서비스를 선보였다.식당의 음식 메뉴판이나 관광센터의 안내 책자 등을 번역해주는 기능이다.더현대 서울 같은 대형 쇼핑몰에서도 QR코드를 이용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번역문을 제공한다. 해설틈새 번역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의 활약을 전하는 기사의 일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