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 추상화·구체화 능력
실학자들의 유서는 … 편찬 의도를 지식의 제공과 확산에 두었다. 또한 … 지식을 재분류하여 범주화하고 평가를 더하는 등 저술의 성격을 드러냈다. … 주자학이 아닌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는 유연성과 개방성을 보였다. … 객관적 사실 탐구를 중시하여 박물학과 자연 과학에 관심을 기울였다.(중략)

18세기의 이익은 서학 지식 자체를 ㉠성호사설의 표제어로 삼았고, … 서학의 세부 내용을 다른 분야로 확대하며 상호 참조하는 방식으로 지식을 심화하고 확장하여 소개하였다. 서학의 해부학과 생리학을 그 자체로 수용하지 않고 주자학 심성론의 하위 이론으로 재분류하는 등 지식의 범주를 바꾸어 수용하였다.(중략)

19세기의 이규경도 ㉡오주연문장전산고를 편찬하면서 서학을 적극 활용하였다.

그는 … 서학의 천문학, 우주론 등의 내용을 수록하였다. 그가 주로 유서의 지적 자원으로 활용한 중국의 서학 연구서들은 … 서학이 가지는 진보성의 토대가 중국이라는 서학 중국 원류설을 반영한 것이었다.


6.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에 대해 파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지식의 제공이라는 ㉮의 편찬 의도는, ㉠에서 지식을 심화하고 확장하여 소개한 것에서 나타난다.
② 지식을 재분류하여 범주화한 ㉮의 방식은, ㉠에서 해부학과 생리학을 주자학 심성론의 하위 이론으로 수용한 것에서 나타난다.
③ 평가를 더하는 저술로서 ㉮의 성격은, ㉡에서 중국 학문의 진보성을 확인하고자 서학을 활용한 것에서 나타난다.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실학자들의 유서는 … 이익… ㉠성호사설… 이규경도 ㉡오주연문장전산고… 6.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에 대해 파악한 내용추상화와 구체화에 관한 국어 능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하위 개념으로부터 상위 개념을 생각하는 추상화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을 생각하는 구체화는 글을 읽을 때 자주 활용되는 국어 능력이다. 이를 잘 활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문제가 자주 출제되며, 위 문제 또한 그중 하나다. 위 문제는 다음과 같은 벤다이어그램을 밑바탕에 두고 있다.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추상적인 특성을 구체적인 사례와 연결지어라
결국 ‘실학자들의 유서’에 대한 ‘이해’라는 추상적 내용을 ‘이익, 이규경’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구체적 내용과 연결짓는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 위 문제의 출제 의도다.① 지식의 제공… 지식을 … 소개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추상적인 특성을 구체적인 사례와 연결지어라
하위 개념이 상위 개념에 속한다는 것은 하위 개념이 갖고 있는 여러 내포 중 하나만이라도 상위 개념의 내포에 속하면 된다. 예컨대 철수 쌤에게는 수많은 특성이 있을 것이다. 그 특성 중 하나인 ‘생각할 줄 안다’는 내포가 인간이 갖고 있는 내포(본질)인 ‘생각하는 능력이 있다’에 속하기 때문에, 철수 쌤은 인간의 하위 개념이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성호사설’의 여러 특성 중 하나인 ‘지식을 … 소개’하는 것이 ‘지식의 제공’이라는 ‘실학자들의 유서’의 특징에 속한다. 즉, 옆의 벤다어이그램처럼 이해할 수 있다.② 지식을 재분류하여 범주화… 해부학과 생리학을 주자학 심성론의 하위 이론으로 수용‘재(再)-’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다시 하는’ 또는 ‘두 번째’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다. 그런데 똑같은 것을 다시 하는 것만이 아니라, 비슷한 다른 것을 다시 하는 것을 말할 때도 사용된다. 그러므로 문제에서 ‘재분류’는 다른 종류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해야 한다. ‘범주화’는 분류와 같은 의미로 이해해도 좋다. 이에 따라 ②를 벤다이어그램으로 이해하면 다음과 같다.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추상적인 특성을 구체적인 사례와 연결지어라
③ 평가를 더하는 … 중국 학문의 진보성을 확인하고자 서학을 활용‘평가’란 사물의 가치나 수준 따위를 헤아려 정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평가를 더’한다는 것은 일종에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설(說)’은 ‘견해’ ‘학설’ ‘풍설’ 따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이것이 결합한 개념은 곧 의견에 해당한다. ‘원류’는 강이나 내의 본줄기라는 뜻인데, 사물이나 현상의 본래 바탕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이 어휘는 고등학생이라면 알고 있어야 하나, 지문의 ‘서학 중국 원류설’은 꼭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국어 출제 선생님들은 ‘서학이 가지는 진보성의 토대가 중국이’라고 서학 중국 원류설이 무엇인지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A의 토대가 B이다’라는 문장 구조는 시간을 의식하는 국어 능력에 따라 B(중국) 다음에 A(서학의 진보성)가 일어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서학 중국 원류는 중국 다음에 서학의 진보성이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③에서는 ‘중국 학문의 진보성’이라 한 데다 ‘진보성을 확인하고자 서학을 활용’했다고 하며 서학 활용 다음에 중국 학문의 진보성을 확인하는 것처럼 말하고 있다. 서학, 중국 학문의 특성을 혼동했을 뿐만 아니라 선후 관계를 거꾸로 파악한 것이다.포인트
성보고 교사
성보고 교사
1. 하위 개념에서 상위 개념을 생각하는 추상화와, 상위 개념에서 하위 개념을 생각하는 구체화는 글을 읽을 때 자주 활용되는 국어 능력이다.

2. 하위 개념이 상위 개념에 속한다는 것은 하위 개념이 가진 여러 내포 중에 하나만이라도 상위 개념의 내포에 속하기만 하면 된다.

3. ‘재(再)-’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다시 하는’ 또는 ‘두 번째’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써, 비슷한 다른 것을 다시 하는 것을 말할 때도 사용된다.

4. 사물의 가치나 수준 따위를 헤아려 정하는 ‘평가’와, 견해’, ‘학설’, ‘풍설’ 따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설(說)’은 의견을 말하는 것과 관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