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휴머노이드 로봇, 인간 대체 시작됐다
최근 중국에서 열린 ‘로봇 올림픽’이 큰 화제였습니다. 사람처럼 머리와 팔, 다리를 가져 ‘휴머노이드(humanoid)’라 부르는 로봇들이 운동회를 연 겁니다. 격투기 시합에 참가한 로봇은 훅에 어퍼컷, 니킥까지 날리며 흡사 사람을 방불케 했지요. 이들은 스스로 판단해 움직이는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을 갖췄습니다. 축구 경기에선 같은 팀 선수끼리 협력하고 상대 팀과는 경쟁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하네요.한편 현대차그룹 계열 로봇 회사인 보스턴다이내믹스가 홈페이지에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의 최신 영상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사람이 작업을 방해해도 스스로 문제를 풀어가며 공구 통을 정리하는 아틀라스의 모습을 선보였죠. 현대차는 오는 10월 미국 조지아주 공장의 생산 공정에 아틀라스를 시범 투입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마침 우리나라 정부도 경제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앞으로 5년 내 ‘휴머노이드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전략을 내놓기도 했습니다.휴머노이드 로봇이 생활 현장에서 인간의 삶을 돕고, 생산 현장에서 인간 노동력을 대체하는 시대가 현실로 다가옵니다. 이런 기능의 로봇이 상용화하는 원년이 바로 올해라고 합니다. 휴머노이드 로봇을 왜 ‘로봇의 미래’라고 부르는지, 기술 수준은 어디까지 발전했는지 4·5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AI 두뇌 얻게 된 휴머노이드 로봇 인간 뛰어넘는 '싱귤래리티' 올 수도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이란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힌트는 휴머노이드라는 말에 있습니다. 이는 ‘사람(human)’과 ‘닮았다(oid)’라는 단어
-
숫자로 읽는 세상
특목·자사고 출신 SKY 신입생 줄었다
2025학년도 주요 대학 합격자 가운데 영재학교와 특목·자사고 출신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24일 종로학원이 전국 97개 영재학교와 특목·자사고 졸업생의 2025학년도 주요 10개 대학(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대 한국외국어대 한양대 KAIST)을 분석한 결과 합격자 수는 872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9026명) 대비 3.4% 감소한 수치다.학교별로는 서울대(1372명) 고려대(1124명) 성균관대(1081명) 연세대(989명) 한양대(836명) 경희대(713명) 한국외국어대(710명) 중앙대(685명) KAIST(610명) 서강대(600명) 순이다.영재학교와 특목·자사고 출신 합격자가 전년 대비 늘어난 곳은 성균관대와 한양대 두 곳뿐이었다. 특히 성균관대는 전년 1063명에서 올해 1081명으로 증가하면서 합격자 수 기준 대학별 순위도 4위에서 3위로 올라섰다.순위 변동은 상위권 학생의 선호도 변화가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연세대는 신입생이 1년 동안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해야 하는 점이 일부 학생에게 부담으로 작용해 선호도가 낮아졌을 것”이라며 “성균관대는 반도체 계약학과와 첨단학과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특목·자사고 출신의 지원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주요 대학의 특목·자사고 출신 합격자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은 의대 선호 현상과 더불어 최근 대입에서 내신 반영 비중이 높아진 흐름과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입시에서 내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성적을 받기 어려운 특목고 학생은 최상위권을 제외하면 상위권 대학 합격이 예년보다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대학이 내신이 높은 일반고 학생을 내신이 낮은 특목&mi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실전 수능 모드로"…현장 접수 5일 마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 원서 접수가 시작된 지난달 21일 광주광역시교육청에서 대입 수험생이 원서를 내고 있다. 응시 원서 온라인 사전 접수 기간은 9월 4일 오후 6시, 현장 접수는 9월 5일 오후 5시까지다. 연합뉴스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909)
-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 1일 (906)
1. 선진국의 ‘이것’은 안전자산에 가까운 대접을 받는다. 국가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인 이것은?① 국채 ② 특수채③ 회사채 ④ 영구채2. 모디노믹스, 니프티지수, 센섹스지수에서 공통적으로 연상되는 나라는?① 스페인 ② 스위스③ 인도 ④ 인도네시아3.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는 각종 자산의 구성과 그 비중을 조정하는 작업을 뜻하는 말은?① 캐시카우 ② 워크아웃③ 리밸런싱 ④ 간접투자4. 다음 중 고액 자산가들에게 전문적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는?① 서킷브레이커② 사이드카③ 골드뱅킹④ 프라이빗뱅킹5. 우리나라의 ‘이것’이 2분기 말 기준 1952조8000억원으로 또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가계의 빚 부담 수준을 보여주는 이 지표는?① 본원통화 ② 최저임금③ 신용거래융자잔고 ④ 가계신용6. 투자자의 은퇴 시기를 목표 시점으로 잡고 생애주기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금융상품인 ‘타깃데이트펀드’의 약어는?① ETN ② TDF ③ CP ④ ELS7. 바이오업계에서 기업이 승인받기 위해 개발 중인 신약, 복제약 등 의약품 자산을 가리키는 말은?① 테마주 ② 파이프라인③ 클라우드 ④ 바이오시밀러8. 상장사의 임직원, 주요 주주 등이 공개되지 않은 기업 내 정보를 활용해 주식을 거래해 부당 차익을 얻는 행위는?① 내부자거래 ② 정리매매③ 기업공개 ④ 반대매매▶정답 : 1 ① 2 ③ 3 ③ 4 ④ 5 ④ 6 ② 7 ② 8 ①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雅致高節 (아치고절)
▶한자풀이雅: 바를 아 致: 이를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아담한 풍치와 고고한 절개매화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안민영 시조 '매화사'>아치고절(雅致高節)은 아치(雅致)와 고절(高節)을 합친 말이다. 고상하고 아담한 취향과 고고한 절개를 뜻하며, 매화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사군자(四君子)’로 통하는 매란국죽(梅蘭菊竹)은 고결한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동양 문화권의 상징물이다. 군자라고 불린 이유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의 아름다움을 높게 산 까닭도 있지만 각각 높은 기상과 품격을 지녔기 때문이다.매화는 고상한 자태와 기품의 아치고절(雅致高節), 난초는 청아한 외관과 올곧은 품성의 외유내강(外柔內剛), 국화는 굳건하고 오뚝한 절개의 오상고절(傲霜孤節), 대나무는 한결같은 지조의 세한고절(歲寒孤節)의 품격을 지닌 것으로 표현된다.고종 때 안민영이 지은 시조 ‘매화사’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빙자옥질이여 눈 속의 네로구나/ 가만히 향기 노아 황혼월을 기약하니/ 아마도 아치고절(雅致高節)은 너뿐인가 하노라.”매화는 시서화(詩書畵)에서 주로 겉모양이 고상하고 담백한 느낌이 있고 기품이 느껴지는 자태로 표현된다. 은근하고 그윽한 분위기를 자아내 깊은 인상을 준다. 얼음같이 투명한 모습과 옥과 같이 뛰어난 바탕이라는 뜻인 빙자옥질(氷姿玉質), 신선의 자태에 옥의 바탕이라는 선자옥질(仙姿玉質), 은은한 향기가 떠다닌다는 암향부동(暗香浮動)은 모두 매화를 이르는 말이다.문학작품이나 서화 예술은 심상(心象)과 생태적 기질 등에 착안한 이미지를 글로 묘사하거나 그림으로 그려낸다. 참고로 대나무는 볏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이중니죽]과 [이주기죽], 그리고 [이기주기기죽]
‘학여울역, 늑막염, 밤이슬, 순이익, 연이율, 괴담이설, 이죽이죽 ….’ 토박이말과 한자어가 섞인 이 말들에서 찾을 수 있는 공통점은 무엇일까? 우선 모두 합성어란 점은 비교적 쉽게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조금 주의 깊게 살피면 또 다른 공통점이 보인다. 우리말 발음 현상 중 하나인 ‘ㄴ음 첨가’가 일어나는 말들이란 점이다. 이들을 발음해보면 각각 [항녀울력] [능망념] [밤니슬] [순니익] [연니율] [괴담니설] [이중니죽]으로 소리 난다. 이게 원래 올바른 표준발음이다.‘순이익’ 발음 [순니익]과 [수니익]하지만 현실 어법에서 이들을 정확히 발음하기는 쉽지 않다. 외려 [하겨울력] [능마겸] [바미슬] [수니익] [여니율] [괴다미설] [이주기죽] 식으로 받침을 흘려 발음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하도 그런 발음이 많다 보니 일부는 규범으로 인정돼 복수 표준발음이 된 것도 꽤 있다.2017년 여름 국립국어원에서는 우리말 발음에서 바로 이 ‘ㄴ음 첨가’ 현상을 놓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 이 자리에서 ‘밤이슬, 순이익, 연이율, 괴담이설’ 같은 말의 발음이 복수 발음으로 허용됐다. 즉 [밤니슬/바미슬] [순니익/수니익] [연니율/여니율] [괴담니설/괴다미설] 식으로 양쪽 다 표준발음으로 인정한 것이다. 애초 ‘ㄴ음 첨가’ 현상이 일어난 발음만 표준으로 삼던 것에서 연음하는 쪽으로 바뀌어가는 현실 발음을 받아들인 셈이다.하지만 ‘학여울역, 늑막염’ 등은 받침이 흘러내린 발음을 인정하지 않았다. 서울에서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 한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이 있다. 그곳에 1993년 서울지하철 3호선이 개통하면서 ‘학여울역’(강남구
-
역사 기타
슬라브 지역 최대 수출품은 '노예'
9세기 저술가인 바그다드의 이븐 후르다드베는 <도로와 왕국의 책>에서 ‘아르 라다니야’라고 불리는 상인들을 언급했다. ‘안내자’를 뜻하는 페르시아어 ‘라단’에서 호칭이 유래했다는 이들은 유대인이었다. 이들 유대인 상인은 “아랍어, 페르시아어, 로마어, 프랑크어, 스페인어, 슬라브어를 사용하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육로와 해로를 이용해 여행한다”고 묘사됐다. 그들은 로마(이탈리아)를 경유해 슬라브족의 땅을 지나, 하자르족의 도시인 함리(이틸)로 가는 길을 이용한다고 전해진다. 인상적인 것은 그들이 다룬 상품. 책에서는 “그들은 서쪽에서 환관, 여성 노예, 어린 소년들, 브로케이드(두껍게 짠 비단), 비버와 흑담비 모피, 그리고 칼을 가져온다”라고 쓰여있다.서유럽과 슬라브족, 아랍 세계의 교역을 중개하던 유대인 상인이 슬라브족에게서 구입한 각종 생필품과 원재료는 상당량이 독일이나 이탈리아로 넘어가 그곳에서 소비됐다. 다만 슬라브 지역 주요 ‘수출품’ 중 북·중 유럽 시장에서 거의 쓰이지 않은 게 있었다. 바로 노예였다. 북·중유럽에선 농업구조상 노예가 필요 없었기 때문이다. 반면 이슬람 점령 아래 있는 이베리아반도(스페인)와 아프리카 지역에는 슬라브족 노예가 ‘대량’으로 수출됐다. 그곳에서 군인과 가사 노동, 장인 작업장의 조수로 활용한 것이다.이슬람 지배 지역에서는 슬라브인 노예 수가 매우 많았다. 압드 아르-라흐만 3세(912~961)의 통치 기간 코르도바에 있던 슬라브인 노예 수는 약 1만4000명에 달했다. 코르도바에서 10세기 후반~11세기 초에 슬라브 노예 출신은 경비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