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藥石之言 (약석지언)
▶한자풀이藥: 약 약 石: 돌 석 之: 어조사 지 言: 말씀 언약이나 침 같은 말이라는 뜻으로사람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게 하는 말 -<춘추좌씨전>춘추전국시대 노나라에는 ‘삼환(三桓)’이라 불린 3대 권문세가가 있었다. 중손 씨(仲孫氏), 숙손 씨(叔孫氏), 계손 씨(季孫氏)였다. 그중 계손 씨 집안의 대부(大夫) 계무자라는 사람에게 적자(嫡子)는 없고 첩의 소생인 두 아들 공미(公彌)와 도자(悼子)가 있었다. 계무자는 장자인 공미보다 작은 아들인 도자를 후계자로 세우고 싶어 했다. 다수가 탐탁지 않아 했지만, 장무중(臧武仲)이 그 뜻을 지지해주었다. 사람들을 초대한 연회 자리에서 도자를 높이고 공미를 낮추어 도자를 계승자로 공인할 수 있게 도왔다. 장무중은 계무자의 신임을 얻었으나, 다른 대부인 맹장자(孟莊子)는 서자에 장자도 아닌 아들을 후계자로 세우게 도운 장무중을 못마땅해했다.맹장자가 죽어 장무중이 조문을 가 곡을 하는데 몹시 애통해했다. 시중드는 이가 물었다. “맹장자가 어르신을 싫어했는 데도 이렇게나 애통해하시네요. 계무자가 죽으면 어떻게 하시렵니까?” 장무중이 답했다.“계무자가 나를 좋아한 것은 고통이 없는 질병과 같고, 맹장자가 나를 미워한 것은 병을 치료하는 약과 침과 같네. 아무리 고통이 없는 병이라도 고통이 따르는 약석만 못한 법이야. 약석은 나를 살리지만, 고통이 없는 병이라도 그 해독(害毒)이 심하다네. 맹장자가 죽었으니 내가 죽을 날도 얼마 남지 않았구먼.”아프지 않더라도 병은 나쁜 것이고, 치료할 때 아프더라도 약과 침은 몸에 좋은 것이다. 장무중은 자신을 싫어하는 맹장자를 거부하기보다 자신
-
학습 길잡이 기타
통계로 콜레라의 원인 밝혀낸 존 스노
지난 생글생글 제916호의 ‘재미있는 수학’에서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장미 그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창의적 그래프 중 장미 그림 외 다른 그래프의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빅토리아 여왕 시대 영국의 의사이자 역학(epidemiology)의 창시자인 존 스노(John snow, 1813~1858)의 콜레라 지도 이야기입니다. 1854년 런던에서는 콜레라가 크게 유행했습니다. 콜레라는 심한 설사와 탈수 증상을 일으키는 장질환인데,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 배앓이만 하다가 치료도 못 받고 죽을 만큼 무서운 질병이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콜레라의 발생 원인이나 치료법을 알 수 없었기에 사람들은 공포에 휩싸였습니다.영국에서는 콜레라로 인한 피해에 대해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통계 조사를 시행했습니다. 이 작업은 감염병에 관한 통계조사로는 최초로 평가됩니다. 당시 조사를 맡은 의사 중 한 명인 윌리엄 파(William Farr, 1807~1883)는 통계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사람들이 사는 지대의 높이가 낮을수록 사망률이 높다고 봤습니다. 당시 런던은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였는데, 하수 시설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오염된 물이 템스강으로 흘러들어 강물에서 심한 악취가 났습니다. 그래서 템스강에서 나는 악취가 콜레라의 원인일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윌리엄 파는 본인 나름대로 데이터를 철저히 분석했지만, 콜레라의 원인을 잘못 짚었습니다.존 스노는 병원에 오는 환자들을 보며 이상함을 느꼈습니다. 콜레라가 공기에 의해 옮겨진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환자들의 증상을 보면 공기를 통한 전염이라고 보기에는 도저히 설명되지 않았습니다. 공기를 통한 전염이라면 증
-
대입 전략
의대 298~292점·치대 295~292점 목표해 볼 만…SKY 인문 293~283점, 자연 294~288점 지원 가능
“실력은 계단식으로 오른다”는 말이 있다. 기초체력, 기본 실력 등이 근저에 꾸준히 쌓이다가 어느 순간 폭발하듯 성적이 상승하는 모습을 말한다. 고2 겨울방학은 3년의 대입 레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터닝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2~3개월의 집중, 몰입 학습을 통해 약점 과목을 극복하고, 계단식 실력 향상을 경험하기에 좋다. 효과적인 학습은 현재 본인의 실력 진단에서 시작한다. 현재 수준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목표를 바로 세워야 한다. 고2 10월 학력평가는 현재 수준을 점검하기에 좋은 기회다. 이를 통해 겨울방학 학습 계획을 세워보기를 권한다. 고2 10월 학력평가 기준 주요 대학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해본다.먼저 인문계를 살펴보면, 국어·수학·탐구(2과목 평균) 백분위 합(300점 만점) 기준 SKY는 최고 293점에서 최저 283점으로 분석됐다. 서울대 인문계는 평균 291.1점(293~290), 연세대와 고려대는 동일한 분포로 평균 287.8점(290~283)으로 전망된다. 고2 학력평가에서 이 정도 수준 성적이라면 SKY를 노려볼 만한 실력이라고 볼 수 있다.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중앙대·경희대·이화여대·한국외대 등 주요 10개 대학 그룹 인문은 최고 288점~최저 276점 사이에서 합격을 기대해볼 수 있다. 성균관대는 평균 282.3점(288~281), 서강대는 282.0점(284~281), 한양대는 280.8점(284~279), 중앙대는 279.5점(281~279), 경희대는 278.3점(280~276), 이화여대는 279.2점(281~279), 한국외대는 278.4점(281~276) 수준에서 지원을 고려해볼 수 있다.서울시립대·건국대·동국대·홍익대·숙명여대 등 주요 15개 대학 그룹은 최고 279점~최저 265점 사이에서 목표해볼 만한 곳이다. 국민대&mi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한자어인 듯 한자어 아닌 우리말들
“나는 그가 찾아온 영문을 알 수가 없다.” “위원장이라는 감투를 둘러싸고 싸움이 끊이지 않았다.” “우리 딸 덕분에 내 입이 호강이구나.” 일상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대화 중 일부다. 이들 문장에는 정체를 알 듯 말 듯한 말이 하나씩 들어 있다. ‘영문’과 ‘감투’ ‘호강’이 그것이다. 이런 말은 어디서 온 것일까. 얼핏 보기엔 한자어 같은데, 그러면 원래 한자에서 온 것일까. 이들은 말의 유래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는 점을 염두에 둘 만하다. 일설에는 한자어가 어원이라는 주장이 있지만 확실하게 규명된 것은 아니다. 고유어인 듯, 한자어인 듯 알쏭달쏭한 이런 말들이 우리말 안에 꽤 많아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영문, 감투, 호강’ 어원 논란 많아“영문을 모르겠다/영문을 알 수가 없다”처럼 쓰이는 ‘영문’은 주로 (의문이나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여) 일이 돌아가는 형편이나 까닭을 나타내는 말이다. 일설에는 이 ‘영문’의 어원을 한자어 ‘영문(營門)’으로 보기도 한다. 이는 조선시대 각 군문(軍門), 감영(藍營)이나 병영(兵營)의 대문을 가리킨다. 이 문은 고관들만 출입하기 때문에 늘 닫혀 있고, 아무나 드나들 수 없는 곳이라 언제 열리고 닫힐지 모른다는 데서 이 말이 생겨났다는 설명이다.그런데 이런 풀이는 검증된 게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한자어 ‘영문’과 고유어 ‘영문’을 구별해놓고 있다. “영문을 모르겠다”라고 할 때의 ‘영문’은 한자어 ‘영문(營門)’과 다른 말이라는 뜻이다. 이는 선반(물건을 얹어두기 위해 까치발을 받쳐서 벽에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D-365…예비 고3이 해야 할 일
지난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시행되면서 현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수능 ‘D-365일’을 지나게 됐습니다. 수험생으로서 마지막 겨울방학을 맞이할 예비 고3을 위해 몇 가지 이야기를 전하려고 합니다. 이번 겨울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남은 수험 생활이 달라집니다. 특히 재수생들이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하는 1월 이전에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먼저 이 시기에 반드시 해야 할 것은 부족한 개념 다지기입니다. 고3이 되었다고 해서 내 실력이 업그레이드되지는 않습니다. 2학년 때 수능 과목을 열심히 공부했다고 해도 대부분 개념 이해와 응용에 머물러 있습니다. 심화 과정을 이미 경험한 재수생과 경쟁해 좋은 성적을 얻으려면 개념부터 확실하게 잡아야 합니다.2학년까지 중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람은 물론이고, 상위권 학생도 이 시기엔 개념서를 볼 것을 추천합니다. 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상위권 학생이라면 어차피 금방 끝낼 수 있을 테니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지 말고 꼭 개념서부터 시작하기를 권합니다.수능 특강이나 기출문제로 넘어가기 전에 개념서 한 권은 꼭 완독하고 다음 단계를 밟아나가세요. 문제를 푸는 속도부터 달라집니다. 다만 개념을 다지는 기간이 너무 길어지면 안 됩니다. 늦어도 3월이 되기 전까지는 끝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예비 고3의 겨울방학은 무엇보다 기초를 단단히 하는 시기입니다.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당연한 일을 제대로 하는 수험생이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꽤 높은 등급을 받은 재수생들도 연초에는 개념서부터 본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겨울방학 중간에 개념서를 완독하면 그때 수능 특강과 기출문제 풀이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조건부 확률의 이해…경품 당첨은 먼저 뽑아야 유리?
한 명씩 순서대로 제비를 뽑아 당첨 제비를 뽑은 사람에게 경품을 준다고 가정할 때 어떤 순서로 뽑아야 유리할지를 판단해보자. 예를 들어 10개 제비 중 3개의 당첨 제비가 있다고 할 때 A, B 두 사람이 이 순서대로 하나씩 제비를 뽑는다고 하자. 이때 나중 순서인 B가 당첨될 경우는 ① A가 당첨 제비를 뽑고 이어서 B도 당첨 제비를 뽑는 경우와 ② A가 당첨 제비를 안 뽑고 B가 당첨 제비를 뽑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①의 확률은 3/10 × 2/9 = 6/90이고, ②의 확률은 7/10 × 3/9 = 21/90이므로 두 확률을 더하면 6/90 + 21/90 = 27/90 = 3/10이다. 즉 누가 어떤 순서로 뽑더라도 당첨 제비를 뽑을 확률은 3/10으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본문의 예시 논제를 통해 조건부 확률의 구조와 개념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해보자.▶조건부확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문제해결 전략◀1. 조건부확률을 이해하는 것은 표본공간을 구분하는 것이다.- A를 조건으로 하는 B의 조건부확률이란 A를 새로운 표본공간으로 하는 B의 확률이다.2. 조건부확률 문제에서 자주 묘사되는 특징적인 문장이나 문구의 유형을 익혀야 한다.- 질병에 실제로 걸리는 것과 질병에 걸렸다고 진단하는 것은 별개의 두 사건이다.- 질병에 걸린 사람을 걸렸다고 진단할 확률, 걸리지 않은 사람을 걸렸다고 오진할 확률 등이 조건부확률을 묘사하는 대표적 문구이다.3. 집합의 연산 관계가 곧 확률에서의 연산과 동일하므로 집합의 연산을 잘 이해할 것.- n(A∪B)=n(A)+n(B)-n(A∩B) 와 P(A∪B)=P(A)+P(B)-P(A∩B)는 서로 동치 관계이다.
-
영어 이야기
시끌벅적, 부산할 때 'hustle and bustle'
Seoul bustled with Chinese group tourists on the first day of visa-free entry for Chinese group tourists. They lined up to enter the Lotte Duty Free shop in central Seoul.“I’ve always followed Korean beauty brands, so coming here is a must,” said Lin Che, a 37-year-old first-time visitor, after stops at Myeongdong and Gyeongbok Palace.The hustle and bustle of Chinese tourists comes as the Korean government has allowed visa-free entry for tour groups from China from Sept. 29 through June 2026.“We expect more than 10,000 Chinese group tourists to visit our stores in Seoul, Busan and Jeju next month,” said a Lotte Duty Free executive.Industry estimates suggest as many as 1 million Chinese tourists could visit Korea by June next year under the new visa-free program. Retailers see this as the first real tailwind for inbound tourism in years.중국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첫날, 서울은 활기로 가득 찼다. 서울 명동에 위치한 롯데면세점 앞에는 입장을 기다리는 중국인 관광객의 긴 줄이 이어졌다.“평소 한국 뷰티 브랜드를 즐겨 봐왔기 때문에 꼭 와보고 싶었다”고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 37세 린체 씨는 말했다. 먼저 명동과 경복궁을 둘러본 뒤 면세점에 들른 것이다.중국 관광객의 급격한 증가는 한국 정부가 9월 29일부터 2026년 6월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데 따른 것이다.롯데면세점 관계자는 “다음 달에는 서울, 부산, 제주에 위치한 매장에 1만 명 이상의 중국 단체 관광객이 방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업계 추산에 따르면, 이번 무비자 프로그램을 통해 내년 6월까지 최대 100만 명의 중국 관광객이 한국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방한 관광객 증가에 힘입어 소매업계는 수년 만에 호황을 맞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해설중
-
대학 생글이 통신
대입 논술, 문제가 요구하는 사항부터 충실히
저는 2025학년도 논술 전형에 현역으로 합격해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논술 현역 합격은 로또에 당첨된 것과 같다고 말할 정도로 확률이 아주 낮은데요, 2026학년도 논술을 준비하고 있는 수험생 여러분에게 논술 전형이란 어떤 것인지, 저는 어떻게 논술을 준비했는지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논술 전형이 어떤 전형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논술 전형은 ‘수시의 꽃’이라고 부르는데, 크게 인문 논술과 수리 논술로 구분됩니다. 2026학년도에는 강남대와 국민대가 논술 전형을 신설해 총 44개 대학에서 논술 전형을 실시합니다.논술 전형은 여러 기준에 따라 다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먼저 실시 일정에 따른 분류입니다. 수능을 기준으로 수능 전에 논술을 실시하는 대학은 총 9개입니다. 수능 후에는 수능이 있는 주의 주말과 그다음 주말에 논술 전형이 집중돼 있습니다.4일간 많은 대학이 시험을 치러 하루에 두 대학의 논술에 응시해야 하는 일도 생깁니다. 저 역시 작년에 두 대학의 논술이 같은 날 시행돼 첫 번째 시험을 마친 후 부리나케 지하철역으로 달려간 기억이 있습니다. 다행히 늦지 않게 도착해 두 번째 대학에도 응시할 수 있었습니다. 교통편과 이동 시간을 고려했을 때 하루에 두 대학 응시가 무리라면 수능 최저학력기준과 제시문 유형 등을 고려해 더 적합한 대학을 선택해야 합니다.둘째, 논술고사 반영 비율입니다. 경희대를 비롯한 대부분 대학은 논술고사 반영 비율이 100%입니다. 한양대가 논술고사 90%와 종합평가 10%로 평가하는 것을 비롯해 일부 대학은 교과성적을 최대 30%까지 반영합니다. 교과성적을 반영하더라도 5등급까지는 점수 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실제 합격 여부는 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