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전공 고민 해결해 주는 학과 체험 행사

    성균관대 글로벌리더학부는 성균관대의 특성 학과 중 하나로서 학부 공식 홍보 단체인 ‘글리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부 소개와 입시 관련 멘토링이 글리미의 주요 활동입니다. 글리미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험생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만한 글리미 프로그램을 소개하겠습니다.글리미 활동 중 가장 큰 행사는 ‘글로벌리더학부 전공 체험’입니다. 법과 정책을 주제로 글로벌리더학부의 전공 과목을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행사입니다. 올해 진행한 행사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첫 번째 시간인 법무 트랙에서는 헌법재판소에 제출된 소장을 분석한 후 어떤 결정이 나올지 토론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사전에 헌법에 관해 간략히 소개하며 기초적인 법학 지식을 익히는 시간도 있었습니다.두 번째로 정책학 트랙에서는 예산안 분배 게임을 진행했습니다. 보건복지부의 세부 과제를 바탕으로 어떤 정책에 어느 정도 예산을 배정해야 할지 토론하고 발표하는 내용이었습니다.전공 체험 행사에서는 개별 멘토링 프로그램도 운영합니다. 수험생들이 재학생 선배에게서 조언을 들을 수 있는 시간입니다. 수험생별로 관심 있는 전형을 선택하면 해당 전형으로 입학한 선배들이 설명해줍니다. 입시 전략과 준비 방법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전공 체험 행사는 상·하반기에 한 차례씩, 1년에 두 번 열립니다.전공 체험 외에도 여러 활동이 있습니다. 방학 기간에는 글리미가 고등학교에 찾아가 학부 소개와 멘토링 행사를 엽니다. 글로벌리더학부에서는 무엇을 배우고, 졸업생은 주로 어느 분야로 진출하는지, 어떤 동아리와 학

  • 대입 전략

    2028 수능, 상위권 가를 핵심은 수학·과학, 과탐 어려워하는 경향 뚜렷…학습량 늘려야

    현 고1부터 문·이과 구분 없이 동일 문제를 푸는 새 수능이 시작된다. 국어, 수학, 탐구에서 선택과목이 사라지고 모든 학생이 같은 문제를 풀게 된다. 2028 대입 개편안은 이 같은 문·이과 완전 통합이 핵심이다. 새로운 수능에서 상위권을 가를 핵심 과목은 무엇일까? 지난 6월 4일에 시행한 고1 학력평가는 이를 엿볼 좋은 기회였다. 결론은 수학, 과학으로 모아졌다. 상위권을 가를 핵심 과목으로 수학, 과학의 중요성은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고1 6월 학력평가는 2028학년도 수능 형태로 실시한 첫 모의고사였다. 특히 관심은 큰 변화를 겪은 탐구 과목으로 쏠렸다. 사회탐구(통합사회), 과학탐구(통합과학) 문항 수가 기존 20문항에서 25문항으로 늘고, 배점은 기존 2점, 3점 구성에서 1.5점, 2점, 2.5점 구성으로 바뀌었다. 평가 방식 또한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변경되면서 새 수능 체제에 맞춰졌다.분석 결과, 새 수능 체제에서 학생들은 사탐보다 과탐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월 학력평가에서 과탐 평균 점수는 50점 만점에 26.8점으로 사탐 31.8점에 비해 5점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과탐이 69점, 사탐이 66점으로 과탐이 높게 형성됐다. 통상 시험의 평균 점수가 낮고, 난도가 높을 때 표준점수 최고점은 더 높게 형성되곤 한다. 학생들이 사탐보다 과탐을 더 어려워했다는 것이다.사실 과탐은 기존 절대평가 시험 방식에서도 학생들이 어려워하던 과목이었다. 기존 절대평가 방식에서도 과탐의 평균 점수는 사탐보다 낮게 형성됐다. 기존 방식으로 치른 지난해 네 번의 모의고사와 올해 3월 시험까지 과탐 평균 점수는 사탐에 비해 최고 8.5점에서 최저 2.3점 낮게 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개권유익 (開卷有益)

    ▶한자풀이開: 열 개  卷: 책 권  有: 있을 유  益: 더할 익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뜻으로독서를 권장하는 말로 쓰임 -<승수연담록(繩水燕談錄)>송(宋)나라 태종은 독서를 무척 좋아했는데, 특히 역사책 읽는 것을 즐겼다. 쉽사리 다 읽어낼 것 같지 않은 방대한 분량의 서적도 전혀 개의치 않았다. 태종은 학자 이방(李昉) 등에게 사서(辭書) 편찬을 명했고, 무려 7년의 시간을 들여 모두 1000여 권으로 된 방대한 백과사전이 만들어졌다. 태종 태평 연간에 편찬되어 그 연호를 따서 ‘태평총류(太平總類)’라고 이름 지었다.태종은 크게 기뻐하며 매일을 하루같이 탐독했다. 후에 책 이름을 <태평어람(太平御覽)>으로 고치고, 스스로 매일 세 권씩 읽도록 규칙을 정했다. 정무에 힘쓰다가 계획대로 읽지 못했을 때는 틈틈이 이를 보충했다. 이를 본 측근의 신하가 건강을 염려하자 태종이 말했다.“책을 펼치면 이로움이 있다(開卷有益). 나는 조금도 피로하지 않다.”송나라 학자 왕벽지의 <승수연담록>에 나오는 고사다.개권유익(開卷有益)은 말 그대로 ‘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뜻으로, 독서를 권장하는 말로 쓰인다.독서삼매(讀書三昧)는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것을 뜻하며, 위편삼절(韋編三絶)은 옛날에 공자가 주역을 즐겨 열심히 읽은 나머지 책을 맨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책을 정독함을 일컫는다. 삼여지공(三餘之功)은 독서하기에 좋은 겨울, 밤, 비 오는 날을 가리킨다. 한우충동(汗牛充棟)은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쌓으면 들보가 가득 찬다는 뜻으로 장서가 아주 많음을 이르는 말이다.박이정(博而精)은 여

  • 학습 길잡이 기타

    왜 맞는지 설명 못하면, 안다고 할 수 있나?

    “소수(prime number)는 끝이 있을까요?” 질문은 단순합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지요. 하지만 누군가가 “아니요, 소수는 무한히 많아요”라고 대답했을 때, 우리는 곧 되묻게 됩니다. “왜요?” 이 짧은 질문이 바로 수학의 출발점입니다.수학은 ‘맞다’고 믿는 사실조차도 논리로 다시 묻습니다. 단순한 계산을 넘어 그 사실이 왜 그런지, 항상 그런지, 다른 경우엔 안 그런지를 철저히 밝히는 학문입니다. 그래서 수학은 증명을 사랑합니다.소수가 무한하다는 명제를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는 단 다섯 줄로 증명했습니다. 이미 알려진 소수들을 전부 곱하고, 거기에 1을 더해보지요. 예를 들어, 2×3×5=30, 여기에 1을 더하면 31입니다. 이 수는 앞의 소수들(2, 3, 5)로 나누어지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31은 그 자체로 새로운 소수이거나, 적어도 지금까지의 소수 목록에는 없는 소수로 나누어져야 합니다.즉 아무리 많은 소수를 알고 있다고 해도 그 바깥의 소수를 찾아낼 방법이 항상 존재합니다. 이 짧은 증명은 명쾌하게, 그리고 단단하게 진실을 밝혀냅니다. 보지 않아도, 세지 않아도, 실험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진리. 이것이 수학에서의 ‘증명’입니다.우리가 일상에서 “보면 알잖아요”, “느낌이 그렇잖아요”라고 말하는 많은 것이 수학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수학은 ‘당연한 것’조차 증명을 요구합니다.실제로 수학자 화이트헤드와 러셀은 ‘1+1=2’라는 명제를 증명하는 데 379쪽에 이르는 논리를 펼쳐야 했습니다. 그것은 지나친 집착이 아니라, 생각의 기반을 가장 아래에서부터 다시 점검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수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은(는)/-이(가)' 과학적으로 구별하기

    가)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들이 ‘한은이 추가 금리 인상에 신중해야 한다’고 촉구한 것도 이 때문이다.”나)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244㎡는 지난달 65억원에 거래된 소식이 전해지면서 부동산 시장의 화젯거리로 떠올랐다.”흔히 볼 수 있는 두 문장이지만, 각각에는 표현상 어색한 데가 한 곳씩 있다. 주격조사로 쓰이는 ‘-은(는)/-이(가)’의 용법을 염두에 두고 살펴보면 눈에 띄는 데가 있다.주어를 강조하는 주격 ‘-이(가)’문법을 지키는 것은 ‘세련된 표현’을 쓰기 위한 지름길 중 하나다. 문법은 구성원들이 함께 받아들이는 공통 규범이다. 글쓰기에서도 이를 지킬 때 편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이 나온다. 읽으면서 편하고 익숙할 때 독자는 글이 매끄럽다고 느낀다.흔히 ‘-은(는)/-이(가)’는 다 주격조사인 줄 알지만, 정확히는 ‘-이(가)’만 주격조사이고 ‘-은(는)’은 보조사다. 보조사란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는 조사다. 가령 주제를 표시하거나 대조 또는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어떤 화제를 이끄는 주제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주제격 조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바로 이 주제격 조사로서의 쓰임새가 주격조사 ‘-이(가)’ 용법과 비슷해 늘 헷갈리는 대상이 된다.예를 들면, “부산이 대한민국의 제2의 도시다”와 “부산은 대한민국의 제2의 도시다”를 어떻게 구별할까? 우선 ‘부산이~’는 말 그대로 주격으로 문장에서 서술어 ‘도시다’의 주체/주어임을 나타낸다. 문장의 중심, 즉 내용상 초점이 주

  • 대학 생글이 통신

    부족한 기초 다질 수 있는 여름방학 활용법

    찌는 듯한 더위 속에서도 수험생 여러분은 책과 씨름하고 있을 것입니다. 어느덧 여름방학이 다가왔고, 수능을 치를 날도 하루하루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여름방학은 부족한 과목을 보충할 좋은 기회입니다. 부족한 기초도 여름방학을 잘 활용한다면 어느 정도 쌓아 올릴 수 있습니다. 이 기간을 보다 알차게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조언을 드려 보려고 합니다.우선 규칙적으로 생활해야 합니다. 한 달 남짓한 여름방학은 생각보다 금방 지나갑니다.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나고, 식사해야 공부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일정한 생활 리듬을 지킬 때 최대한의 능력치를 발휘합니다. 이런 생활 습관은 수능 당일까지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능 1교시는 국어 과목인데, 만약 평소 늦잠 자는 습관을 개선하지 못하면 국어 시간에 집중력이 떨어지게 됩니다.여름방학 중에는 국어, 영어, 수학 공부의 비중을 더 높이기를 권합니다. 국·영·수는 기초부터 오랜 시간을 들여 익혀 나가야 하는 과목입니다. 평소 이 과목의 기초가 부족하다고 느꼈다면 시간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은 여름방학을 활용해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방학 때는 공부를 꽤 오랜 시간 하고도 쉬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적당히 휴식하면서 공부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2학기가 되면 암기과목에도 시간을 쏟아야 하고, 수능이 점점 다가올수록 마음이 다급해져 기초부터 다지는 공부를 하기는 어려워집니다.마지막으로 식단 관리입니다.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는 공부를 포함한 신체 활동에 큰 영향을 줍니다. 여름에는 물과 과일을 많이 섭취해 수분을 보충하고 나물과 채소를 많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더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모의논술 또는 예시문항…논술 대비의 첫단추

    논술전형을 실시하는 대학 중 20여 개 대학이 수험생을 대상으로 상반기 또는 7~8월 중 모의논술을 실시하며, 모의논술을 실시하지는 않지만 예시문항을 공개하는 대학도 10여 개에 이른다(오른쪽 표 참조). 모의논술은 해당 대학의 출제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수험생이 실제 시험과 동일한 실전 경험을 미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논술 대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예시 문항의 경우에도 해당 대학의 출제 경향과 문항 난이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험생들이 활용하기에 따라 모의논술에 참가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2026학년도 수리논술을 준비하는 수험생은 해당 대학의 모의논술에 응시하거나 예시 문항을 우선적으로 풀어보기를 적극 추천한다.

  • 영어 이야기

    독특하고 괴짜스러운 패션 스타일 'geek chic'

    As eyewear evolves into a key fashion statement, South Korea’s homegrown brands are setting their sights on the global stage with bold, unconventional designs.“More people are willing to spend on eyewear as it’s now seen as a fashion item,” said Moon Kyung-sun, head of Euromonitor International Korea. “It’s an affordable way to refresh their style, much like lipstick.”Demand for Korean brand eyewear has surged of late, especially driven by the revival of so-called Y2K fashion and the rising popularity of the geek chic trend.According to Lotte Department Store, its eyewear sales -- glasses frames and sunglasses - jumped 40% in 2024 from the previous year.Eyewear sales at Shinsegae Department Store and Hyundai Department Store also increased 16% and 13.6%, respectively, over the same period.안경이 패션 스타일을 표현하는 주요 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한국의 토종 안경 브랜드들이 대담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앞세워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안경이 이제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되면서 이에 돈을 쓰려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라고 문경선 유로모니터 한국 리서치 총괄은 말했다. “립스틱처럼 부담 없이 스타일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이죠.”최근 Y2K 패션의 부활과 긱 시크(geek chic) 트렌드에 힘입어 한국 브랜드 안경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롯데백화점에 따르면 2024년 안경테 및 선글라스를 포함한 안경류 매출은 전년 대비 40% 급증했다. 같은 기간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의 안경류 매출도 각각 16%, 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해설안경은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고 멋을 내는 패션 소품이 되었습니다. 대담한 뿔테와 각을 살린 디자인으로 얼굴형을 보완하거나 강렬한 인상을 주는 안경이 인기를 끌면서, 한동안 해외 명품 브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