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생글이 통신
서·고·연 제시문 면접을 위한 꿀팁
고3 수험생 여러분은 얼마 전 대입 수시 원서를 내고 1차 합격 결과를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동시에 다가오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하느라 바쁘고 초조한 고등학교 마지막 학기를 보내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학생부종합 전형이든 학생부교과 전형이든 수시 1차 결과가 나오면 2차 면접을 앞두게 됩니다. 대입 면접은 크게 생활기록부 기반 면접과 제시문 기반 면접으로 나뉩니다. 이 가운데 제시문 면접은 서울대 일반 전형, 연세대 활동 우수형 및 기회 균형 전형, 고려대 계열 적합 전형과 고른 기회 전형 등 일부 대학의 일부 전형에서 제한적으로 시행되는데요, 그런 만큼 수험생이 참고할 만한 정보도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제 경험을 바탕으로 제시문 기반 면접에 대한 몇 가지 팁을 설명해보겠습니다.제가 고3 때 서울대 면접은 12월, 연세대와 고려대 면접은 11월에 있었습니다. 저는 시간을 넉넉하게 잡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10월부터 제시문 기반 면접을 준비했습니다. 각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선행학습영향평가보고서를 다운받아 모든 전형의 3개년 치를 분석했습니다.문제를 먼저 읽은 다음 제시문을 독해했습니다. 문제 유형과 질문 요지를 파악해야 독해의 방향을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답변을 쓸 때는 두괄식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제시문 A를 바탕으로 제시문 B에 나타난 상황을 평가하시오”라는 문제가 나왔다면 “제시문 A의 OO에 따라 B의 상황을 옹호(비판)할 수 있습니다”라고 결론부터 제시한 후 제시문 B의 상황을 분석하고 제시문 A를 요약하며 근거를 대야 합니다.연세대는 그래프를, 고려대는 수식을 제시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
-
대입 전략
현 고1 내신 1.2등급 이내 서울대 경쟁구도 예상…상위권 경쟁 치열, 2단계 백분위가 당락에 큰 영향
서울대가 현 고1이 치르는 2028학년도 대입에서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서울대는 2028학년도 정시에서 지역균형을 폐지하고, 일반전형은 2단계 교과평가를 현행 20%에서 40%로 늘릴 계획이다. 정시에서 수능은 등급 및 백분위를 반영하기로 하는 등 수능 성적 활용 방법도 바뀐다. 수시에선 지역균형 선발 규모를 늘리고, 지역균형에서 자사고·외고·국제고·과학고·영재학교 지원을 제한해 일반고 학생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서울대 선발방법 변경은 타 상위권 대학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사안이라 관심이 높다. 우수 학생을 선점하기 위한 상위권 대학 간 셈법이 복잡해졌다. 2028학년도 서울대 선발방법 변경 사항 및 영향을 분석해본다.서울대는 2028학년도부터 정시에서 지역균형은 폐지하고, 일반전형은 현행 ‘1단계(2배수): 수능 100, 2단계: 수능 80+교과평가 20’에서 ‘1단계(3배수): 수능 100, 2단계: 수능 60+교과평가 40’으로 변경을 예고했다. 1단계 통과 배수를 현행 2배수에서 3배수로 늘리고, 2단계에서 교과평가 비중을 20%에서 40%로 늘린다.더 중요한 변화는 수능 활용 지표의 변경이다. 서울대는 정시에서 현재 표준점수를 반영하는데, 2028학년도부터 1단계는 등급(국어·수학·영어·탐구·한국사), 2단계는 백분위를 반영하기로 했다. 표준점수는 시험 난이도를 고려한 보정 점수로 이해할 수 있다. 등급은 1~9등급으로 구분되고, 백분위는 내가 상위 몇 %에 속했는지를 나타내주는 상대적 지표다. 이 중 상위권 변별이 가장 쉬운 지표는 표준점수다. 과목별로 이론상 200점 만점 구조로, 1점 단위로 촘촘하게 순위를 매길 수 있
-
학습 길잡이 기타
숫자 대할 때 1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요?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숫자들을 떠올려봅시다. 인구수, 전기 사용량, 회사 매출액, 심지어 강의 길이까지. 이런 데이터들을 무작위로 모아놓으면,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첫 자리에 고르게 분포할 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만약 사람이 적당히 창작해서 만들어 넣으면 보통 처음 시작하는 수가 심하게 치우치지 않고 적당히 분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자연스럽게 생성되고 측정된 수치들은 첫 자리가 1로 시작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고, 그 뒤로 갈수록 줄어듭니다. 이 현상을 ‘벤포드 법칙’이라고 부릅니다.이러한 경향은 AI의 도움을 받는다면 어렵지 않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대중적인 AI 도구를 사용해 대륙별로 대표적인 국가 47개국의 인구 정보를 모아보았는데요, 그중 30%가량은 1로 시작합니다. 2로 시작하는 경우는 13% 정도네요. 7, 8, 9로 시작하는 경우는 겨우 5% 남짓에 불과합니다. 잠깐이면 되니 여러분도 시간을 내어 한번 해보기를 권합니다.마치 자연은 1이라는 숫자를 특히 사랑하는 듯합니다. ‘자연스러운’ 수들은 각자가 나타날 확률이 n분의 1쯤 될 것 같지만, 우리의 직관과 달리 “작은 숫자가 첫 자리에 나타날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 이 불균형한 분포는 조금이라도 관심을 기울여본 사람들에게 신비로운 느낌을 줍니다.이 이야기는 사실 19세기 말 한 천문학자의 호기심에서 시작됩니다. 캐나다 출신 천문학자 사이먼 뉴컴은 도서관에서 자주 쓰이는 로그표 책을 관찰하다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책의 앞부분, 즉 1로 시작하는 구간은 손때가 많이 묻어 낡았지만, 9로 시작하는 뒷부분은 거의 새 책처럼 깨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범죄 경력'과 '온난화 기여'의 어색함
2000년대 들어 지구온난화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탄소중립’이란 용어가 주목받았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흡수량(또는 감축량)을 늘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뜻이다. 배출량과 흡수량이 동일하다는 의미에서 탄소 ‘중립’이라고 부른다. 2006년 영국 옥스퍼드 사전은 이 말을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이와 함께 떠오른 말이 ‘온난화 기여도’다.의미와 실제 용법 간 괴리 생겨“우리는 삶의 모든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비한다. 어떤 에너지를 얼마나 쓰는가에 따라 ‘탄소발자국’의 크기가 달라진다. 탄소발자국이 크면 클수록 지구온난화 기여도가 높다.” 이 문장에 보이는 ‘지구온난화 기여도’는 무심코 쓰는 말이지만 의미를 생각하면 좀 이상한 표현이다.‘온난화’란 지구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를 막기 위해 각국 정부는 탄소중립 정책 등 갖은 노력을 펼친다. 여기에 결합한 ‘기여’란 ‘도움이 되도록 이바지함’을 뜻한다. “한국문학에 대한 기여가 크다”처럼 쓴다. ‘공헌’과 비슷하다. 수출 기여도니 우승 기여도니 하는 말은 가능해도 ‘온난화 기여’는 자연스럽지 않다. 의미자질이 서로 부정과 긍정으로 정반대이기 때문이다.온난화를 ‘막기 위해’ 어떠한 기여를 했다는 뜻으로 ‘온난화 방지 기여도’라고 하면 말이 된다. 이에 비해 ‘온난화 기여도’라고 하는 말은 온난화에 끼친 ‘나쁜 영향’의 정도를 말한다. 이는 ‘기여’가 아니라 지구온난화를 불러온 ‘책임’이나 ‘원인’ ‘요인’
-
대학 생글이 통신
동아리 활동으로 '전공 적합성' 보여주자
2024학년도 대입부터 학생부 내용 중 미반영 혹은 미기재되는 항목이 늘어났습니다. 특히 비교과 영역에서 수상 경력과 독서, 자율 동아리 활동 등이 모두 대입에 반영되지 않게 되면서 정규 동아리 활동과 과목별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과세특)의 중요도가 커졌습니다. 그러나 1500byte(약 500자)로 글자 수 제한이 있기 때문에 동아리 활동 수는 1~2개로 정하고, 한정된 분량에 어떤 내용을 넣을지 잘 고민해봐야 합니다.동아리 활동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자기 자신을 드러내 보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지원하는 학과에 대한 관심도를 보여주는 전공 적합성과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대부분의 학생은 자신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에 대한 전공 적합성이나 흥미를 나타내기 위해 동아리를 선택합니다. 그러나 저는 그것과는 다른 특별한 계기가 있어 학교 홍보부에서 활동했습니다. 고양외국어고등학교 입학 면접 날 만난 학생 도우미로부터 큰 도움을 받은 것이 기억에 남아 학교 홍보부에 지원했습니다. 이처럼 무조건 희망 전공과 관련한 동아리를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지 않아도 얼마든지 대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학교 홍보부 선택은 저에게 다양한 방면에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전공 적합성과 관심도는 생활기록부에서 중국어 교과 관련 성적과 과세특으로도 충분히 드러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동아리 활동에서는 리더십과 공동체 생활 역량을 보여주는 데 집중했습니다. 만약 지원하려는 학과가 아직 명확하지 않거나 성적 혹은 과세특으로 전공 적합성을 충분히 증명했다고 판단한다면 동아리를 통해 리더십이나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히스토그램 등 중등 통계 연계과정 미리 점검을
히스토그램은 주어진 변량을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었을 때 각 구간(계급)의 도수를 도수의 총합으로 나눈 ‘상대도수’를 사용해 나타낸 그래프로, 중학교 때 이미 학습한 내용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이 이러한 중등 기초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거의 잊어버려 관련 문제가 출제될 경우 논제를 파악하고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곤 한다. 수리논술은 이처럼 중등 기초과정이 수능 고교과정과 연계되어 출제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따라서 학생들이 생소하게 여기는 히스토그램, 분산 등 통계와 관련된 중학교 과정의 내용을 미리 점검해두는 것이 좋다.▶확률과 통계 수리논술 대비전략◀1. 중등 연계과정의 기본개념을 확실하게 정리할 것.- 히스토그램, 상대도수, 평균, 분산 등의 기초개념 필수정리2.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의 차이와 연결개념을 이해할 것.- 상대도수 → 연속확률분포, 이항분포 → 정규분포곡선3. 미적분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풀이전략을 세울 것.- 수식의 풀이과정에서는 미적분이 언제나 사용될 수 있으므로 넓이, 곡선의 길이 공식 등을 늘 숙지할 것
-
영어 이야기
줄다리기, 팽팽한 대립을 말할 땐 'tug of war'
For several years, steel companies have avoided raising steel plate prices. Since 2016, the price of shipbuilding steel plate has remained between 600,000 and 700,000 won per ton, almost half the record-high 1.1 million won ($1,000) seen in 2008.But domestic steel companies say that a price increase will be inevitable due to a sharp rise in the price of iron ore, a raw material used to create steel plates.The price of iron ore surged by 41.9% over the past month and reached $176 per ton on Dec. 21, the highest since February 2013.Some steel companies have already raised the price to reflect production costs.“We tried to minimize the price increase, but we’ve been losing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in the steel plate business,” said a steel industry official.A fierce tug of war is expected between the steel industry and the shipbuilding industry since steel plate prices are negotiated every six months.수년간 철강회사들은 강판 가격 인상을 피해왔다. 2016년 이후 조선용 강판 가격은 톤당 60만~70만원 수준을 유지해왔으며, 이는 2008년 최고가인 110만원의 절반 수준이다.하지만 국내 철강업체들은 강판의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한다.철광석 가격은 지난 한 달 동안 41.9% 급등해 12월 21일 기준 톤당 176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3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일부 철강업체는 이미 생산비를 반영해 가격을 인상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가격인상을 최소화하려 노력했지만, 강판 사업에서 수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강판 가격은 6개월마다 협상되기 때문에 철강업계와 조선업계 간 치열한 줄다리기가 예상된다.해설한국은 세계 1위의 조선회사 HD현대중공업을 비롯해 한화오션, 삼성중공업과 같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닌 조선회사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與民由之 (여민유지)
▶한자풀이與: 더불 여 民: 백성 민 由: 말미암을 유 之: 어조사 지'백성과 함께한다'라는 뜻으로공직에 나가면 대의 실천에 힘씀을 이름- <맹자>대장부(大丈夫)는 큰 어른 남자라는 의미로, 남자다운 남자를 가리킨다. 여성의 경우엔 여장부라고 한다. <맹자> 등문공장구 하편에서는 대장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천하의 넓은 곳에 거하며, 천하의 바른 지위에 서며, 천하의 큰 도를 행하며, 뜻을 얻어 공직에 나아가면 백성과 더불어 말미암고, 뜻을 얻지 못하여도 홀로 그 도를 행하며, 부귀하여도 음란하지 않으며, 빈천하여도 뜻을 바꾸지 않으며, 위엄과 무력으로도 능히 굽힐 수 없는 사람이야말로 대장부라고 할 만하다.”천하의 넓은 곳은 인(仁)을 말하고, 바른 지위는 예(禮), 큰 도는 의(義)를 말한다. 여민유지(與民由之)는 백성과 더불어 말미암는다는 뜻으로, 공직에 나아가면 백성과 함께하며 옳은 길을 가도록 힘써야 한다는 말이다. 오늘날에는 정치에서 민의(民意)를 중시하고 백성과 함께하는 것을 이른다. 여민동락(與民同樂)도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한다는 의미로, 백성과 동고동락하는 통치자의 자세를 비유하는 말이다. 이 또한 <맹자>에서 유래한다.반면 주지육림(酒池肉林)은 중국 고대의 폭군들이 벌인 사치와 방탕한 생활을 상징하는 표현이다. 하나라의 걸왕과 상나라의 주왕이 자신들 애첩의 요청에 따라 술로 연못을 채우고 고기를 나무에 매달아 연회를 즐겼다는 일화에서 유래한다. 비유적으로 속세를 의미하는 말로도 쓰인다.고장난명(孤掌難鳴)은 한 손으로 쳐서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주와 신하가 마음을 모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