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至愚責人明 (지우책인명)
▶한자풀이至: 이를 지 愚: 어리석을 우 責: 꾸짖을 책 人: 사람 인 明: 밝을 명어리석은 사람도 남 나무라는 데는 총명하다자신의 허물은 못 보고 남 탓만 하는 것을 비유- <송명신언행록>송나라 때 명신 범순인(范純仁)은 명재상 범중엄(范仲淹)의 아들로, 시호는 충선공(忠宣公)이다. 그는 임금에게는 충직하고 아랫사람에게는 넉넉했다. 주자가 송나라 명신들의 언행을 엮은 <송명신언행록>에는 그의 충(忠)을 엿볼 수 있는 구절이 있다. 범순인의 말이다.“내가 평생 배운 것은 오직 충서(忠恕, 충성과 용서)라는 두 글자뿐이니, 일생토록 써도 다함이 없다. 조정에서 임금을 섬길 때나, 동료들을 대할 때나, 종족(宗族)과 친목을 다질 때나 나는 잠시도 충서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그가 충과 서를 얼마나 단단히 쥐고 조정에 나갔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가 자식들을 가르치는 훈계는 그의 품이 얼마나 넉넉한지를 보여준다.“지극히 어리석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남을 나무라는 데는 총명하고(人雖至愚 責人則明), 총명한 사람일지라도 자신을 용서하는 데는 어리석다. 너희들은 항상 남을 나무라는 마음으로 자신을 나무라고,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도록 하여라. 그리하면 성현의 지위에 이르지 못함을 근심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이 구절은 <명심보감> 존심(存心) 편에도 실려 있다.지우책인명(至愚責人明)은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도 남을 나무라는 데는 총명하다’는 뜻으로, 자신의 허물은 고치지 않고 남의 탓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똥 묻은 개가 겨 묻는 개 나무란다”는 우리말 속담과 의미가 비슷하다.현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혁신 촉진하는 경쟁, 과도하면 갈등·불평등 유발
교과서 통합사회와 생활과 윤리에는 경쟁사회와 협력이라는 사회적 관계 양상이 나옵니다. 여러분도 늘 학업 혹은 운동에서 선의의 경쟁을 하고 있으니, 경쟁이라는 단어는 친숙할 것입니다. 과연 경쟁이란 무엇일까요? 인간 사회에서 경쟁은 한 개인이나 집단이 다른 개인이나 집단과 유사한 자원, 목표, 지위 등을 얻기 위해 서로 다투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이 가진 본능적 욕구나 심리적 욕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진보와 발전을 이루기도 합니다. 이처럼 경쟁은 때로는 긍정적 영향을 끼쳐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고 효율적인 성과를 달성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쟁이 과도하거나 불공정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면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지요. 개인적 갈등, 사회적 불안정 및 불평등 등의 문제 또한 좌시할 수 없겠죠?이번 호에서는 경쟁적 관계에 대한 제시문을 두고, 인문 논술의 비판적 사고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문제를 바탕으로 교육에서 경쟁이 지닌 부정적 측면을 깊이 생각해봅시다. <가> 지문은 한 입사관이 쓴 책에서 발췌한 내용을 윤문 요약한 것입니다.[문제] 제시문 <나>를 활용해 <가>를 평가하시오. (1000자 내외)<가> 올해도 부산 지역 우수 학생들의 면접을 돕는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학생들의 생활기록부를 보면 3년간의 치열한 노력과 성과가 빼곡하다. 면접에서 장래 희망을 묻자 “CEO가 되고 싶다”고 답한 학생에게 경영의 목표를 물으니 “노동자의 평등한 권리 회복”이라고 답한다. ‘정의’와 ‘공정’을 말하지만, 정작 자신이 경쟁에서 이겨 이 자리에 왔다는 사실은 불편해한다. 경쟁
-
영어 이야기
시도해 보다 'give it a shot'
South Koreans are flocking to bookstores to snap up 2024 Nobel laureate Han Kang’s novels, making her books bestsellers after she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The craze for Han Kang’s books is reinvigorating the book market in South Korea, whose citizens log the most hours on YouTube worldwide.Han Gang’s print book sales skyrocketed by 2,240 times to 310,000 copies until Oct. 13 after she was awarded the distinguished prize on Oct. 10, according to online bookstore Yes24. The figure compares to her book sales over the same period last year.Thanks to the unexpected boom, some printing houses are running factories all day.Some readers said they were unfamiliar with her writing style, especially the way she describes violent scenes, and found them hard to digest due to their heavy subject matter.Readers are now giving these books another shot.2024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소설들이 베스트셀러로 떠오르며, 한국 독자들이 서점으로 몰려들고 있다.한강 작품에 대한 열풍은 유튜브 시청 시간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한국 출판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온라인 서점 예스24에 따르면, 10월 10일 한강 작가가 노벨상을 수상한 이후 10월 13일까지 그녀의 종이책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무려 2240배 증가한 31만 부를 기록했다. 예상치 못한 인기로 일부 인쇄소는 공장을 하루 종일 가동하고 있다.일부 독자는 그녀의 폭력적 장면 묘사나 무거운 주제 때문에 문체가 낯설고 받아들이기 어렵게 느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독자들은 한강 소설 읽기에 다시 도전하고 있다.해설한국은 전 세계에서 휴대폰으로 유튜브를 가장 많이 시청하는 나라입니다. 2024년 11월 기준 한국인은 한 달에 평균 43시간 30여 분가량 휴대폰으로 유튜브를 시청한다고 합니다. 이는 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열에 아홉은 틀리는 '하여금'의 용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전부터 ‘파나마운하 운영이 중국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면서 되찾아오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지난 4일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미국 블랙록으로 하여금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보유한 홍콩계 허치슨포트홀딩스의 지분 90%를 인수하기로 했다.” 트럼프 2기가 시작되면서 미·중 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파나마운하를 둘러싼 운영권 갈등도 그중 하나다. 예문의 두 번째 문장에는 우리말 ‘~로 하여금’ 용법을 이해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오류가 있다.‘~로 하여금 ~하게 하다’로 짝을 이뤄우선 문장의 골격만 추려보면, “블랙록으로 하여금 지분 90%를 인수하기로 했다”이다. 일단 목적어와 서술어는 금세 눈에 띄는데 주어는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생략됐다는 뜻인데, 문맥상 앞 문장에 나온 ‘트럼프’로 잡을 수 있다. 그러니 “(트럼프는) 블랙록으로 하여금 ~의 지분 90%를 인수하기로 했다”가 문장의 골격이다.결론부터 말하면 이 문장은 비문이다. 우리말을 정상적으로 구사하는 이들한테는 이 문장이 어색하게 느껴질 것이다. 왜냐하면 ‘~로 하여금’ 뒤에는 ‘~하게 하다’ 꼴이 와야 문장이 온전해지기 때문이다. ‘하여금’은 격조사 ‘-으로’ 뒤에 쓰여 ‘누구를 시키어’라는 의미를 지닌 말이다. ‘~으로 하여금’의 구성으로 쓰여 전체 문형은 ‘~으로 하여금 ~게 하다’, ‘~으로 하여금 ~도록 하다’로 이루어진다. 이때 앞부분은 ‘~를 시키어’, ‘~에게’, ‘~가’로 바꿔 쓸 수 있다.이처럼 의미
-
대입 전략
지방 로스쿨 합격, 상위 10개 대학이 75%…면접·구술 비중 커…대학 브랜드 영향도
이과 학생들에게 전문직 학과로 메디컬 부문인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및 수의대가 있다면 문과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대표적 전문직 과정으로 대학 졸업 후 진학하는 로스쿨을 꼽을 수 있다. 물론 문과 학생들은 로스쿨 외에도 경찰대, 육해공 사관학교 및 국군간호사관학교 등의 진학이 가능하다.로스쿨은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이하 서연고) 등 전국 25개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다. 2025학년도 로스쿨 22개 대학 전체 1850명의 대학별 합격자 수가 공개됐다. 전체 합격생 중 서울대 출신이 22.3%, 고려대 17.2%, 연세대 15.8%로 서연고가 전체 합격생의 55.3%를 차지한다.다음으로 성균관대 6.9%, 경찰대 4.4%, 이화여대 4.3%, 한양대 3.6%, 중앙대 2.8%, 서강대 2.5%, 경희대 2.2%로 주요 10개 대학에서 82.0%로 나타났다. 경찰대를 제외한 나머지 9개 대학이 모두 서울권 주요 대학이다.지역별 합격자 수는 서울권 소재 대학 출신이 전체 합격생의 83.9%고, 경인권은 0.8%, 지방권은 4.8%다. 그 밖에 경찰대가 4.4%, 교대·교원대 1.7%, 과기원 등 이공계 특성화대 1.5% 등 특수 대학 및 기타 대학에서 15.3%를 차지한다.출신 대학을 공개한 지방권 로스쿨 8개 대학, 682명 합격자 출신 대학은 고려대 15.2%, 연세대 14.1%, 성균관대 8.8%, 서울대 7.2%, 한양대 7.2%, 이화여대 6.7%, 경찰대 5.4%, 서강대 4.0%, 교대·교원대 3.5%, 전북대 2.8%로 상위 10개 대학에서 74.9%를 차지했다. 지방권 로스쿨 합격자 출신 대학 상위 10개 대학 중 7개 대학이 서울권 소재 주요 대학이다.전국 22개 대학 로스쿨 합격생 중 지방권 소재 출신 대학으로는 전북대 20명, 부산대 18명, 전남대 17명, 충남대 6명, 제주대 4명, 경북대 3명, 조선대 3명, 강원대 2명, 고려대(
-
학습 길잡이 기타
막대·그림자로 각도 측정, 지구의 둘레 알아냈죠
학생 여러분은 수학 선생님들이 간혹 수학 자체의 아름다움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보통 아름답다는 표현은 다분히 감성적이고 우리의 감정에 기반을 두지만, 수학이 아름답다고 말할 때는 그 의미가 다소 다릅니다. 수학은 어떤 면에서 보면 차갑게 느껴질 정도로 타협의 여지가 없고, 느낌으로 결정되는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그런데도 수학을 아름답다고 표현하는 것은 아마 다른 형태의 감정을 우리에게 불러일으키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우리의 직관이 감당하지 못하는 것을 매우 간결하게 표현하면서도 개념 사이의 관계가 마치 신이 만들어놓은 것처럼 잘 정의되고 제대로 맞아떨어질 때, 우리는 그 완벽함에 압도되고 경도되거나 전개 과정의 우아함을 보며 수학이 아름답다고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대부분 학생이 중학교 1학년 때 에라토스테네스라는 이름을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이 사람은 북아프리카의 지중해 연안에서 태어났으며, 기원전 3세기에 이집트 지역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활동한 수학자이자 과학자, 철학자입니다. 또한 시인이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이기도 했죠. 그리고 하나 더, 아주 우아하고 고상한 방식으로 실제로는 절대 할 수 없는 것을 계산해내는 인물이기도 했습니다. 수학의 아름다운 면을 하나 추가한 사람이죠.이 사람의 이름을 처음 듣는 순간은 대개 소수를 배우면서입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라는 이름으로 소수를 걸러낼 수 있는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방식을 이르는 말입니다. 구체적으로 100 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를 찾는다고 해봅시다. 1은 제외, 2는 소수이며 이후의 2의 배수는 제외, 3은 소수이며 이후의 3의
-
대학 생글이 통신
학회·동아리 활동, 알바…대학생활 꿈꿔보세요
열심히 공부하며 대학 입학을 꿈꾸고 있는 학생이라면 과연 대학 생활이란 어떤 것인지 궁금할 것입니다. 대학 수업 시간표는 어떻게 구성하고, 대학생은 어떤 동아리 또는 학회 활동을 하는지 등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대학 생활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보려고 합니다.먼저 수업과 관련된 것입니다. 대학생에게도 학교 수업은 생활의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다만, 전공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고등학교에 비해 수업이 적다고 할 수 있죠. 그래서 ‘공강 시간’이 있습니다. 대학에서 시간표를 짜다 보면 1교시와 3교시에 수업이 있고, 2교시엔 내가 들어야 할 강의가 없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 2교시가 공강 시간이 됩니다.대학생들은 이 공강 시간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시간표를 짭니다. 공강 시간 없이 수업이 이어지면 피곤할 때가 있고, 그렇다고 수업과 수업 사이에 공강 시간이 너무 길면 시간을 낭비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대학에는 학생들 사이에서 ‘꿀강’이라 불리는 과목이 있습니다. 들여야 하는 노력에 비해 성적이 잘 나오는 과목을 말합니다. 성적을 잘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꿀강을 골라 듣기보다는 평소 관심 있는 분야나 공부가 될 수 있는 과목을 많이 듣는 것이 좋습니다.대학에 입학하면 학생회를 비롯해 학생 자치 활동에 참여할 기회가 많습니다. 저는 이런 활동을 매우 권장합니다. 학생회 활동 등을 하다 보면 선배나 동기들과 빠르게 친해질 수 있고, 학과 정보나 대학 생활에 대한 팁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일과 인간관계를 경험하면서 사회생활에 필요한 능력도 기를 수 있습니다.동아리도 많습니다. 자신의
-
대학 생글이 통신
"왜 이 수업 듣나" 친구들로부터 얻은 깨달음
대학 수업에서는 개강 첫 주에 교수님들이 일종의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합니다. 해당 수업의 전반적인 내용과 한 학기 동안 이어갈 강의 방향을 설명하는 시간입니다. 제가 수강하는 과목 중 산업혁명과 과학 문화에 관한 수업의 오리엔테이션에서 ‘배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느낀 점이 있습니다.제가 이 과목을 선택한 이유는 단순했습니다. 전공 분야와 거리가 멀어 낯설면서도 흥미로웠고, 시간표와도 맞아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재미있을 수도 있겠다는 가벼운 기대를 안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별다른 생각 없이 첫 수업 날 강의실에 들어서자 약 40명의 학생이 먼저 와 있었습니다. 교수님은 학생 이름을 하나씩 부르며 출석을 확인하고 수업 개요를 간단히 설명했습니다. 이어 “왜 이 수업을 듣기로 했나요”라고 질문했습니다.처음엔 강의 첫날 으레 하는 형식적 질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서너 명에게 물어보고 끝날 것 같던 교수님의 질문은 계속됐고, 학생 한 명 한 명과 눈을 맞추며 답변을 유심히 들었습니다. 결국 40여 명의 학생이 질문에 답했는데, “인공지능(AI)에 대한 지식을 키우고 싶다” “과학 윤리와 역사에 관심이 있어 신청했다” “신문에 실린 교수님 칼럼을 읽고 흥미가 생겼다” 등 저마다 다른 이야기가 쏟아져 나왔습니다.보통 수업에서는 강의를 듣기만 할 뿐 함께 수강하는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접할 기회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수업에선 비록 짧은 대답이었지만, 모든 학생의 생각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강의 계획서만 보고는 느낄 수 없던 새로운 흥미가 샘솟는 기분이었습니다.이런 깨달음은 대학 수업에서만 얻을 수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