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생글이 통신
중국·라오스·태국…3개국 현장 체험에서 배운 것
서울대학교에는 해외 현장 학습 프로그램인 ‘SNU in the world program’이 있습니다. 줄여서 ‘스누인’이라고 하죠. 지역 소멸, 기업 혁신, 개발 협력 등 한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방학 중 국내에서 일주일간 사전 교육을 받은 후 2~3주간 국외로 나가 강연도 듣고 현장 체험도 합니다. 대학판 수학여행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마드리드, 파리, 유럽연합(EU), 베를린, 런던, 라오스, 베이징 등 여러 지역 중 본인이 희망하는 곳을 선택하고 자기소개서를 제출한 후 면접 과정을 거칩니다.저는 개발 협력에 관심을 갖고 ‘SNU in Laos’에 지원해 3주 동안 중국 윈난성과 라오스, 태국을 기차로 오가며 활동했습니다. 가장 먼저 방문한 곳은 중국 쿤밍시였습니다. 고산 지대에 있어 1년 내내 봄 날씨가 지속되는 곳입니다. 한여름에 갔는데도 날씨가 선선하고 쾌적했습니다.다음으로 중국과 라오스의 접경지대인 라오스 보텐을 찾았습니다. 이곳은 외국자본 유치를 위해 조성한 경제특구입니다. 보텐 경제특구 홍보관에서 이 지역의 경제를 크게 키우겠다는 장기 계획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상은 조금 달랐습니다. 중국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공실률이 높았습니다.이어 라오스의 천년 고도 루앙프라방으로 향했습니다. 루앙프라방은 과거 왕조의 유적지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고즈넉한 분위기를 띠었습니다. 어디를 가든 여유로운 느낌을 받았습니다. 야시장이 활성화돼 배낭여행을 하며 ‘한 달살이’를 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죠.하지만 여기서도 안타까운 점을 발견했습니다. 아동 노동이 만연하다는 점입니다. 이 지역의 월평균 소득은 30만 원 정도로,
-
대입 전략
삼성전자 18 대 1 vs SK하이닉스 31 대 1, 반도체학과 관심 급증…삼성SDI학과 신설도
주요 대학 대기업 계약학과는 졸업 후 취업 보장 등 파격적 혜택을 제공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대학의 반도체, 모빌리티 등 첨단 산업 분야 관련 학과와 계약을 맺고 운영 중이다. 주요 대학 내에서도 경쟁률과 합격선이 높은 학과로 수험생의 관심이 높은 학과 중 한 곳이다. 올해 수험생들은 어떤 기업과 연계한 학과에 관심을 더 많이 가졌을까. 2026학년도 수시모집 대기업 계약학과 경쟁률을 분석한다.대기업 계약학과는 현재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자동차·LG디스플레이·삼성SDI·카카오엔터프라이즈·LG유플러스 등 7개 기업이 9개 일반대, 4개 과학기술원과 협약을 맺고 2026학년도 기준 790명 규모로 운영 중이다. 삼성전자 계약학과가 520명 선발로 규모가 가장 크다. 반도체 관련 학과로는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두 학과가 각 100명 규모로 선발 인원이 가장 많고, 성균관대·포항공대·울산과학기술원·대구경북과학기술원·광주과학기술원 등이 적게는 30명에서 많게는 70명 규모로 선발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외에도 성균관대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 50명, 고려대 차세대통신학과 30명, 경북대 모바일공학전공 30명 등을 운영 중이다.SK하이닉스는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40명, 한양대 반도체공학과 40명,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30명 등 110명을 선발한다. 이 외 현대자동차는 고려대 스마트모빌리티학부와 협약을 맺고 50명을 모집하고 있고, LG디스플레이는 연세대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30명, 삼성SDI는 성균관대 배터리학과 30명,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가천대(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本立道生 (본립도생)
▶한자풀이本: 근본 본 立: 설 립 道: 길 도 生: 날 생근본이 세워지면 도(道)가 생겨난다기초가 서면 나아갈 길이 보인다는 뜻 -<논어><논어(論語)> 학이편에는 공자의 제자 유자(有子)가 효와 공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 나온다.“그 사람 됨됨이가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을 공경하면서, 윗사람에게 무례하게 구는 것을 좋아하는 자는 드물다. 또한 윗사람에게 무례하게 구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서, 반란을 일으키기 좋아하는 자는 아직까지 없었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니, 근본이 제대로 서면 도(道)가 생기는 법이다. 따라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을 공경하는 것은 인(仁)을 행하는 근본일 것이다(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이에 대해 한나라 때 학자 유향(劉向)은 저서 <설원(說苑)>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니, 근본이 확립되면 도(道)가 생기는 법이다’라는 말은 뿌리가 바르지 않으면 가지가 반드시 굽어지고 처음이 성대하지 않으면 끝에 가서 쇠퇴하는 것과 같다. 이 때문에 군자는 근본 세우는 일을 귀중히 여기고 처음 시작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다.”본립도생(本立道生)은 근본이 서야 도가 생긴다는 뜻으로, 기본이 바로 서면 앞으로 나아갈 길이 보인다는 말이다. 본립이도생(本立而道生)으로도 쓴다. 무슨 일을 하든지 기본이 충실해야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할 때 쓴다. 근본을 바르게 하고 근원을 맑게 함을 뜻하는 정본청원(正本淸源), 일을 시작할 때 성실하게 정성을 다하는 것은 아름답다는 뜻의 독초성미(篤初誠美), 뿌리가 깊어야 가지가 번창한다는 뜻의 근심지영(根深枝榮), 뿌리가
-
대학 생글이 통신
학생회·동아리 활동 '생기부용' 아닌 성장 기회로
고등학교 학생회나 동아리 활동을 단순히 생활기록부를 채우기 위한 도구 정도로 여기는 학생이 많습니다. 그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학생회와 동아리 활동이 갖는 의미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조금 더 긴 안목이 필요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시절 학생회에서 홍보영상부 부장을 맡았습니다.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학생회에서 내가 잘할 수 있는 것과 더 배우고 싶은 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점을 깊이 체감했습니다.학교 내 크고 작은 행사를 알리고 영상으로 기록하는 일이 홍보영상부의 역할이었습니다. 카메라를 들고 행사장을 쫓아다니며 촬영만 하는 수준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입니다. 영상 기획부터 촬영, 편집까지 전 과정을 직접 맡아야 했습니다.행사 홍보 및 기록 등 다양한 영상을 제작하며 저는 단순히 결과물을 만드는 데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그보다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이루는 과정에서 내가 얼마나 더 배우며 성장하는지를 생각했습니다.예를 들어 학교 행사에 관한 영상을 제작하면 학생들의 흥미를 돋우고 소통을 이끌어낼 방법을 고민했습니다. 그래서 영상 제작 자체가 아니라 영상 조회 수와 행사 참여율 등 구체적 성과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학생회의 다른 부서와 협력하고, 참여하는 친구들의 개성을 살리며, 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연출 방식을 끊임없이 고민했습니다. 이 시간은 저의 관심 분야인 영상 제작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여러 친구와 협업하고 소통하는 기회가 됐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홍보 영상에 나온 대사가 교내에서 유행어가 되기도 했고, 전년보다 높은 행사 참여율을 달성할 수 있었습
-
영어 이야기
빈털터리가 되다 'left holding the bag'
When cryptocurrency exchange operator Bullish rang the bell at the New York Stock Exchange (NYSE) on Aug. 13, a 30-something South Korean investor stayed awake until dawn.He put in buy orders for Bullish just to get a few more shares. “I expect the price to soar,” he said.He is one of a growing number of retail investors, known in Korea as the Ants, who put their savings into overseas equities.According to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the most heavily bought overseas stock by Korean retail investors in the first half of August was Figma, a design platform for web and mobile applications.But prices can collapse just as suddenly as they rise, analysts warn.“For Korea’s overseas retail investors, the question is how many will be left holding the bag when the fever cools,” said a stock broker.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사인 불리시(Bullish)가 8월 1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상장 기념 타종 행사를 열었을 때, 한 30대 한국인 투자자는 새벽까지 잠을 이루지 못했다.그는 불리시 주식 몇 주라도 더 사기 위해 매수 주문을 넣은 뒤 “주가가 폭등할 거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저축한 돈을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이른바 한국에서 ‘개미’라 불리는 개인투자자 중 한 명이었다.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8월 상반기 동안 한국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매수한 해외주식은 웹사이트와 모바일앱 디자인에 사용되는 도구를 개발하는 피그마(Figma)였다.그러나 전문가들은 가격이 급등하는 만큼 갑작스레 폭락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서울의 한 증권사 관계자는 “해외주식 열기가 식었을 때 한국 개인투자자 가운데 얼마나 많은 이가 손해를 보고 남겨질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해설올 들어 한국은 물론 미국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만능도구' 평균값정리 등 교과서 기본정리 숙지를
평균값정리는 미적분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정리 중 하나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문 첫 번째 예시 논제에서처럼, 다소 복잡하고 장황하게 접근해야 하는 문제도 평균값정리로 매우 간단하게 단순화하면서 논리적으로 완벽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평균값정리뿐 아니라 최대최소의 정리, 사이값정리, 롤의 정리 등을 숙지하면 특히 많이 쓰이는 수리논술의 논증추론 문제에서 언제든 적용할 수 있다.▶논증추론에서 자주 사용되는 교과서 기본정리◀1. 최대최소의 정리- 정리 자체는 단순하지만 롤의 정리를 완성하는 가장 중요한 기본정리2. 사이값정리- 서로 다른 부호의 결과값만으로 존재성을 확인하는 매우 유용한 정리3. 롤의 정리- 최대최소의 정리를 기반으로 하여 극값을 가질때의 미분계수를 판단하는 기본정리4. 평균값정리- 롤의 정리를 일반화시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아 ‘만능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가장 중요한 기본정리
-
학습 길잡이 기타
데이터 시각화…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면?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는 데이터를 차트, 그래프, 지도 등 시각적 요소로 표현해 정보를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복잡한 데이터를 한눈에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데이터 시각화와 유사한 용어로 인포그래픽이 있는데, 인포그래픽(Infographics)이란 인포메이션 그래픽(Information Graphics)의 줄임말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목적은 효과적인 정보 전달과 의사소통입니다. 이를 위해 사람들은 정보를 더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와 이미지를 이용해 정보를 시각화합니다. 사람들의 뇌는 이미지를 텍스트보다 앞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새로운 정보를 습득할 때, 글자를 읽는 것보다 이미지를 보는 것을 선호합니다. 데이터를 시각화할 때는 빠른 시간 내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하는데, 이를 부적절하게 이용하면 자료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해 잘못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그림1)은 우리나라 청소년(9~24세) 인구 추이를 나타내는 인포그래픽입니다. 이미지를 얼핏 보면 1980년에 비해 2025년의 청소년 수가 엄청 줄어든 듯합니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생각하면 그럴 수 있겠다 싶습니다. 그런데 수치를 보니 1401만5000명에서 762만6000명이 된 것이니 거의 절반 정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지만, 이미지상으로는 그보다 훨씬 많이 줄어든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우리가 이러한 이미지를 넓이의 개념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이미지를 그릴 때, 높이를 기준으로 1980년:2025년의 비를 2:1로 그렸지만, 이 이미지가 넓이 개념으로 더 다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국어사전 주춧돌 놓은 한글학회 '117돌 성상'
1908년 8월 31일, 서울 돈의문 밖 봉원사에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들었다. 주시경 선생이 운영하는 국어 강습소 졸업생을 비롯해 우리말 연구에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기울어가는 국운을 한탄하며 겨레의 말과 글을 지키고 살려야 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 자리에서 ‘국어연구학회’가 탄생했다.“낱말 하나하나에 겨레의 얼 담아”훗날 조선어학회(1931년)로, 다시 한글학회(1949년)로 이름을 바꿔 오늘에 이르렀으니 올해로 117돌을 맞았다. 이것만으로도 국내 최고(最古)의 학술 단체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한글학회의 연원은 좀 더 거슬러 올라간다. 문헌상으로 나타나는 한글학회 전신의 최초 모임은 아마도 ‘국문동식회’가 아닐까 싶다. 국문동식회는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이 창간한 후 5월 독립신문사 내에 주시경이 만든 철자법 연구 모임이다. 선생은 서재필 박사가 창간한 독립신문에 초기부터 참여해 언문조필로 활동하면서 한글 쓰기의 토대를 놓았다. 한글 표기법의 표준화 작업이 태동하던 시절이었다.선생은 1911년 최남선이 주도한 조선광문회에서 우리말 사전 편찬에 착수했다. ‘말모이’(말을 모은 것)라는 순우리말 이름의 사전을 만들기 시작했다. 김슬옹 세종국어문화원장의 강연록 ‘낱말 하나하나에 담은 겨레의 얼’에 따르면, 이는 민족 스스로 자기 말의 사전을 만들려 한 역사상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훗날 한글학회가 펴낸 <조선말 큰사전>의 밑거름이 됐다.일제강점기 국어의 수난사는 곧 우리 민족이 겪어낸 질곡의 역사였다. 그중에서도 1942년 터진 ‘조선어학회 사건’은 우리말을 절체절명의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