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개권유익 (開卷有益)
▶한자풀이
開: 열 개
卷: 책 권
有: 있을 유
益: 더할 익


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뜻으로
독서를 권장하는 말로 쓰임
-<승수연담록(繩水燕談錄)>

송(宋)나라 태종은 독서를 무척 좋아했는데, 특히 역사책 읽는 것을 즐겼다. 쉽사리 다 읽어낼 것 같지 않은 방대한 분량의 서적도 전혀 개의치 않았다. 태종은 학자 이방(李昉) 등에게 사서(辭書) 편찬을 명했고, 무려 7년의 시간을 들여 모두 1000여 권으로 된 방대한 백과사전이 만들어졌다. 태종 태평 연간에 편찬되어 그 연호를 따서 ‘태평총류(太平總類)’라고 이름 지었다.

태종은 크게 기뻐하며 매일을 하루같이 탐독했다. 후에 책 이름을 <태평어람(太平御覽)>으로 고치고, 스스로 매일 세 권씩 읽도록 규칙을 정했다. 정무에 힘쓰다가 계획대로 읽지 못했을 때는 틈틈이 이를 보충했다. 이를 본 측근의 신하가 건강을 염려하자 태종이 말했다.

“책을 펼치면 이로움이 있다(開卷有益). 나는 조금도 피로하지 않다.”

송나라 학자 왕벽지의 <승수연담록>에 나오는 고사다.

개권유익(開卷有益)은 말 그대로 ‘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뜻으로, 독서를 권장하는 말로 쓰인다.

독서삼매(讀書三昧)는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것을 뜻하며, 위편삼절(韋編三絶)은 옛날에 공자가 주역을 즐겨 열심히 읽은 나머지 책을 맨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책을 정독함을 일컫는다. 삼여지공(三餘之功)은 독서하기에 좋은 겨울, 밤, 비 오는 날을 가리킨다. 한우충동(汗牛充棟)은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쌓으면 들보가 가득 찬다는 뜻으로 장서가 아주 많음을 이르는 말이다.

신동열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신동열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박이정(博而精)은 여러 방면으로 널리 알 뿐 아니라 깊게도 안다는 뜻으로 가장 바람직한 독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영국의 문인이자 정치가인 디즈레일리는 “단 한 권의 책밖에 읽지 않은 사람을 경계하라”고 했다. 한 권의 책에 갇히면 세상의 좁은 길로만 평생을 걷게 된다. 두루 보면서도 깊게 보는 것, 그게 참된 앎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