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二虎競食計 (이호경식계)
▶한자풀이二: 두 이 虎: 범 호 競: 다툴 경 食: 먹을 식 計: 꾀 계두 마리 호랑이를 다투게 만드는 계책상대의 갈등을 조장해 이익을 취함 -<사기(史記)><사기(史記)> 장의열전에는 변장자(卞莊子)가 두 마리의 호랑이를 잡은 이야기가 나온다. 변장자가 호랑이를 찌르려고 할 때 그가 묵고 있던 여관에서 심부름하는 아이가 말리면서 이렇게 말했다.“두 호랑이가 소를 잡아먹으려고 하는데, 고기를 먹어보고 맛이 있으면 반드시 서로 다툴 것이고, 다투게 되면 반드시 싸울 것이며, 싸우게 되면 큰 놈은 다치고 작은놈은 죽을 것이니, 다친 놈을 찌르면 단번에 두 마리 호랑이를 잡았다는 소리를 듣게 될 것입니다.”변장자가 그 말을 따라 기다리니, 과연 두 마리 호랑이가 싸워 큰 놈은 다치고 작은놈은 죽었다. 변장자는 다친 놈을 칼로 찔러 단번에 두 마리의 호랑이를 잡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고사에서 유래한 이호경식계(二虎競食計)는 ‘두 마리 호랑이가 서로 싸우게 하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대적하는 상대의 갈등을 조장해 서로 싸우게 함으로써 이익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호경식지계(二虎競食之計)라고도 한다.<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도 이 계책이 언급된다. 여포가 서주에 주둔한 유비에게 몸을 의탁하자, 조조는 두 사람이 힘을 합쳐 자신을 공격해올 것을 두려워했다. 이에 순욱은 무력을 쓰기보다는 유비와 여포가 서로 싸우게 하는 계책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황제에게 청하여 유비를 서주목(徐州牧)으로 임명하게 하고, 여포를 제거하라는 밀서를 내리십시오. 유비가 여포를 제거하면 유비는 한쪽 팔을 잃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見指忘月 (견지망월)
▶한자풀이見: 볼 견 指: 손가락 지 忘: 잊을 망 月: 달 월달은 잊어버리고 손가락만 쳐다본다말단만 보고 핵심을 놓쳐버림을 이름-<능가경>한 불자가 명성 높은 스님을 찾아와 가르침을 전해달라고 청하였다. 하지만 스님이 “나는 글을 알지 못합니다”라고 말하자, 불자가 크게 실망했다. 불자의 표정을 보고 스님이 말했다.“진리는 하늘에 있는 달과 같고, 문자는 그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같습니다.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지만, 손가락이 없어도 달을 보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달을 보라고 손가락을 들었더니 달은 보지 않고 손가락만 쳐다보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요.”대승불교의 경전인 <능가경>에 전해오는 이야기다. 견지망월(見指忘月)은 ‘손가락만 쳐다보고 달은 잊는다’는 뜻으로, 말단만 보고 정작 사물의 핵심은 놓쳐버리는 것을 이른다. 달을 보지 않고 손가락만 본다는 것은 본질은 도외시하고 형식과 수단에만 치우친다는 말이다.선종의 주요 가르침 중에 불립문자(不立文字)가 있는데, 이는 언어 문자의 형식에 집착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법을 전하고 깨닫는다는 말로, 견지망월과 뜻이 비슷하다. 마음과 마음으로 뜻이 전해지므로 말과 문자가 필요 없다는 이심전심(以心傳心)도 불립문자와 가르침이 같다. 깨달음을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견월망지(見月忘指)로 쓰면 형식과 수단보다는 본질을 본다는 뜻으로 의미가 정반대로 바뀐다.‘말꼬리 잡는다’는 우리말은 달은 안 보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는 사람과 함의가 이어져 있다. 문맥을 보지 않고 문자 하나에 너무 집착하면 산은 보지 못하고 자잘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黑白顚倒 (흑백전도)
▶한자풀이黑: 검을 흑白: 흰 백顚: 엎드러질 전倒: 넘어질 도검은 것과 흰 것이 거꾸로 되다옳고 그름이 뒤집힌 상황을 이름-굴원의 시 <회사>전국시대 초(楚)나라의 굴원은 유배지에서 세상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한탄하며 멱라수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 그가 죽기 전에 자신의 심경을 담아 지은 작품이 바로 <회사>다. 시구에는 간신배들이 활개 치는 세상을 탄식하는 내용이 나온다.“흰 것이 변하여 검은 것이 되고, 위가 거꾸로 아래로 되었네(變白以爲黑兮 倒上以爲下). 봉황은 조롱 속에 갇히고, 닭과 꿩이 하늘을 나네.”여기서 유래한 흑백전도(黑白顚倒)는 문자 그대로 흑과 백이 뒤바뀌었다는 말로, 옳고 그름이 뒤집힌 부조리한 상황을 비유하거나 검은 것을 희다고 말하고 흰 것을 검다고 말하는 것처럼 고의로 옳고 그름을 흐리게 해 혼란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한다. 전도흑백(顚倒黑白), 반백위흑(反白爲黑), 전도시비(顚倒是非)도 같은 뜻이다.후한 시대 안제(安帝) 때의 양진(楊震)은 번풍과 주광 등 탐관오리의 행태를 고발하는 상소문에서 “흰 것과 검은 것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고, 맑음과 탁함이 그 근원을 같이하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는데, 이 또한 뜻이 흑백전도와 맞닿는다. 도둑이 되레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라는 것을 일컫는 적반하장(賊反荷杖)도 뜻이 같다.주인과 객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었다는 주객전도(主客顚倒), 객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부차적인 것을 주된 것보다 오히려 더 중요하게 여김을 이르는 객반위주(客反爲主), 일의 처음과 끝이 뒤바뀌었다는 본말전도(本末轉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惡事千里 (악사천리)
▶한자풀이惡: 악할 악 事: 일 사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나쁜 일은 천 리를 달린다는 뜻으로안 좋은 소문은 금세 멀리까지 퍼짐 -<북송쇄언>악사천리(惡事千里)는 ‘나쁜 일은 천 리를 달린다’는 뜻으로, 나쁜 소문은 아무리 숨기려 해도 멀리까지 금세 퍼짐을 이르는 말이다. 악사행천리(惡事行千里), 악사전천리(惡事傳千里)로도 쓴다. 중국에서는 속담처럼 사용해온 말로, 앞에 호사불출문(好事不出門, 좋은 일은 문밖으로 퍼져나가지 않음)이 붙어 대구를 이룬다.이 말은 송나라 때 손광헌(孫光憲)이 지은 <북송쇄언>에 나오는 “이른바 좋은 일은 문밖으로 퍼지지 않고, 나쁜 일은 천 리를 간다고 하였으니, 선비와 군자가 그것을 경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所謂好事不出門 惡事行千里 士君子得不戒之乎)”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같은 송나라 때 도원이 지은 <경덕전등록>의 선문답에도 “어떤 승려가 소종선사에게 ‘달마조사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인지요’라고 물으니, 소종선사는 ‘호사불출문, 악사행천리’라고 대답하였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악사천리는 <수호지> <서유기> 등 중국의 대중소설에도 자주 나온다. 우리말 속담 ‘발 없는 말이 천 리를 간다’와 의미가 비슷하다.소문과 관련된 사자성어는 많다. 유언비어(流言蜚語)는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이나 풍설을 이르는 말이고, 도청도설(道聽途說)은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말을 이른다.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를 이르는 가담항어(街談巷語),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을 이르는 부언유설(浮言流說)도 뜻이 같다. 낭설(浪說)은 터무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三旬九食 (삼순구식)
▶한자풀이三: 석 삼 旬: 열흘 순 九: 아홉 구 食: 먹을 식한 달에 아홉 끼를 먹다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삼순구식삼순구식(三旬九食)은 ‘열흘에 아홉 끼를 먹다’라는 뜻으로, 매우 가난함을 이르는 말이다. 남북조시대 송나라의 범엽이 후한의 역사를 정리한 <후한서>에 나오는 표현이다. 후한 시대 가난한 백성들의 삶을 묘사하면서 이 말이 사용되었다. 삼순(三旬)은 한 달을 의미하며, 구식(九食)은 아홉 끼니를 뜻한다. 즉 한 달 동안 겨우 아홉 끼니를 먹을 정도로 극심한 가난을 겪는 상황을 나타내는 말이니, 당시 백성들이 얼마나 어려운 삶을 살았는지를 생생하게 묘사한 사자성어다.송나라를 대표하는 도연명 시인의 시에도 삼순구식이 나온다. 그는 잠시 현령이라는 관직에 있었지만 “다섯 말의 쌀 때문에 부패한 관리들에게 허리를 굽힐 수 없다”라는 말을 남기고 낙향해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의 시 중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동방에 한 선비가 있으니, 옷차림이 항상 남루했고, 한 달에 아홉 끼가 고작이요(三旬九食) 10년이 지나도록 관직 하나로 지내더라. 고생은 비할 데가 없건만 늘 밝은 얼굴이더라. 내 그분을 뵙고자 이른 아침에 갔더니, 푸른 소나무는 길옆에 울창하고, 흰 구름은 처마 끝에 잠들었더라.”자신의 처지를 동방의 한 선비에 비유한 시로 읽힌다.상루하습(上漏下濕)은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차오른다’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이다. 위로는 비가 새고 옆으로는 바람이 들이친다는 상우방풍(上雨旁風), 집이 네 벽뿐이라는 가도사벽(家道四壁)도 집안 형편이 매우 어려움을 뜻하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鐵中錚錚 (철중쟁쟁)
▶한자풀이鐵: 쇠 철 中: 가운데 중 錚: 쇳소리 쟁 錚: 쇳소리 쟁쇠붙이 중 유난히 맑게 쟁그랑거리는 소리같은 무리에서 가장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후한서(後漢書)>후한의 광무제는 천하를 통일하는 과정에서 적미(赤眉) 일당의 소탕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적미는 왕망 시대에 생긴 농민들의 반란군으로, 신성한 색으로 여기던 붉은색으로 눈썹을 물들여 자기네의 표식으로 삼았기 때문에 붙은 호칭이다. 처음에는 번숭을 두목으로 하여 낭야에서 일어났지만 봉안, 서선, 사록 등이 군대를 거느리고 합류해 오면서 세력이 커져 산둥성을 중심으로 광대한 지역에서 위세를 떨쳤다.유분자를 옹립해 황제로 받든 적미는 서쪽으로 세력을 펼쳐 장안에 침입하고 왕망을 쓰러뜨렸다. 광무제는 이런 막강한 적미 세력과의 싸움에서 적잖게 고전했으나 동방으로 이동하는 적미들을 하남에서 총공격을 가함으로써 그들의 항복을 받아냈다. 적미들이 항복한 다음 날 아침 광무제는 군대를 도열시켜 열병식을 거행하고 참관한 번숭과 서선을 돌아보며 말했다.“통찰력이 있는 인재라면 전세의 추이를 보고 벌써 귀순했을 것이다. 대세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자라면, 아직도 항복을 받아들이지 않고 버티고 있을 것이다. 그대들을 쇠에 비유한다면 좀 더 견고한 쇠로서 범인 중에 놓고 보면 얼마쯤은 두드러진 사람들임이 틀림없도다.”이는 서선 등의 항복이 결코 이른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고집을 부리는 어리석은 자들보다는 조금 낫다는 평가다. <후한서>에 전해오는 이 고사에서 유래한 철중쟁쟁(鐵中錚錚)은 쇠붙이 중 유난히 맑게 쟁그랑거리는 소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招搖過市 (초요과시)
▶한자풀이招: 부를 초 搖: 흔들릴 요 過: 지날 과 市: 저자 시요란스럽게 저잣거리를 지나가다허풍을 떨며 자신을 드러냄을 비유-<사기(史記)>공자가 위나라에 가서 거백옥의 집에 머물 때였다. 위나라 군주 영공(靈公)의 부인인 남자(南子)가 사람을 보내 뵙기를 청했다. 공자는 처음에는 사양했으나, 남자가 거듭 사람을 보내 요청하자 마지못해 만나러 갔다. 남자는 휘장을 드리우고 공자를 만났는데, 패옥(佩玉)이 부딪치는 소리가 요란스럽게 들렸다. 겉치레를 과시하는 이러한 행동은 공자가 중시하는 예(禮)에 맞지 않는 것이었다.공자는 제자 자로에게 “나는 그녀를 만나고 싶지 않았으나, 기왕에 만났으니 예로써 대해주었다”라고 말했다. 예가 없는 사람에게 예로 대한 것을 마뜩잖게 생각하는 자로에게 공자는 “내가 잘못이라면 하늘이 나를 미워할 것이다”라고 했다.위나라에 머문 지 한 달이 지났을 무렵에 영공과 부인 남자는 함께 수레를 타고 행차했다. 그런데 환관인 옹거는 수레에 함께 태우고, 공자에게는 뒤 수레를 타고 따라오게 하면서 요란스레 저잣거리를 지나갔다. 공자는 이를 두고 “나는 덕(德)을 좋아하기를 색(色)을 좋아하는 것과 같이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다”라고 말했다. 그러고는 영공이 자신을 그와 같이 대하는 것을 치욕으로 여기고 위나라를 떠나 조(曹)나라로 갔다.<사기(史記)>의 공자세가(孔子世家) 편에 나오는 고사다. 여기에서 유래한 초요과시(招搖過市)는 남의 이목을 끌기 위해 요란스럽게 행차하고 저잣거리를 지나간다는 뜻으로, 허풍을 떨며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실속 없이 겉만 번지르르하게 꾸미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至愚責人明 (지우책인명)
▶한자풀이至: 이를 지 愚: 어리석을 우 責: 꾸짖을 책 人: 사람 인 明: 밝을 명어리석은 사람도 남 나무라는 데는 총명하다자신의 허물은 못 보고 남 탓만 하는 것을 비유- <송명신언행록>송나라 때 명신 범순인(范純仁)은 명재상 범중엄(范仲淹)의 아들로, 시호는 충선공(忠宣公)이다. 그는 임금에게는 충직하고 아랫사람에게는 넉넉했다. 주자가 송나라 명신들의 언행을 엮은 <송명신언행록>에는 그의 충(忠)을 엿볼 수 있는 구절이 있다. 범순인의 말이다.“내가 평생 배운 것은 오직 충서(忠恕, 충성과 용서)라는 두 글자뿐이니, 일생토록 써도 다함이 없다. 조정에서 임금을 섬길 때나, 동료들을 대할 때나, 종족(宗族)과 친목을 다질 때나 나는 잠시도 충서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그가 충과 서를 얼마나 단단히 쥐고 조정에 나갔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가 자식들을 가르치는 훈계는 그의 품이 얼마나 넉넉한지를 보여준다.“지극히 어리석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남을 나무라는 데는 총명하고(人雖至愚 責人則明), 총명한 사람일지라도 자신을 용서하는 데는 어리석다. 너희들은 항상 남을 나무라는 마음으로 자신을 나무라고,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도록 하여라. 그리하면 성현의 지위에 이르지 못함을 근심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이 구절은 <명심보감> 존심(存心) 편에도 실려 있다.지우책인명(至愚責人明)은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도 남을 나무라는 데는 총명하다’는 뜻으로, 자신의 허물은 고치지 않고 남의 탓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똥 묻은 개가 겨 묻는 개 나무란다”는 우리말 속담과 의미가 비슷하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