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進寸退尺 (진촌퇴척)

    ▶한자풀이進: 나아갈 진    寸: 마디 촌    退: 물러날 퇴    尺: 자 척한 치를 나아가고 한 자를 물러나다얻은 것은 적고 잃은 것은 많음을 비유 -<도덕경> 도가(道家) 사상을 집대성한 <도덕경> 제69장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용병의 방법에 ‘내가 감히 주체가 되려 하지 않고 객체가 되며, 감히 한 치를 나아가지 않고 한 자를 물러선다(進寸退尺)’라는 말이 있다. 이것을 일러 행하되 행하지 않는 것처럼 하고, 팔을 휘두르되 팔을 들지 않은 것처럼 하고, 적과 대치하되 적을 공격하지 않는 것처럼 하고, 무기를 잡고 있되 무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처럼 한다는 것이다. 적을 가벼이 여기는 것보다 더 큰 재앙이 없으니, 가벼이 여기면 나의 보배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거병하여 서로 항거할 때는 슬퍼하는 자가 승리한다.”여기에서 유래한 진촌퇴척(進寸退尺)은 한 치를 나아가고 한 자를 물러선다는 뜻으로, 얻은 것은 적고 손실은 큰 경우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흔히 말하는 “득보다 실이 크다”와 의미가 같다. 치(寸)는 길이의 단위로, 한 치는 약 3.3cm에 해당한다. 한 자(尺)는 열 치이므로 약 33cm에 해당한다. 동일한 의미로 촌진척퇴(寸進尺退)가 있다.당나라 학자 한유(韓愈)가 쓴 <상병부이시랑서(上兵部李侍郞書)> 서두에도 같은 구절이 나온다.“운수가 희박하고 행운이 따르지 않아서 움직이면 참언과 비방을 당하여 한 치를 나아가고 한 자를 물러섰으니 결국 아무것도 이루지 못하였습니다(薄命不幸 動遭讒謗 進寸退尺 卒無所成)”라는 내용이다.이 글은 한유가 유배 생활을 마친 뒤 다시 조정에 중용되기를 바라는 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太山壓卵(태산압란)

    ▶ 한자풀이 太: 클 태  山: 뫼 산  壓: 누를 압  卵: 알 란'태산이 달걀을 누른다'는 뜻으로큰 것이 작은 것을 누름/아주 쉬운 일-<진서(晉書)> 진(晉)나라 때 손혜는 제왕(齊王) 경의 모사(謀士, 꾀를 써서 일을 잘 이루어지게 도모하는 사람)로 있었다. 조왕 윤(倫)을 토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웠지만 제왕이 차츰 교만해지고 참람(분수에 넘쳐 지나침)하게 행동하는 데 실망해 병을 핑계로 왕의 곁을 떠났다. 손혜는 은거하던 중에 동해왕 월(越)이 하비 지방에서 군사를 일으키자 진비(秦秘)라는 가명으로 편지를 보냈다.“하물며 순리를 따라 역리를 토벌하고, 정의로움으로 사악함을 정벌하는 것이니, 이는 오획 같은 장사에게 얼음을 깨뜨리게 하고, 맹분과 하육 같은 장사에게 썩은 나무를 뽑아내게 하며, 맹수에게 여우를 잡아먹게 하며, 태산으로 달걀을 누르게 하며(泰山壓卵), 불타는 들판에 바람이 몰아치는 것과 같아서 맞설 수 없는 일입니다.”이는 동해왕이 군사를 일으킨 것에 동조한다는 뜻이다. 동해왕은 손혜의 글을 읽고 그를 기실참군(記室參軍)으로 삼았다. <진서(晉書)> 손혜열전에 나오는 이야기다.여기서에 유래한 태산압란(太山壓卵)은 태산처럼 큰 산이 아주 작은 달걀을 누른다는 뜻으로, 큰 세력이 미약한 세력을 누르는 것을 뜻한다. 약자에 대한 강자의 압도적 우세를 이르거나 어떠한 일이 아주 쉽다는 것을 이르는 의미로도 쓰인다. 배산압란(排山壓卵)도 뜻이 같다.태산퇴양목괴(太山頹梁木壞)는 ‘태산이 무너지고 대들보가 꺾인다’는 말로, 한 시대의 어른이나 존경하는 사람의 죽음을 뜻한다. 공자가 돌아가시기 7일 전 아침에 문앞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疾之已甚 (질지이심)

    ▶한자풀이疾: 병 질  之: 갈 지  已: 이미 이  甚: 심할 심그것을 미워함이 너무 심하다어떤 것을 아주 미워함을 이름   -<논어>공자의 제자들이 공자 생전에 있었던 일들을 엮은 책이 <논어>다. 공자가 제자들과 나눈 이야기가 주로 담겨 있다. <논어>에는 삶을 살아가는 지혜가 오롯이 담겨 있다. <논어>는 글을 쓰는 데도 영근 씨앗이 된다. 유가사상은 인의예지(仁義禮智)로 요약되지만, 2000년을 훌쩍 넘어 동양사상의 바닥을 도도히 흐르고 있다.“사람은 시로 깨어나고 예로 바로서고 음악으로 완성된다(興於詩 立於禮 成於樂)”는 공자의 말은 유가 사상이 얼마나 넓으면서 깊은지를 잘 보여준다. 공자는 인간이 인간다우려면 시(詩)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공자가 당대에 유명한 시 300여 편을 모아 시편을 엮은 것도 이런 생각을 잘 나타낸다. 공자의 제자가 공자의 아들에게 “아버님을 뵈오면 무슨 말씀을 하십니까”라고 물으니, 공자의 아들이 답했다.“별 말씀은 없으십니다. 다만 ‘요즘 시 공부는 잘하고 있느냐’ 하고 물으시곤 합니다.”공자는 시(詩)와 악(樂)이 사람의 심성을 곱게 한다고 믿었다. 또 공자는 가르침을 중시했다. 그러면서도 모든 사람을 다 깨우칠 수 없음을 한탄했다. “백성들로 하여금 도를 좇아 따르게 할 수는 있어도, 도를 다 알게 할 수는 없다(民可使由之 不可使知之)”는 구절은 공자의 이런 생각이 투영되어 있다.공자는 제자들이 혹여 만용을 부릴까 경계해 말했다.“용맹함을 좋아하면서 가난을 싫어하면 난동을 부릴 것이요(好勇疾貧 亂也), 사람으로서 어질지 못함을 지나치게 미워해도 난동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烏之雌雄 (오지자웅)

    ▶한자풀이  烏: 까마귀 오  之: 갈 지  雌: 암컷 자  雄: 수컷 웅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려운 것처럼시비나 선악을 가리기가 어려움을 이름-<시경><시경(詩經)>은 춘추시대의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엮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이다. 공자가 311편을 간추려 정리한 것으로 전해진다. ‘소아(小雅)·정월’ 편은 모두 13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소인배들에 의한 정치적 혼란 상황과 그로 인해 충직한 사람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을 한탄한 내용들이다. 5장에는 정월(正月)이라는 시가 실려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산을 일러 낮다고 하지만, 산등성이도 있고 언덕도 있네. 백성의 거짓된 말을 어찌하여 막지 못하는가? 저 옛 늙은이 불러 꿈을 점쳐 물어보네. 저마다 자기가 성인이라 하는데, 누가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할 수 있으리오(謂山蓋卑 爲岡爲陵 民之訛言 寧莫之懲 召彼故老 訊之占夢 具曰予聖 誰之烏之雌雄).”보통 새들은 수컷이 암컷보다 깃털도 화려하고 몸통도 더 크지만, 까마귀는 암수가 그 형태나 빛깔이 거의 똑같고 몸통도 수컷이 조금 더 클 뿐이어서 서로 구별하기 어렵다. 세상이 혼란할수록 참과 거짓, 흑과 백을 구별하기 어렵다.여기서 유래한 수지오지자웅(誰之烏之雌雄)은 “누가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겠는가”라는 말로 옳고 그름, 선하고 악함, 현명하고 어리석음 등을 명확하게 가리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흔히 오지자웅(烏之雌雄)으로 줄여 쓴다.혜안(慧眼)은 사물을 꿰뚫어보는 안목과 식견이다. 참과 거짓, 백과 흑을 구별할 줄 아는 눈이다. 삿된 욕심은 혜안을 흐린다. 흑을 백으로 보고 거짓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杜漸防萌 (두점방맹)

    ▶한자풀이杜: 막을 두    漸: 차차 점    防: 막을 방    萌: 싹 맹애시당초 싹이 나오지 못하게 막다좋지 못할 일의 조짐을 사전에 제거함- <후한서>후한 화제(和帝) 때의 일이다. 조정의 고위관직은 두태후(竇太后)의 친정 식구들이 전부 차지하고 권력을 독점해 다른 대신들은 들러리에 불과했다. 그 폐해를 알면서도 후환이 두려워 모두 입을 닫았다.물이 끓으면 넘쳐 흐르는 법. 임금에게 직언하는 대관(臺官) 정홍(丁鴻)이 분노를 참지 못하고 나섰다. 그는 유창하면서도 논리정연한 언변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었는데, 황실 외척의 국정농단이 방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생각했다. 기회를 잡은 정홍이 주위 신하들을 물리친 채 목숨을 버릴 각오로 황제를 독대해 진언했다.“폐하, 그릇된 일도 즉각 바로잡으면 쉬이 풀리지만, 뒤로 미루면 점점 손댈 수 없게 되어 끝내 수습 불능에 이르고 맙니다. 송구스럽게도 지금 조정의 사정이 그러하오니, 폐하께서 바로 두점방맹(杜漸防萌)하시어 두씨 일족의 국정농단을 바로잡지 않으시면 큰 후환이 될 것입니다.”화제가 정홍의 간언을 받아들였다. “내 잘 알겠소. 그럼 어찌하면 좋겠소.”정홍이 해법을 제시했다. “두씨 일족을 조정에서 내치시고, 폐하께서 친정(親政)을 시작하시어 태후마마의 국정 간섭을 막으십시오. 이와 함께 어질고 유능한 선비들을 등용해 빈자리를 채우고 폐하를 보필하게 하시면 나라가 곧 안정될 것입니다.”화제는 정홍의 의견을 따라 다양한 개혁조치를 시행했다. <후한서>에 전해오는 고사다.두점방맹(杜漸防萌)은 애초에 싹이 자라지 못하게 막음으로써 좋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唯唯諾諾 (유유낙낙)

    ▶ 한자풀이唯: 오직 유  唯: 오직 유  諾: 대답할 낙  諾: 대답할 낙어떤 요구를 저항 없이 바로 승락하다상대에게 잘보이기 위해 시비를 따지지 않음 - <한비자>한비자(기원전 280~233)는 춘추전국시대 법가의 대표적 인물이다. <한비자>에는 팔간(八姦) 편이 있는데, ‘여덟 가지 간악함’이라는 뜻으로 국가나 군주의 권력을 위협하는 음모를 설명하고 있다.귀부인이나 총애하는 여인처럼 한 침상을 쓰는 자들(同床), 근신이나 광대처럼 군주 곁에서 모시는 자들(在旁), 군주가 친애하는 친인척이나 조정 관리들(父兄)로 인한 음모, 군주가 누각이나 연못을 꾸미거나 어린 미녀나 동물을 애호하는 데 빠져 재앙을 키우는 것(養殃), 간신이 백성에게 선심을 써서 군주보다 인기를 얻는 것(民萌), 변설과 말재간으로 군주를 흔드는 것(流行), 간신이 자기 무력을 키워 군주의 위엄을 넘보는 것(威强), 주변국을 이용해 간신이 다른 군주에게 아부하여 대국을 섬기게 만들고 자기 권세를 군주보다 키우는 것(四方) 등 여덟 가지다.그중 재방(在旁)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무엇을 재방이라 하는가. 광대(優笑)나 난쟁이(侏儒), 좌우의 근신처럼 군주의 곁에 머무는 자들이다. 이들은 군주가 명하지 않아도 ‘예, 예’ 하고 시키지 않아도 ‘알겠습니다’ 한다. 미리 생각하여 군주의 뜻을 받들고 군주의 안색을 살펴 군주의 마음보다 앞서는 자들이다. 이들은 모두 똑같이 응하고 대답하며 똑같은 말과 똑같은 술수로 군주의 마음을 움직이는 자들이다. 신하가 금옥(金玉)이나 애호하는 물건으로 이들을 사적으로 섬기고 밖으로 이들을 위해 불법을 행하여 군주에게 나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優孟衣冠 (우맹의관)

    ▶한자풀이優: 뛰어날 우  孟: 맏 맹  衣: 옷 의  冠: 갓 관'우맹이 의관을 차려입다'는 뜻으로 그럴듯하게 꾸며 진짜처럼 행세함  - <사기>춘추시대 초나라의 악인(樂人) 우맹은 풍자하는 말로 사람들을 잘 웃겼다. 재상 손숙오가 그의 현명함을 알아보고 잘 대해주었다. 손숙오는 병석에 누워 죽기 전에 아들에게 “내가 죽고 나면 너는 틀림없이 빈곤해질 터이니, 우맹을 찾아가 ‘제가 손숙오의 아들입니다’라고 말하거라”라는 유언을 남겼다.몇 년이 지나자 그의 아들은 과연 곤궁해져서 생계 수단으로 땔나무를 팔았다. 아들은 우맹을 찾아가 “저는 손숙오의 아들입니다. 부친께서 돌아가실 때 빈곤해지면 당신을 찾아가라고 당부하셨습니다”라고 말했다. 우맹은 이때부터 손숙오처럼 의관을 갖추고 몸짓과 말투를 흉내 내기 시작해 1년쯤 지나자 손숙오와 똑같이 행동할 수 있었다.우맹은 장왕이 베푼 주연에 참석해 만수무강을 축원했다. 장왕은 매우 놀라며 손숙오가 환생한 것으로 여기고 그를 재상으로 삼으려고 했다. 그러자 우맹은 아내와 상의한 뒤 3일 뒤 다시 오겠다고 했다. 3일 뒤에 돌아온 우맹이 장왕에게 말했다.“아내가 초나라 재상은 할 만한 것이 못된다고 하였습니다. 손숙오 같은 분은 충성을 다하고 청렴하게 생활하며 왕이 패자(覇者)가 될 수 있도록 보좌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아들은 송곳을 꽂을 만한 땅도 없이 가난하게 살면서 땔나무를 팔아 연명하고 있습니다. 손숙오처럼 되느니 차라리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이 낫습니다.”이에 장왕은 잘못을 사과하며 손숙오의 아들을 불러 침구(寢丘) 땅 400호를 봉토로 주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弋不射宿 (익불사숙)

    ▶한자풀이弋: 주살 익    不: 아니 불    射: 궁술 사    宿: 묵을 숙밤에 잠들어 있는 새는 쏘지 않는다이익을 위해 무자비한 행위를 하지 않음- <논어><논어(論語)> 술이 편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공자께서는 낚시질은 하되 그물질은 하지 않으시며 주살질은 하되 잠자는 새는 쏘지 않으셨다(子 釣而不綱 不射宿).”공자는 젊은 시절 집이 가난해 직접 물고기를 잡고 사냥을 한 적이 있다. 이때 공자는 낚시나 화살로 한 마리씩 필요한 만큼만 잡았고, 촘촘한 그물을 물에 가로질러 쳐서 무분별하게 물고기를 잡지는 않았다. 또 밤에 몰래 잡을 생각으로 나뭇가지 위에 잠들어 있는 새를 쏘아 죽이지 않았다. <논어>의 주석서인 <논어집주(論語集註)>와 <논어주소(論語註疏)> 등에서는 공자의 이 같은 행동을 그의 인자함(仁)으로 풀이했다.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물고기를 잡지만 많은 것을 탐하지 않고, 제사 음식을 마련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사냥을 하지만 함부로 살생을 많이 하지 않는 것이 옳다는 말이다.<논어>에는 옳은 정사(政事)란 무엇인지 묻는 당대 제후인 왕들의 질문에 대한 공자의 현명한 의견과 그가 제자들에게 가르치고 당부하는 훈계의 말이 많지만, 공자의 작은 행동 속에서 본보기로 삼을 만한 어진 마음과 훌륭한 인품을 엿보고 배우고자 한 제자들의 기록도 있다. 이익을 보면 그 이익이 의로운지를 먼저 생각하라는 견리사의(見利思義)가 대표적이며, 위의 이야기 또한 그중의 한 예다.익불사숙(不射宿)은 ‘활로 사냥을 해도 밤에 잠들어 있는 새는 쏘아 맞히지 않는다’는 뜻으로, 유교의 성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