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騎虎之勢 (기호지세)

    ▶ 한자풀이 騎: 말 탈 기 虎: 범 호 之: 갈 지 勢: 형세 형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형세 - 독고(獨孤) 씨는 수나라 문제(文帝) 양견의 황후다. 독고 씨 아버지인 신(信)은 북주의 대사마였는데, 양견이 앞으로 크게 될 사람임을 알아보고 열네 살짜리 딸을 양견에게 줘 사위를 삼았다. 독고 씨는 결혼 당초 남편에게 첩의 자식을 낳지 않겠다는 맹세를 받았다고 하는데, 어찌나 질투가 심했던지 후궁에게 감시의 눈을 떼지 않았고, 그녀가 쉰 살로 죽을 때까지 후궁에게서는 한 명의 자식도 태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단 한 번 문제가 후궁의 미녀에게 손을 댄 일이 있었는데, 이것을 안 독고 씨는 문제가 조회에 나간 사이 그 미녀를 죽이고 말았다. 화가 치민 문제는 혼자 말을 타고 궁중을 뛰쳐나가 뒤쫓아온 신하들을 보며 “나는 명색이 천자(天子)인데 내가 하고 싶은 일도 할 수 없단 말인가?”라고 외치며 울기까지 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과거 북주(北周)의 선제(宣帝)가 죽고 양견이 나이 어린 정제(靜帝)를 업고 모든 일을 혼자 처리하고 있을 때, 독고 씨는 환관(宦官)을 시켜 남편 양견에게 이렇게 전하도록 했다. “큰일은 이미 기호지세(騎虎之勢)로 되고 말았소. 이제는 내려올 수도 없으니 최선을 다하시오.” 이 말에 힘을 얻은 양견은 결국 정제를 밀어내고 수나라 황제에 올랐다. 에 전해오는 이야기다. 기호지세(騎虎之勢)는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라는 뜻으로, 중도에 그만둘 수 없는 형세를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 속담 ‘벌인춤’도 뜻이 비슷하다. 잘 추든 못 추든 추기를 시작했으니, 추는 데까지 출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달리는 말에서 뛰어내리면 더 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風聲鶴唳 (풍성학려)

    ▶ 한자풀이 風: 바람 풍 聲: 소리 성 鶴: 학 학 唳: 울 려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라는 뜻으로 겁먹고 작은 일에도 매우 놀람을 비유 - 진나라 기록을 담은 역사서 사현재기(謝玄載記)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동진 효무제(孝武帝) 때의 일이다. 전진(前秦)의 3대 임금인 부견이 100만 대군을 이끌고 동진을 공격해왔다. 동진에서는 재상 사안(謝安)이 동생 사석과 조카 사현에게 8만의 군사를 주고 나가 싸우게 했다. 양쪽 군대는 강을 마주 보는 수양(壽陽)에서 대치하고 있었는데, 부견은 동진의 진영이 질서정연하고 병사들이 용감한 것을 보고 휘하의 장군들에게 명령했다. “전군을 약간 후퇴시켰다가 적군이 강 한복판에 이르렀을 때 돌아서서 반격하라.” 그러나 이는 부견의 오산이었다. 일단 후퇴 길에 오른 전진군은 반격은커녕 멈춰 설 수조차 없었다. 후퇴를 개시하고 선봉군이 강을 건너 되돌아오기 시작하자, 후미의 전진군은 선봉군이 싸움에 패해 물러나는 것으로 오인하고 앞다퉈 달아나기 시작했다. 이 와중에 무사히 강을 건넌 동진군은 사정없이 전진군을 들이쳤고, 대혼란에 빠진 전진군은 아군이 적군으로 보이는 혼란 속에서 서로를 짓밟으며 달아나다 물에 빠져 죽는 자가 부지기수였다. 겨우 목숨을 건진 남은 군사들은 갑옷을 벗어 던지고 밤을 새워 달아났는데, 얼마나 겁에 질렸던지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 소리(風聲鶴)’만 들려도 동진의 군사가 뒤쫓아온 줄 알고 도망가기 바빴다고 한다. 풍성학려(風聲鶴)는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라는 뜻으로, 겁을 먹고 아주 작은 일에도 매우 놀라는 것을 비유한다. 풍성학려가 청각적 착각의 두려움이라면, 적을 두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口蜜腹劍 (구밀복검)

    ▶한자풀이 口: 입 구 蜜: 꿀 밀 腹: 배 복 劍: 칼 검 입에는 꿀을 바르고 배 속에는 칼을 품다 친한 척하면서 속으로 나쁜 마음을 품음 - 당나라 현종(玄宗)은 45년 치세의 초기에는 정치를 잘한 인물로 칭송받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양귀비를 총애하며 주색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이임보(李林甫)라는 간신이 있었는데, 환관(宦官)에게 뇌물을 바친 인연으로 왕비에 들러붙어 현종의 환심을 사 재상까지 됐다. 그는 황제의 비위만 맞추면서 절개가 곧은 신하의 충언이나 백성들의 간언(諫言)이 황제의 귀에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 한번은 비리를 탄핵하는 어사(御使)에게 이렇게 말했다. “폐하께서는 명군(名君)이시오. 그러니 우리 신하들이 무슨 말을 아뢸 필요가 있겠소. 저 궁전 앞에 서 있는 말을 보시오. 어사도 저렇게 잠자코 계시오. 만일 쓸데없는 말을 하면 가만두지 않겠소.” 그의 서슬이 퍼러니 설령 직언하려는 선비라 할지라도 황제에게 접근할 엄두조차 낼 수 없었다. 그가 야밤에 서재에서 장고하면 그다음 날은 예외 없이 누군가가 주살(誅殺)됐다. 이처럼 재상 지위 19년 동안 온갖 권세를 휘둘렀으나 현종은 눈치채지 못했다. 안녹산(安祿山)도 그의 술수가 두려워 반란을 일으키지 못했다. 뒤에서는 많은 선비가 그를 욕했다. “임보는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고 억누르는 음험한 사람이다. 사람들이 그를 보고 ‘입에는 꿀이 있고 배에는 칼이 있다(口蜜腹劍)’고 말한다.” 에 나오는 얘기로, 구밀복검(口蜜腹劍)은 겉으로는 친한 척하면서 속으로는 나쁜 마음을 품고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이임보가 죽자 양귀비의 일족인 양국충(楊國忠)이 재상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平地風波 (평지풍파)

    ▶한자풀이 平: 평평할 평 地: 땅 지 風: 바람 풍 波: 물결 파 평평한 땅에 파도가 일다 잘되던 일에 분쟁을 일으킴 - 유우석(劉禹錫)은 당나라 중엽의 대표적 시인이다. 학식이 깊고 글 잘하는 인재를 뽑는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 급제해 화이난 절도사 두우(杜佑)의 막료(정책을 조언하는 참모)가 되었으나 정치 개혁 실패로 변방으로 전직되는 등 중앙과 지방의 관직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등이 있다. 그는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농민의 생활 감정을 노래한 9수 중 첫수에서 이렇게 읊고 있다.구당은 시끄러이 열두 여울인데(懼塘十二灘) 사람들은 길이 예부터 어렵다고 말하네(人言道路古來難) 길게 한하는 사람의 마음은 물과 같지 않아서(長恨人心不如水) 예사로이 평지에 파란을 일으키네(等閑平地起波瀾) 칠언절구(한 구절이 일곱 글자로 된 절구)인 는 당시의 민가(民歌)를 바탕으로 지은 것으로, 유우석이 기주자사(夔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민가에서 흥을 느껴 지은 시다. 구당이란 산은 양쯔강 상·중류에 있는 험하기로 유명한 삼협(三峽)의 하나로, 옛날부터 배로 여행하기가 몹시 어려운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는 세 산골의 어려운 뱃길을 오르내리던 뱃사람들 사이에서 불리던 비속한 뱃노래를 유우석이 점잖은 가사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구당에는 여울을 지나면 다시 여울이 나타나 열두 개의 여울이 줄지어 있어 물소리가 시끄럽다. 그러나 이 빠른 여울보다 더 한이 서린 사람의 마음은 물과 같지 않아서, 평지에 파란을 일으켜 세상사를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물은 바닥이 가파른 곳에서만 여울을 짓지만, 한이 있는 사람은 평지에서도 풍파를 일으켜 인생길을 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敗軍之將 (패군지장)

    ▶ 한자풀이 敗: 질 패 軍: 군사 군 之: 갈 지 將: 장수 장 싸움에서 진 장수를 뜻하며 패한 자는 구차한 변명을 하지 않음 - ) 한고조를 도와 천하 통일의 대업을 이룬 한신이 한창 세력을 넓혀갈 무렵의 일이다. 당시 조나라 군대는 세력이 강해 용장이자 지장인 한신에게도 부담스러운 존재였다. 하지만 천하 통일을 위해 조나라 정복은 필수였기에 한신은 위험을 무릅쓰고 조나라로 가는 통로인 정경을 지나가야 했다. 그곳은 폭이 좁은 길이어서 조나라의 기습을 받으면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한신은 첩자를 통해 조나라의 복병이 없음을 확인했고, 결국 협곡을 신속히 통과해 조나라와 싸워 대승을 거둘 수 있었다. 당시 조나라에서는 이좌거라는 장수가 정경에서 기습할 것을 주장했으나 대장군 진여가 그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기습은 군자가 할 도리가 아니라는 이유에서였다. 결국 진여는 패했고, 이좌거는 한신의 군사에게 사로잡히고 말았다. 이좌거가 뛰어난 명장임을 알고 있던 한신은 군사들에게 그를 사로잡으라고 명했다. 이좌거가 끌려오자 한신이 극진히 대접하며 말했다. “나는 북으로 연나라, 동으로 제나라를 공격하고자 합니다. 좋은 계책을 알려주시오.” 그러자 이좌거가 답했다. “예로부터 ‘패장은 용기를 말할 수 없고(敗軍之將 不可以言勇), 망한 나라의 대부는 국가의 보존을 꾀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어찌 포로가 나라의 계책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자 한신이 다시 말했지요. “그건 그렇지 않소이다. 진여가 당신의 제안을 받아들였다면 지금 당신과 나는 자리를 바꾸어 앉았을 것이오. 사양 말고 계책을 말씀해 주십시오.” 결국 이좌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치인설몽 (癡人說夢)

    ▶한자풀이 癡: 어리석을 치 人: 사람 인 說: 말씀 설 夢: 꿈 몽 바보에게 꿈 이야기를 들려주다 어리석은 사람이 허망한 말을 늘어놓음 - 고사성어는 세월이 흐르면서 원뜻이 바뀌는 경우가 잦다. 치인설몽(癡人說夢)도 그런 사례다. 남송(南宋)의 석혜홍(釋惠洪)이 지은 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당나라 고승인 승가(僧伽)가 양쯔강과 화이허강 유역에 있는 지금의 안후이성 근처를 여행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승가의 행동을 보고 어떤 사람이 이상히 여겨 “당신의 성이 무엇인가?”라고 묻자, 승가가 “성은 하씨다”라고 답했다. 다시 “어느 나라 사람인가?”라고 묻자 승가는 “하국 사람이다”라고 대답했다. 뒤에 승가가 죽은 뒤 당나라의 서도가 이옹(李邕)이 승가를 위해 비문을 썼는데, 승가가 장난삼아 한 대답인 줄 모르고 그의 전기에 ‘대사의 성은 하씨(何氏)이고, 하나라 사람(何國人)이다’라고 썼다. 승가가 농담으로 한 대답을 진실로 받아들이는 어리석음을 범한 것이다. 석혜홍은 이옹의 어리석음에 대해 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이는 곧 이른바 어리석은 사람에게 꿈을 이야기한 것이다(此正所謂對癡人說夢耳). 이옹은 결국 꿈을 참인 줄 믿고 말았으니 참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아닐 수 없다.” 치인설몽(癡人說夢)은 어리석은 사람이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바보가 어떤 말을 하더라도 의미도 없고 아무 소용도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라틴어로 말을 걸면 알아듣기나 하겠어? 완전 치인설몽이지’ 식으로 쓰면 된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바보가 종작없이 지껄인다’는 의미로 주로 사용한다. ‘그의 말은 거의 치인설몽 수준이야’ 식으로 쓴다. 치인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焦眉之急 (초미지급)

    ▶한자풀이 焦: 탈 초 眉: 눈썹 미 之: 갈 지 急: 급할 급 눈썹이 타는 아주 화급한 상태 매우 다급한 일이나 상황을 비유 - 불혜선사(佛慧禪師)는 고승(高僧)으로, 그의 수행은 당대(唐代) 그 어느 고승보다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 선사는 살아 있을 때 사문(沙門: 불문에 들어가서 도를 닦는 사람)으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고 답해줬다. 어느 날 한 사문이 불혜선사에게 물었다. “선사님, 이 세상에서 다급한 상태가 많겠지만 그중 어느 경지가 가장 시급합니까?” 선사는 사문을 지그시 바라보며 답했다. “그것은 눈썹을 태우는 일이다.” 에서 전해지는 이 이야기에서 유래한 초미지급(焦眉之急)은 눈썹에 불이 붙은 상태, 즉 아주 화급한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원문은 화소미모(火燒眉毛)지만 그 말이 소미지급(燒眉之急)으로 되고, 그것이 다시 초미지급(焦眉之急)으로 변했다. 눈에 보이지 않으면 급함을 모르는 경우도 많지만 눈썹이 타면 바로 눈앞에서 일어나는 일이니 누구나 다급함을 알아챈다는 뜻일 듯싶다. 급하거나 위태로움을 나타내는 고사성어는 많다. 누란지세(累卵之勢)는 ‘포개어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험하고 다급한 형세를 비유하며 위여누란(危如累卵)으로도 쓴다. 백척간두(百尺竿頭)는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위태로움이 극도에 달함을 이른다. 초미지액(焦眉之厄)은 ‘눈썹이 타는 재액(災厄: 재앙으로 인한 불운)’이라는 뜻으로, 매우 급하게 닥치는 재앙을 가리킨다. 일촉즉발(一觸卽發)은 ‘한 번 닿으면 곧 터진다’는 뜻으로, 조그만 것도 원인이 돼 일이 크게 벌어질 수 있는 아주 위급하고 절박한 상황을 비유하는 말이다. 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부염기한 (附炎棄寒)

    ▶ 한자풀이附: 붙을 부炎: 불탈 염棄: 버릴 기寒: 찰 한더울 땐 곁에 있다 추울 땐 떠남권세에 빌붙다 권세가 쇠하면 버림  - <송청전(宋淸傳)〉유종원(柳宗元)은 당나라 관리이자 문학가로, 당송팔대가의 한 명으로 꼽힌다. <송청전(宋淸傳)>은 그가 영주 사마(司馬)로 부임했을 때 지은 작품인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송청은 수도 장안에서 좋은 약재를 많이 가지고 있었다. 약재를 가지고 오는 이들은 반드시 송청의 가게를 통해 팔았고, 송청은 그들을 매우 후하게 대했다. 장안의 의사들은 송청의 좋은 약재를 써서 처방약을 만들고 또 쉽게 팔 수 있었기에 모두가 송청을 칭찬했다.송청은 혹 누군가 돈이 없더라도 일단 약을 먼저 줬다. 외상이 쌓여도 약값을 받으러 가지 않았다. 더구나 연말에는 외상 장부를 모두 태워버렸다. 일부 상인은 그를 조롱했지만 많은 사람이 그의 덕을 칭송했다.외상 장부를 태워버린 사람 중에는 나중에 높은 관리가 된 이도 있었다. 많은 녹봉을 받는 그들은 사람을 시켜 송청에게 연이어 선물을 보내니 문지방이 닳을 정도였다. 약값을 못 치르거나 외상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도 송청은 약을 팔아 많은 돈을 벌었다. 송청의 성실함과 신뢰가 세월이 흐르면서 큰 보상으로 돌아온 것이다. 그는 돈을 벌수록 더 친절하게 더 좋은 약재를 팔았다.유종원이 글에 자기 생각을 덧붙였다. “요즘 사람들은 관계를 맺을 때 권세가를 쫓아다니고, 빈곤하고 보잘것없는 친구는 버린다(炎而附 寒而棄). 송청과 같이 사람을 대하는 경우는 정말 적다. 이걸 세속에서 말하길 ‘장사치(간사한 장사꾼)의 사귐’이라고들 한다. 송청은 장사치류의 사람이 아니다.”부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