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自勝者强 (자승자강)
▶ 한자풀이 自: 스스로 자 勝: 이길 승 者: 사람 자 强: 굳셀 강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진정 강하다스스로와의 싸움이 가장 어렵다는 뜻- <도덕경>자신을 알고 만족할 줄 알라는 경구로 채워진 <도덕경> 제33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남을 아는 자는 지혜롭다고 하지만 자기를 아는 자야말로 진정으로 밝은 것이다(知人者智, 自知者明).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다고 하지만 자신을 이기는 자야말로 진정으로 강한 자다(勝人者有力, 自勝者强). 만족할 줄 아는 자는 부유하고 행함을 관철하는 자는 뜻이 있다(知足者富, 强行者有志). 그 자리를 잃지 않는 자라야 오래가고 죽어도 잊혀지지 않는 자라야 오래 산다고 할 것이다(不失其所者久, 死而不亡者壽).”여기서 나오는 자승자강((自勝者强)은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진정으로 강한 사람’이란 뜻으로 자승가강((自勝家强)으로도 쓴다.<도덕경> 제33장은 남을 아는 것보다 자기를 아는 것, 남을 이기는 것보다 자신을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고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사람은 만족하고 실천할 줄 알아야 하고, 죽은 뒤에도 좋은 기억으로 잊혀지지 않는 자가 진정으로 장수하는 자라고 일러준다.공자의 극기복례(克己復禮)는 자신을 이기고(克己) 예로 돌아간다(復禮)는 뜻으로, 유가 사상의 골자를 압축한 말이다. 자신을 이기려면 먼저 자신을 알아야 한다. 손자는 병법에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고 했고, 소크라테스도 “너 자신을 알라”고 했다. 모두 자기를 아는 것(自知)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자신을 극복하는 것(克己)과 자
-
越俎代庖 (월조대포)
▶한자풀이越: 넘을 월 俎: 제기 조 代: 대신할 대 庖: 부엌 포제사를 담당하는 사람이 음식을 만들다직분을 벗어난 주제넘은 참견을 이르는 말 -<장자>태평성대를 누린 요(堯)나라에 허유(許由)라는 덕이 높은 은자가 있었다. 요임금이 허유의 소문을 듣고 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자 했다.“태양이 떴으니 등불은 이제 필요없게 됐소. 부디 나를 대신하여 이 나라를 다스려주시오.”하지만 허유는 임금의 청을 정중히 거절했다.“임금께서 잘 다스리고 계시는데 제가 대신할 필요는 없습니다. 할미새가 제 아무리 양껏 배부르게 먹는다 하더라도 기껏해야 그 작은 배만 채우면 됩니다. 제겐 천하가 아무 쓸모도 없고 흥미도 없습니다. 요리가 서툴다고 제사를 주재하는 사람이 그 직분을 넘어서 부엌일에 뛰어들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폐하의 직무를 제가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설사 대신하더라도 나라가 잘 다스려질 리가 없습니다.”허유는 이렇게 말하고 곧바로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버린 후에 다시는 나오려고 하지 않았다. <장자> 소요유 편에 나오는 이야기다.여기서 유래한 월조대포(越俎代)는 ‘제사를 담당하는 사람이 음식을 만드는 일을 맡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벗어난 주제넘은 참견을 이르는 말이다.요임금과 허유의 이야기는 노자의 사상을 철학으로 완성한 장자 사상의 일면을 잘 나타낸다. 최고 권력은 세상의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는 수단이니 권력을 탐하는 자들이 이를 단박에 거절하기란 쉽지 않다. 허유는 세상에는 다 걸맞은 직분이 있음을 깨우쳐준다.<논어>에도 비슷한 얘기가 나온다. 공자가 종묘에서 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爲淵驅魚 (위연구어)
▶한자풀이爲: 할 위 淵: 못 연 驅: 몰 구 魚: 고기 어물고기를 깊은 못으로 몰아주다자신을 위해 한 일이 되레 해가 됨 - <맹자>위연구어(爲淵驅魚)는 ‘물고기를 깊은 못으로 몰아준다’는 뜻으로, 자기 편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을 되레 다른 사람 쪽으로 몰아줌을 이르는 말이다. 자신을 위해 한 일이 오히려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의미로 쓰이며, <맹자> 이루상 ‘위연구어장‘에 나오는 말에서 유래한다.맹자가 말했다.“천하를 얻는 데는 방법이 있으니, 백성들을 얻으면 곧 천하를 얻게 된다. 백성들을 얻는 데는 방법이 있으니, 백성들의 마음을 얻으면 곧 백성들을 얻게 된다. 백성들의 마음을 얻는 데는 방법이 있으니, 백성들이 원하는 것은 모아 주고 싫어하는 것은 베풀지 않으면 그뿐이다. 백성들이 어진 데로 향하는 것은 물이 아래로 흘러가고, 짐승이 들판으로 달려가는 것과 같다. 그런 까닭에 물고기를 못으로 몰아넣는 것은 수달이요(故爲淵驅魚者 獺也), 참새를 울창한 숲으로 몰아넣는 것은 송골매이며, 은나라 탕(湯)왕과 주나라 무왕(武王)에게 백성을 몰아준 것은 걸왕(桀王)과 주(紂)이다.”위연구어(爲淵驅魚)는 위의 글 ‘고위연구어자 달야’에서 따온 것이다. 참새를 숲으로 몰아준다는 위총구작(爲叢驅雀)도 위연구어와 뜻이 같다. 걸왕과 주는 주지육림에 빠져 결국 백성들을 다른 나라에 넘겨준 인물이다. 자신을 위해 한 일이 남을 위해 한 일이 되었다는 뜻의 속담인 “남의 다리 긁는다”와 “남의 다리에 행전 친다”도 의미가 서로 맞닿는다. 기껏 한 일이 결국 남 좋은 일이 됨을 이르는 말이다. 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狗猛酒酸 (구맹주산)
▶한자풀이狗: 개 구 猛: 사나울 맹 酒: 술 주 酸: 초 산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는 뜻으로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진 신하가 안 모임 - <한비자>송(宋) 나라 때 술 장사꾼이 있었는데, 술을 빚는 재주가 좋고 친절하며 정직하게 장사를 했는데도 술이 잘 팔리지 않았다. 이상하게 여긴 그가 마을 어른 양천을 찾아가 까닭을 묻자, 양천이 되물었다. “자네 집의 개가 사나운가?”술을 파는 자가 “그렇습니다”라고 답하니 양천이 말했다.“어른들이 아이를 시켜 술을 사 오게 하는데, 당신네 개가 사나워 들어갈 수가 없으니, 술이 팔리지 않고 시어가는 것이네.”<한비자> 외저설우에 나오는 얘기다.한비자는 나라의 간신배를 사나운 개에 비유해 아무리 어진 신하가 바른 정책을 군주에게 아뢰어도 조정 내 간신배가 들끓으면 정사(政事)가 제대로 펼쳐지지 않는다고 했다. 구맹주산(狗猛酒酸)은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는 뜻으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진 신하가 모이지 않는다는 의미로 쓰인다.군주의 으뜸 덕목은 신하를 알아보는 눈이다. 기업 책임자의 으뜸 덕목 역시 직원을 알아보는 눈이다. 맞는 자리에 올바른 재료를 쓴다는 뜻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제격의 자리에 놓는 것을 뜻하는 적재적소(適材適所)는 통치자가 갖춰야 할 최고의 자질이다. 간신은 여러 개의 탈을 쓴다. 군주 앞에서는 순한 양처럼 비위를 맞추고 군주 뒤에서는 간악한 속내를 드러낸다. 공자는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미는 교언영색(巧言令色)에는 인(仁)이 드물다”고 했다.유덕자필유언(有德者必有言). 덕망이 높은 사람은 반드시 말도 훌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縣崖撒手 (현애살수)
▶한자풀이 縣: 매달릴 현 崖: 벼랑 애 撒: 놓을 살 手: 손 수낭떠러지에서 손을 놓다는 뜻으로막다른 골목에서 용맹심을 떨침 - 송나라 야부도천의 선시(禪詩)현애살수(縣崖撒手)는 ‘낭떠러지에서 손을 놓다’는 뜻으로, 막다른 골목에서 용맹심(勇猛心)을 떨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최근 정치권에서도 회자된 이 말은 버티지 말고 포기하라는 의미보다는 절체절명의 순간에 기존의 것에 연연하지 말고 더 큰 용기로 새롭게 나아가란 뜻이 강하다. 즉 손을 놓으면 떨어져 모든 것을 잃고 죽을 것이라는 두려움과 집착을 버리라는 것이다. 이는 송나라 선사 야부도천(冶夫道川)의 선시(禪詩)에 나오는 구절이다.나뭇가지 잡음은 기이한 일이기에 부족하다(得樹攀枝未足奇)벼랑 아래에서 손을 놓아야 비로소 장부로다(縣崖撒手丈夫兒)물은 차고 밤도 싸늘하여 고기 찾기 어려우니(水寒夜冷魚難覓)빈 배에 달빛만 가득 싣고 돌아오도다(留得空船載月歸)달빛만 실은 빈 배에서 고요와 평온이 느껴진다. 배는 비었지만 마음은 풍성한 묘한 대비도 그려진다.현애살수는 김구 선생이 거사를 앞둔 윤봉길 의사에게 한 말로도 유명하다. 자기를 버려 나라를 구하려는 구국충심을 높이 평가하고 그 마음을 깊이 위로한 것이다. ‘죽기를 각오하면 산다’는 이순신 장군의 사즉생(死則生)과도 뜻이 닿는다.야부도천은 “대나무 그림자 뜰을 빗질해도 먼지 하나 일지 않고 달빛이 물밑을 뚫고 들어가도 물 위엔 흔적 하나 남지 않네”라는 게송(揭訟, 불교적 교리를 담은 한시의 한 형태)으로도 유명하다.나를 부여잡고 있는 두려움과 공포, 불안을 놓아야 발을 앞으로 내디딜 수 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危若朝露 (위약조로)
▶한자풀이 危: 위태할 위 若: 같을 약 朝: 아침 조 露: 이슬 로위태롭기가 아침 이슬 같다는 뜻으로곧 사라질 수 있는 아주 위급한 상황 -<사기(史記)>중국 전한(前漢) 시대 역사가 사마천이 쓴 <사기> ‘상군열전’에는 이런 내용이 나온다.상앙이 진나라 재상으로 있은 지 10년이 지났을 무렵, 철저히 법에 따른 개혁정치가 시행되자 종실과 귀족 중에 그를 원망하는 사람이 많았다. 어느 날 상앙이 진나라의 현명한 선비 조량(趙良)에게 교류를 청하자, 조량은 “어울리는 자리가 아닌데 차지하는 것을 탐위(貪位)라 한다”며 거절했다. 그러자 상앙은 오랑캐 풍습처럼 아비와 아들이 구별도 없이 살던 나라를 개혁해 남녀를 구별하게 하고 큰 궁궐을 짓고 살게 되지 않았냐며 자신의 진재상 역할과 오고대부의 현명함 중 어느 쪽이 나은지 물었다. 이에 조량이 답했다.“오고대부 백리해(百里奚)는 형(荊) 땅의 비천한 사람이었습니다. 진목공이 그를 데려와 재상을 맡기니, 6, 7년 만에 동쪽으로는 정(鄭)나라를 정벌하고 초(楚)나라의 재난도 구제했습니다. 나라 안에 가르침을 베푸니 먼 곳에서 조공이 오고 제후에게 덕을 베푸니 주변 오랑캐가 복속했지만, 그는 진나라 재상이 되어서도 수레에 앉지 않고 더워도 장막을 펴서 가리지 않았습니다. 그가 죽자 진나라 남녀 모두가 눈물을 흘렸고, 아이들은 노래를 부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금 상군께서는 진나라 재상으로 백성을 위해 일하지 않고 궁궐만 크게 지었으니 공이라 할 수 없습니다. 군께서 외출할 때에는 수레 10여 대와 무장한 병사들이 뒤따릅니다. <서경>에 이르기를 ‘덕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대우탄금 對牛彈琴
▶한자풀이對: 대할 대牛: 소 우彈: 퉁길 탄琴: 거문고 금소에게 거문고를 들려준다는 말로어리석은 사람은 참된 도리도 이해하지 못함-<홍명집(弘明集)>후한 말 불경에 밝은 모융(牟融)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많은 사람이 불경을 배우려고 그를 찾아왔는데, 그는 찾아온 사람이 유학자면 불경을 설명하면서 늘 유학의 경서를 인용했다. 그 이유를 묻자, 모융은 이렇게 대답했다. “당신들은 불경을 읽은 일이 별로 없을 것이오. 그래서 나는 당신들이 잘 아는 유교 경전을 인용하는 것이라오.”그러면서 모융은 송(宋)나라 때 목암(睦庵)이 지은 선집 <조정사원(祖庭事苑)>에 나오는 공명의(公明儀)의 일화를 들려주었다.“옛날 노(魯)나라에 공명의라고 하는 어진 사람이 있었지요. 하루는 애쓰며 일하는 소를 보고 고마움을 느껴 거문고를 켜주었다오. 그런데 소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풀만 뜯고 있었다지요. 그가 가만히 생각하니 이건 소가 듣지 못한 것이 아니라 청각(淸角)이라는 고상한 곡조가 소 귀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구나 싶더랍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모기와 등애의 울음소리, 젖을 먹고 있는 송아지 울음소리를 흉내 냈답니다. 그러자 소는 발굽 소리를 내며 꼬리를 흔들기도 하고, 귀를 세운 채 거문고 소리를 다소곳이 들었답니다. 그 소리가 소의 마음에 맞았기 때문이지요. 공명의의 이 이야기는 바로 내가 당신들에게 유교 경전을 인용해 불경을 설명하는 것과 같은 이치 아니겠소?”중국 양(梁)나라 때의 승려 우(祐)가 편찬한 <홍명집(弘明集)> 이혹론(理惑論)에 나오는 이야기다.여기서 유래한 대우탄금(對牛彈琴)은 ‘소에게 거문고를 들려준다’는 말로, 어리석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多聞闕疑 (다문궐의)
▶한자풀이多: 많을 다 聞: 들을 문 闕: 빼놓을 궐 疑: 의심할 의많이 듣되 의심나는 것은 제쳐두다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을 이르는 말 - <논어>다문궐의(多聞闕疑)는 많이 듣되 그중에 의심나는 것은 제쳐둔다는 뜻이다. 다양한 의견을 듣고 그중 의심스럽지 않을 것에 대해 조심스레 말하면 잘못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로, 주로 공직자의 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출처는 <논어> 위정(爲政) 편이다.제자 자장(子張)이 벼슬을 구하는 방법을 묻자 공자가 답했다. “많이 듣고서 그중에 의심스러운 것을 빼놓고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말한다면 허물이 적어질 것이다. 그리고 많이 보고서 그중에 위태로운 것을 빼놓고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행한다면 후회가 적어질 것이다. 말하는 데 허물이 적고 행하는 데 후회가 적으면 녹봉과 벼슬자리는 바로 그 가운데 있을 것이다(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다문궐의(多聞闕疑)와 다견궐태(多見闕殆)는 공자가 강조한 나랏일을 맡은 자들의 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이면서 모든 사람에게 두루 적용되는 올바른 몸가짐이기도 하다. 다양한 관점과 입장에서 이야기를 듣거나 보고 그중 확실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하고 행동을 신중히 하면 실수와 과오를 줄일 수 있다. 말과 행동이 신중하면 잘못이나 실수는 그만큼 줄어든다. 공자는 경청하고 의심하며 신중히 판단하는 습관을 몸에 배게 하는 것이 공직자의 기본자세라고 본 것이다.다문궐의는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면서 확증편향에 쉽게 빠지는 현대인에게 던지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