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伐齊爲名 (벌제위명)
▶한자풀이
伐: 칠 벌
齊: 엄숙할 제
爲: 할 위
名: 이름 명


하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딴짓함
명분은 그럴듯해도 실속이 없음도 비유
- <사기(史記)>

전국시대 연나라의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공격했다. 지략이 뛰어난 제나라 장군 전단(田單)이 이간계를 썼다.

“악의가 제나라를 정벌한 후에는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

연왕(燕王)이 전단의 반간(反間, 이간질)에 넘어가 제나라 정벌을 멈추게 하고 악의를 연나라로 불러들였다. 군주가 귀가 얇고 의심이 많으면 이간질에 쉽게 넘어가는 법이다. 전단은 악의에게도 “연왕이 당신을 의심하고 있다”고 이간질했다. 악의가 물러난 뒤에는 또 다른 계책으로 연나라 군사들을 혼란에 빠뜨려 빼앗긴 성들을 모두 회복했다. <사기> 열전에 나오는 이야기다.

여기서 유래한 벌제위명(伐齊爲名)은 겉으로는 무언가를 하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딴생각을 품거나 딴짓을 하는 것을 이른다. 제나라를 정벌하면서(伐齊) 명분만 있을 뿐(爲名), 사실은 다른 생각을 품고 있다는 뜻이다. 명분은 그럴듯하게 내세우나 실속이 없음을 비유하기도 한다. 명(名)은 일을 도모할 때 앞세우는 구실이나 이유다. 명분(名分)의 줄임말인 셈이다.

겉과 속이 다르다는 표리부동(表裏不同), 양 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양두구육(羊頭狗肉),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등을 돌린다는 면종복배(面從腹背),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는 구밀복검(口蜜腹劍), 겉으로는 명령을 받드는 체하면서 물러가서는 배반한다는 양봉음위(陽奉陰違)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뜻이 비슷하다. 안팎이 같다는 표리일체(表裏一體)와는 뜻이 반대다.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공자는 말을 번지르르하게 하고 얼굴빛은 꾸미는 자는 인(仁)이 드물다고 했다. 겉과 안은 결이 비슷한 게 좋다. 포장은 화려한데 속이 빈약하면 경박스럽고, 속은 알찬데 포장이 초라하면 투박해 보인다. 포장과 속을 두루 갖춰야 진짜 명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