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亢龍有悔 (항룡유회)
▶한자풀이亢: 오를 항 龍: 용 룡 有: 있을 유 悔: 뉘우칠 회하늘의 용이 내려갈 길밖에 없음을 후회한다극도에 달한 사람은 행동을 삼가해야 함을 비유-<주역>항룡유회양효로만 이뤄진 <주역>의 건괘는 용이 승천하는 기세로 왕성한 기운을 표현하고 있다. 천(天)이 하늘의 형체를 그린 글자라면 생명력을 상징하는 건(乾)은 하늘의 성격과 본질적 기능을 의미한다. <주역>은 이 운세를 단계별로 용에 비유한다.잠룡(潛龍)은 연못 깊숙이 잠복해 있는 용으로,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으므로 덕을 쌓으며 시기를 기다려야 한다. 현룡(現龍)은 땅 위로 올라와 자신을 드러내어 덕을 만천하에 펴서 군주의 신임을 받는 용이다. 비룡(飛龍)은 하늘을 힘차게 나는 용으로, 제왕의 지위에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절정의 경지에 이른 용이 항룡(亢龍)이다. 항룡은 하늘 끝까지 다다른 용으로, 곧 ‘승천한 용’인 셈이다. 그 기상이야 한없이 뻗치지만 하늘에 닿았으니 떨어질 수밖에 없는 용이다.공자는 “항룡은 너무 높이 올라갔기 때문에 존귀하나 지위가 없고, 너무 높아 교만하기 때문에 자칫 민심을 잃기 쉽고, 남을 무시하므로 보필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따라서 항룡의 지위에 오르면 후회하기 십상이므로, 이것이 바로 항룡유회(亢龍有悔)라는 것이다. 만족을 모르면 일을 망친다는 말이다. 진(秦)나라 때 정치가 이사(李斯)는 시황제를 섬겨 재상이 되었다. 축하연을 베푼 자리에서 조정의 문무백관이 모두 자신에게 축사를 올리는 것을 본 이사가 탄식했다.“나는 일찍이 스승 순자(荀子)로부터 매사에 성(盛)함을 금하라는 가르침을 받았다. 달도 차면 기울듯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覆雨飜雲 (복우번운)
▶한자풀이覆: 뒤집힐 복 雨: 비 우 飜: 뒤집을 번 雲: 구름 운집으면 비가 내리고 엎으면 구름이 일어난다잘 변하는 변덕스러운 세상인심을 비유하는 말- <두보의 시 '빈교행(貧交行)'>두보(杜甫)는 당나라 중기의 관리이자 문인이다. 중국 역사상 매우 위대한 시인으로, 이백과 동시대 인물이다. 시성(詩聖) 두보가 시선(詩仙) 이백보다 열한 살 아래다. 두보는 이백의 재능에 크게 탄복했고, 두 사람은 하남성과 산둥성 일대를 유람하며 친구가 되었다. 두보와 이백은 둘 다 상당히 유력한 가문의 후손이었다.두보의 ‘빈교행(貧交行)’은 변덕스러운 세태를 비유한 시다.손 뒤집으면 구름 일고 손 엎으면 비 내리니(飜手作雲覆手雨)분분하고 경박한 이들을 어찌 다 헤아리리오(紛紛輕薄何須數)그대 보지 못했는가, 관중과 포숙아의 가난했을 때의 사귐을(君不見管鮑貧時交)지금 사람들은 이 도리를 흙처럼 버리고 만다네(此道今人棄如土)두보는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며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염량세태(炎涼世態)를 통감하며 세상인심이 손바닥 뒤집듯 쉽게 반복되는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다. 가난할 때의 본받을 만한 사귐으로 관중과 포숙아를 들면서, 세상 물정에 따라 손바닥 뒤집듯 태도를 바꾸고 올바른 우정의 도리를 흙 털어버리듯 무시한다고 통탄한다. 여기서 유래한 복우번운(覆雨飜雲)은 ‘손을 뒤집으면 비가 내리고 엎으면 구름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가볍고 변덕스러운 세상인심을 비유하는 말이다. 번운복우(翻雲覆雨)로도 쓴다.대인의 우정은 묵직하지만 소인의 우정은 솜털처럼 가볍다. 작은 이익에도 왼쪽으로 가던 발길을 오른쪽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兩敗俱傷 (양패구상)
▶한자풀이兩: 두 양 敗: 패할 패 俱: 함께 구 傷: 다칠 상양측이 싸워 둘 다 상처를 입다서로 손해만 주는 무의미한 다툼-<전국책>춘추전국시대 때 제(齊)나라가 위(魏)나라를 공격하려고 했다. 그러자 제나라 학자 순우곤이 왕을 찾아가 말했다.“옛날에 천하에서 가장 빠른 사냥개인 한자로(韓子盧)와 천하에 가장 교활한 토끼인 동곽준(東郭逡)이 있었습니다. 한자로가 동곽준을 잡으려고 산을 세 바퀴나 돌고 다섯 번이나 오르내렸습니다. 결국 둘 다 지쳐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고, 그 광경을 보던 농부가 힘들이지 않고 죽은 개와 토끼를 주워갔다고 합니다. 지금 제나라와 위나라는 이미 서로 오랫동안 맞붙어서 병사들은 모두 지쳐 있고 백성들의 생활은 피폐해져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위나라를 공격하신다면, 강한 진(秦)나라나 큰 초(楚)나라가 그 틈을 타서 마치 그 농부와 같은 공을 얻게 될까 봐 두렵습니다.”순우곤의 말을 들은 제나라 왕은 일리가 있는 생각이라 여겨 공격하려던 계획을 멈추고 병사들을 휴식시키도록 명했다. <전국책> 제책 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여기에서 유래한 양패구상(兩敗俱傷)은 ‘양쪽이 모두 패해 상처를 입는다’는 뜻으로, 서로 손해만 주는 의미 없는 다툼을 이르는 말이다.두 세력이 싸워 양쪽 모두 손해만 보고 엉뚱한 제삼자가 이익을 거저 챙긴다는 어부지리(漁夫之利), 상대와 함께 망하거나 죽는다는 뜻의 동귀어진(同歸於盡)과 뜻이 같다. 어부지리는 어옹지리(漁翁之利), 어인지공(漁人之功)으로도 쓴다. 도요새와 조개가 서로 다투다가 어부에게 둘 다 잡혔다는 방휼지쟁(蚌鷸之爭), 방휼상쟁(蚌鷸相爭)도 의미가 같다. 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知魚之樂 (지어지락)
▶한자풀이知: 알 지 魚: 물고기 어 之: 어조사 지 樂: 즐거울 락물고기의 즐거움을 안다는 뜻으로융통성 있는 유연한 사고를 이르는 말 - <장자>춘추전국시대 사상가인 장자는 도가(道家) 사상의 대가다. 도가는 노자-장자-열자로 이어지며 스스로를 비워서 넓게 품으라는 게 골자다. 높이 쌓아서 하늘의 뜻(성현의 뜻)에 닿으라는 유가(儒家)와 사유의 방향이 다르다.당대 변론가였던 혜자(惠子)는 장자의 친한 벗이었는데, 혜자가 죽자 장자는 통곡을 하면서도 <장자> 뒤쪽에는 그를 비판하는 글을 적었다. 그 화려한 언변을 세상을 현혹하고 이리저리 줄을 긋는 데 썼다는 것이다. 도가는 선을 그어 피아를 구별하고, 군자와 소인을 가르고, 높고 낮음을 따지는 것을 싫어한다.<장자> 추수 편에는 장자와 혜자가 함께 호수 다리 위를 거닐며 나누는 대화가 나온다. 장자가 호수를 노리는 물고기를 보며 말한다. “작은 물고기들이 물속에서 얼마나 유유히 노니는지요. 이것이 물고기의 즐거움이겠지요.” 이에 혜자가 말한다. “그대가 물고기가 아닌데 물고기가 즐거운지 어떻게 안단 말이오(子非魚 安知魚之樂).” 이에 장자가 답한다. “나는 그대가 아니니 그대를 이해할 수 없지요. 그대 또한 물고기가 아니니 본래 물고기를 이해할 수 없겠지요….” 혜자가 장자의 말을 이어받는다. “나는 그대가 아니니 그대를 이해할 수 없지요. 그대 또한 물고기가 아니니 본래 물고기를 이해할 수 없겠지요.”이에 장자가 다시 말을 이어갔다. “우리 대화의 맨 처음으로 돌아가 봅시다. 그대는 내게 어떻게 물고기의 즐거움을 아느냐 묻지 않았소. 그 말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同工異曲 (동공이곡)
▶한자풀이同: 같을 동 工: 장인 공 異: 다를 이 曲: 굽을 곡서로 재주는 같으나 취향이 다름기교는 같아도 표현 형식과 내용은 다름 -<진학해(進學解)>동공이곡한유(韓愈)는 당나라를 대표하는 문장가이자 정치가다. 당송 8대가의 한 사람으로 글을 다 쓰고 마지막에 다듬기 작업을 뜻하는 퇴고(推敲)도 한유와 연관된 고사다. 당나라 시인 가도가 시를 지을 때 밀 퇴(推)와 두드릴 고(敲) 사이에서 망설이다가 한유를 만나 그의 조언을 따라 고(敲)로 결정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원래 시는 “스님이 달빛 아래 문을 밀다”였는데 “스님이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리다”로 바뀐 것이다.한유가 지은 <진학해(進學解)>에 “공부는 부지런함으로 정교해지고 노는 것 때문에 망가진다. 행동은 생각에서 이루어지고 무조건 남을 따라 하다가 망친다”는 유명한 문구가 나온다. 그는 “평범한 길을 따라가야 한다는 일이 옛 책이나 엿보며 그 내용을 도둑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살아가려는 창의적 생각이 부족함을 꾸짖는 말이다.<진학해>에는 한유가 학생과 문답하는 내용이 나온다. 학생이 스승 한유의 학문을 높이 세우는 말이다.“스승님은 위로는 순(舜) 임금과 우(禹) 임금의 문장, 그리고 시경(詩經)의 바르고 화려함, 아래로는 장자(莊子)와 굴원(屈原),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와 더불어 工(공)을 같이하고 曲(곡)을 달리한다”고 말했다. 한유는 문체만 다를 뿐 내용에서는 옛날 위대한 문장의 글과 조금도 다를 것이 없다는 말이다.동공이곡(同工異曲)은 서로 재주는 같으나 취향이 다르다는 뜻으로, 기교는 같아도 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개권유익 (開卷有益)
▶한자풀이開: 열 개 卷: 책 권 有: 있을 유 益: 더할 익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뜻으로독서를 권장하는 말로 쓰임 -<승수연담록(繩水燕談錄)>송(宋)나라 태종은 독서를 무척 좋아했는데, 특히 역사책 읽는 것을 즐겼다. 쉽사리 다 읽어낼 것 같지 않은 방대한 분량의 서적도 전혀 개의치 않았다. 태종은 학자 이방(李昉) 등에게 사서(辭書) 편찬을 명했고, 무려 7년의 시간을 들여 모두 1000여 권으로 된 방대한 백과사전이 만들어졌다. 태종 태평 연간에 편찬되어 그 연호를 따서 ‘태평총류(太平總類)’라고 이름 지었다.태종은 크게 기뻐하며 매일을 하루같이 탐독했다. 후에 책 이름을 <태평어람(太平御覽)>으로 고치고, 스스로 매일 세 권씩 읽도록 규칙을 정했다. 정무에 힘쓰다가 계획대로 읽지 못했을 때는 틈틈이 이를 보충했다. 이를 본 측근의 신하가 건강을 염려하자 태종이 말했다.“책을 펼치면 이로움이 있다(開卷有益). 나는 조금도 피로하지 않다.”송나라 학자 왕벽지의 <승수연담록>에 나오는 고사다.개권유익(開卷有益)은 말 그대로 ‘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뜻으로, 독서를 권장하는 말로 쓰인다.독서삼매(讀書三昧)는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것을 뜻하며, 위편삼절(韋編三絶)은 옛날에 공자가 주역을 즐겨 열심히 읽은 나머지 책을 맨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책을 정독함을 일컫는다. 삼여지공(三餘之功)은 독서하기에 좋은 겨울, 밤, 비 오는 날을 가리킨다. 한우충동(汗牛充棟)은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쌓으면 들보가 가득 찬다는 뜻으로 장서가 아주 많음을 이르는 말이다.박이정(博而精)은 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狼狽不堪 (낭패불감)
▶한자풀이狼: 이리 랑(낭) 狽: 이리 패 不: 아니 불 堪: 견딜 감이러기도 저러기도 어려운 상황돌파구가 없는 난감한 처지를 이름 -<문선(文選)>낭패불감낭(狼)과 패(狽)는 모두 이리의 일종으로, 낭은 앞다리가 길고 뒷다리가 짧으며 패는 그와 반대다. 그 두 짐승이 같이 나란히 걷다가 서로 사이가 벌어지면 균형을 잃고 넘어지게 되므로 당황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데, 여기서 유래한 말이 낭패(狼狽)다. 낭패에 처한다는 말은 상황 처리가 난감하다는 뜻이다.촉이 멸망하자 진무제 사마염이 촉의 관리였던 이밀을 임명하려 했지만, 그는 번번이 사양했다. 이밀은 황제의 거듭된 요청을 끝내 사양할 방법이 없자 자신의 처지를 글로 써서 사마염에게 올렸다.“저는 태어난 지 6개월 만에 부친을 여의고, 네 살 때에는 외삼촌의 권유로 어머니가 개가를 했습니다. 할머니께서는 저를 불쌍히 여겨 직접 키우셨습니다. 연로하신 할머니가 홀로 계시니 누가 할머니의 여생을 돌봐드리겠습니까. 하지만 제가 관직을 받지 않으면 이 또한 폐하의 뜻을 어기는 것이 되오니 저의 처지는 정말 낭패(狼狽)스럽습니다.” 사마염은 그의 간절한 마음을 헤아려 상소를 받아들였다.낭패불감(狼狽不堪)은 <문선(文選)>에 실린 이밀의 ‘진정표(陳情表)’에 나오는 표현으로, 어떤 상황에서 이러기도 어렵고 저러기도 어려운 난감한 처지에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앞으로 나갈 수도 없고 뒤로 물러설 수도 없는 절박함을 뜻하는 진퇴양난(進退兩難),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한 채 홀로 외로이 서 있음을 뜻하는 고립무원(孤立無援)도 뜻이 같다.낭패위간(狼狽爲奸)은 ‘낭과 패가 간사한 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亢龍有悔 (항룡유회)
▶한자풀이亢: 오를 항 龍: 용 룡 有: 있을 유 悔: 후회할 회하늘에 오른 용은 후회할 때가 있다높이 오른 자가 겸손하지 못하면 패망함- <항룡유회(亢龍有悔)>항룡유회(亢龍有悔)는 ‘하늘 끝까지 올라가 내려올 줄 모르는 용은 후회할 때가 있다’는 뜻으로, 극히 존귀한 지위에 올라간 자가 겸손하지 못하면 반드시 패가망신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적당한 곳에서 만족하지 않고 무작정 밀고 나가다가는 도리어 큰 실패를 가져온다는 것을 비유한다.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인 <주역>에는 용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잠룡(潛龍)은 연못이나 늪에 숨어 아직 승천하지 않은 용을 가리키며 높은 자리를 피해 낮은 곳에 있는 사람이나 출세하기 좋은 기회가 올 때까지 몸을 낮추며 기다리는 영웅 등을 뜻한다. 현룡(見龍)은 이제 막 세상 밖으로 나와 능력을 발휘해 비상하려는 용(사람)을 이른다. 비룡(飛龍)은 뜻을 품고 하늘로 날아올라 치솟는 용을 말하며, 항룡(亢龍)은 더 이상 오를 곳이 없어 내려올 것을 걱정하는, 하늘 끝까지 날아오른 용을 뜻한다. 잠룡은 우리나라에서도 대선 때마다 단골로 등장하는 말이다.항룡유회(亢龍有悔)는 더 이상 전진하지 말고 겸손하고 자중하라는 말이다. 오를 대로 올랐으니 만족할 줄 알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후회할 일이 생긴다는 말이다. <주역>에는 잠룡물용(潛龍勿用)이라는 말도 있는데, 물속 깊이 있는 용이니 꼼짝 말고 가만히 있으라는 뜻이다. 주역은 모든 일에 때(時)를 중시한다.높은 자리에 있으면서 겸손하기란 쉽지 않다. 권력이든 명예든 내려오는 길에서 탈이 나는 이유이기도 하다. 토머스 머튼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