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吹毛覓疵 (취모멱자)

    ▶한자풀이吹: 불 취  毛: 털 모  覓: 찾을 멱  疵: 흠 자남의 약점을 악착같이 찾아내려는야박하고 가혹한 행동을 이르는 말  - <한비자>다산 정약용은 “곱게 보면 꽃이 아닌 풀이 없고 밉게 보면 잡초가 아닌 풀이 없다”고 말했다. 털어서 먼지 안 나는 옷은 없다. 남의 눈 속 티끌은 들보만큼 커 보이고, 자신의 들보만 한 흠집은 티끌처럼 보이는 게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다. 인지상정은 사람이면 누구나 갖는 보통의 정서나 감정을 가리키는 말이다.취모멱자(吹毛覓疵)는 ‘털을 입으로 불어가며 털 속에 있는 작은 흉터를 찾아낸다’는 뜻으로, 남의 약점을 악착같이 들춰내려는 야박하고 가혹한 행동을 이르는 말이다. <한비자(韓非子)> 대체편(大體篇)에 나오는 “털을 불어 작은 흉터를 찾는다(吹毛而求小疵)”에서 비롯했다. 취모구자(吹毛求疵)라고도 쓴다. 구(求)보다는 멱(覓)의 뜻이 더 강하다. 취(吹)에는 분다는 뜻과 부추긴다는 뜻이 함께 있다. 취모멱자는 “털어서 먼지 안 날 사람이 어디 있느냐”는 우리말 속담과 뜻이 서로 닿는다.중국인들은 말도 안 되는 모함을 하는 경우 “달걀에서 뼈다귀를 찾는다”는 말을 흔히 쓴다.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춰내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세상의 이치는 단순하다. 내게서 나간 것이 돌고 돌아 내게로 돌아온다. 내가 뱉은 험담은 돌고 돌아 내게로 다시 돌아오고, 내가 한 덕담 역시 돌고 돌아 내게로 돌아온다. “남을 대할 때는 봄바람처럼 따뜻하게 대하고, 자신을 돌아볼 때는 가을 서리처럼 냉정히 돌아보라”는 말이 있지만 실상은 정반대인 게 대다수의 처세다.혀는 뼈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心腹之患 (심복지환)

    ▶한자풀이 心: 마음 심  腹: 배 복  之: 갈 지  患: 근심 환'가슴이나 배에 생긴 병'이라는 뜻으로 없애기 어려운 근심이나 병폐를 비유 - <좌시전> 등춘추시대 오(吳)나라 왕 합려(闔閭)는 월(越)나라 왕 구천(勾踐)과 싸우다 상처를 입어 죽었다. 합려의 아들 부차(夫差)는 군사력을 키워 월나라를 정벌함으로써 아버지의 원한을 갚았다. ‘장작 위에 누워서 쓰디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복수를 하거나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딘다는 와신상담(臥薪嘗膽)이 유래한 대목이기도 하다.부차가 제(齊)나라를 공격하려 할 때, 구천이 신하들을 이끌고 와서 부차와 대신들에게 재물을 바치자 오나라 대신들이 모두 기뻐했다. 그러나 오자서는 월나라의 그러한 행동이 오나라의 경계심을 늦추게 하려는 속셈임을 간파했다. 오자서가 부차에게 간언했다.“제나라는 우리에게 쓸모없는 자갈밭과 마찬가지이니 공격하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나 월나라는 우리에게 가슴이나 배에 생긴 질병과 같은 존재입니다(越在我 心腹之疾也). 월나라가 지금은 겉으로 복종하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우리나라를 집어삼킬 계책을 도모하고 있을 것입니다. 왕께서 빨리 월나라를 멸하여 후환을 없애지 않고, 도리어 제나라를 공격하려는 것은 참으로 지혜로운 일이 아닙니다.”그러나 부차는 오자서의 간언을 듣지 않았고, 결국 오나라는 월나라에 멸망당했다.이 고사는 <좌씨전>에 실려 있다. 또 <후한서>에는 “나라 밖에 왜구나 도적이 있는 것은 사지에 든 병과 같지만, 나라 안 정치가 잘 다스려지지 않는 것은 가슴이나 배에 생긴 병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松茂柏悅 (송무백열)

    ▶한자풀이松: 소나무 송  茂: 무성할 무  柏: 측백나무·잣나무 백  悅: 기쁠 열소나무의 무성함을 측백나무가 기뻐함벗이 잘되는 것을 즐거워함을 이르는 말-  <탄서부(歎逝賦)>“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혜초가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松茂柏悅 蕙焚蘭悲).”삼국을 통일한 진나라의 육기(陸機)가 지은 <탄서부(歎逝賦)>에 나오는 구절이다. 백(柏)을 잣나무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원래는 측백나무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뒤에 잣나무와 혼동되면서 측백나무보다 잣나무로 쓰는 경우가 많다. 혜(蕙)는 난초의 한 종류다.소나무와 잣나무는 겨울이 되어도 푸른 빛을 잃지 않아 예부터 선비의 꼿꼿한 지조와 기상의 상징으로 함께 어울러 쓰였다. 송백지조(松柏之操, 송백의 푸른 빛처럼 변하지 않는 지조), 송백지무(松柏之茂, 언제나 푸른 송백처럼 오래도록 영화를 누림) 등이 그 예다. 조선 후기 서화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는 날씨가 추워진 후에도 푸름을 잃지 않는 소나무의 지조와 기상을 그린 것이다. 또한 소나무와 잣나무는 사시사철 푸르면서도 모습 또한 비슷하게 생겨 흔히 가까운 벗을 일컫는 데도 사용한다.송무백열(松茂柏悅)은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 벗이 잘되는 것을 함께 즐거워함을 이르는 말이다. ‘혜초가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蕙焚蘭悲)’는 구절과 자주 함께 쓰인다.“울 때는 함께 울고 웃을 때는 혼자 웃는다”는 말이 있다. 남의 기쁨을 나의 즐거움으로 받아들이는 게 무척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타인의 잘됨을 기뻐하는 것은 사람됨의 근본이자 바람직한 인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異路同歸 (이로동귀)

    ▶ 한자풀이 異: 다를 이    路: 길 로    同: 같을 동    歸: 돌아갈 귀길은 다르지만 돌아가는 곳은 같다방법과 과정은 달라도 지향점은 같음 - <회남자(淮南子)><회남자>는 전한 시대 유안(劉安)이 전국의 빈객과 방술가를 모아서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 <여씨춘추>와 함께 제자백가 중 잡가(雜家)의 대표작이다. 잡가는 춘추전국시대 제가(諸家)의 설(說)을 종합해 만든 학설이나 그 학설을 따르던 학파를 이른다. <회남자> 본경훈 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세상이 어지러우니 도(道)를 품고 덕(德)을 지니고 무궁한 지혜를 가지고도 입을 닫고 말을 참다 죽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말을 함부로 하지 않으려는 그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도가 아니며 문자로 설명할 수 있는 명(名)은 명이 아니다. 죽간과 비단에 쓰이고 금석(金石)에 새겨져 후대인에게 전해지는 것들은 모두 완전한 것이 아니다. 오제삼왕(五帝三王)의 일화는 모두 다르나 중요한 뜻은 같고, 길은 서로 다르나 귀결점은 모두 한 곳이다(異路同歸). 근세에 학문을 배우는 사람들은 혼연일체의 도와 집약적이고 정묘한 덕을 모르고서 지나간 자취만 가지고 한자리에 모여 앉아 이야기하고 북을 두드리고 노래하며 찬양한다. 스스로 박학다식하다고 칭하지만 어리석음을 면할 수 없다. <시경>에 이르기를 ‘감히 맨손으로 범을 잡지 못하고 감히 도보로 황하(黃河)를 건너지 못하네. 세상 사람들은 하나만 알고 그 다른 일은 알지 못하네’라고 하였으니, 바로 이 박학하다 자칭하는 무리를 이르는 말이다.‘삼황오제(三皇五帝)’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先甲後甲 (선갑후갑)

    ▶ 한자풀이先: 먼저 선    甲: 갑옷 갑    後: 뒤 후    甲: 갑옷 갑법 제정을 신중히 검토한다는 뜻으로일 처리에 사려가 깊고 추구함이 넓음 -<주역>갑(甲)은 법령을 새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그러니 선갑후갑(先甲後甲)은 법 제정의 전후를 이른다. 이는 선갑삼일(先甲三一) 후갑삼일(後甲三一)을 줄인 것으로, 새로운 법령을 제정하기에 앞서 3일 동안 신중하게 생각하고 만든 후에도 3일 동안 다시 검토한다는 뜻이다. 일을 처리하는 데 사려가 깊고 추구함이 넓음을 이르는 말이다. ’선경후경(先庚後庚)‘으로도 쓰며, 원전은 <주역>이다.<성종실록>에도 사헌부 대사헌 이세좌 등이 왕에게 상소하는 내용이 전해온다.“<주역>의 고괘에 이르기를 ‘선갑삼일 후갑삼일’이라 하였고 손괘의 구오에 이르기를 ‘선경삼일(先庚三日) 후경삼일(後庚三日)’이라고 하였으니, 성인이 정교를 제작할 적에 그 선후를 잘 생각하여 폐단을 구제하고 행할 만한 도가 되면 명령을 발하여 시행하고, 그 변경하는 것을 잘 헤아려서 뒤에 이롭고 오래 행할 만한 방법으로 삼았으니 지극하다고 하겠습니다. 만약 한 사람의 말로써 오늘에 한 가지 법을 세웠다가 한 사람의 말로써 내일 한 가지 법을 허물어뜨리면 성인이 말씀하신 ‘선갑후갑 선경후경’의 뜻이 아닙니다.”법은 나라를 세우는 기둥이다. 기둥이 곧고 단단해야 나라가 바로 선다. 법을 만드는 것은 생선을 굽는 것과 같다고 했다. 지나치게 뒤집으면 살점이 모두 떨어져나가고 가시만 남는다. 신중하게 제정하고 제정된 법은 쉬이 바꿔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이에 비해 조령모개(朝令暮改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免而無恥 (면이무치)

    ▶한자풀이免: 면할 면  而: 어조사 이  無: 없을 무  恥: 부끄러울 치법을 어기거나 잘못을 저지르고도부끄러워하거나 반성하지 않음            -<논어><논어> 위정편(爲政篇)은 주로 통치자의 덕목을 적고 있는데, 여기에 공자의 이런 말이 나온다.“법제로 다스리고 형벌로 질서를 유지하려 한다면 백성들이 형벌을 면하는 것을 수치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덕으로 다스리고 예로 질서를 유지한다면 잘못을 수치로 알고 바르게 될 것이다(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이는 법치(法治)보다 덕치(德治)와 예교(禮敎)를 내세우는 유가(儒家)의 통치 원리를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다. 한비자의 주장처럼 법을 엄하게 시행하면 나라의 질서는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법이나 형벌이 지나치게 엄하면 백성들은 자신의 잘못을 수치로 여기기보다 형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 들 것이다. 중국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이 가혹한 형벌로 질서를 잡은 것이 대표적 예다. 그러나 법보다 덕으로 인도하고 윗사람 스스로가 모범을 보인다면 백성들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 즉시 부끄러움을 느껴 고치려 할 것이라는 뜻이다. 참고로 정나라 재상 자산은 몸소 모범을 보이며 상하간 간극을 줄이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정책으로 5년 만에 나라 질서를 잡았고, 공자는 노나라에 봉직할 때 덕으로 다스려 3개월 만에 질서를 되찾았다고 한다. 도불습유(道不拾遺)는 길에 물건이 떨어져 있어도 주워 가지 않을 정도로 나라를 잘 다스리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면이무치(免而無恥)는 법을 어기거나 잘못을 저지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以暴易暴 (이포역포)

    ▶  한자풀이以: 써 이  暴: 사나울 포  易: 바꿀 역  暴: 사나울 포폭력을 폭력으로 다스리다힘에 의지하는 정치를 이름     -<사기(史記)>이포역포(以暴易暴)는 ‘폭력으로 폭력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나라를 힘에 의지해 통치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이와 관련한 고사가 <사기> 백이숙제열전 편에 나온다.백이와 숙제는 고죽국(孤竹國)의 왕자였는데, 왕은 아우 숙제로 하여금 자신의 뒤를 잇게 했다. 그러나 왕이 죽자 숙제는 형 백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백이는 아버지의 명을 따라야 한다고 나라를 떠났고, 숙제 또한 그 뒤를 따라갔다. 이때 백이와 숙제는 서백(西伯) 창(昌)이 노인을 잘 봉양한다는 소문을 듣고 그를 찾아가 의지하고자 했지만 그는 이미 죽어 문왕(文王)에 추존되었고, 그의 아들 무왕(武王)이 아버지의 위패를 수레에 싣고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정벌하고자 했다. 백이와 숙제가 무왕의 말고삐를 잡고 간(諫)했다.“부친의 장례도 치르지 않고 바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효(孝)라 할 수 있는가. 신하된 자로서 군주를 시해하려는 것을 인(仁)이라고 할 수 있는가.”무왕의 호위 무사들이 백이와 숙제를 죽이려 했으나 왕은 이들을 의인이라고 하며 돌려보내게 했다.무왕이 은을 평정해 천하가 주(周) 왕실을 종주로 섬겼으나, 백이와 숙제는 그 백성이 되는 것을 치욕으로 여겼다. 지조를 지켜 주나라의 양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로 배를 채웠다. 그들은 굶주려 죽기 전에 이런 노래를 지었다.“저 서산에 올라 산중의 고비나 꺾자구나. 포악한 것으로 포악한 것을 다스렸으니(以暴易暴), 그 잘못을 알지 못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危邦不入 (위방불입)

    ▶한자풀이危: 위태할 위    邦: 나라 방    不: 아니 불    入: 들 입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군자의 올바른 몸가짐을 이르는 말- <논어>공자는 “예(禮)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행하지도 말라”고 했다. <논어> 태백 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은 그 뜻을 오롯이 담고 있다.“도(道)를 독실히 믿으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죽음으로써 지키면서 도를 잘 행해야 한다.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고,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살지 않으며, 천하에 도가 있으면 세상에 나와 드러내어 벼슬하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숨어야 한다.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가난하고 미천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요,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부유하고 귀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다(篤信好學 守死善道 危邦不入 亂邦不居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군자라면 마땅히 지녀야 할 마음가짐과 처신을 언급한 대목이다. 공자의 말에 따르면 군자는 위태롭고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기강이 문란하고 본받을 의리가 없기 때문에 벼슬을 하지도, 머물지도 않아야 한다. 바른 도가 있는 세상에서는 모두가 평안하고 넉넉하니 곤궁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지만, 혼란한 나라에서 홀로 부귀를 누린다면 이 또한 부끄러운 일이다.여기서 나오는 위방불입(危邦不入)은 군자는 ‘머지않아 멸망할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름다운 도가 있는 세상에서는 자신이 익히고 수양한 공부와 덕을 펼치고 벼슬에 올라 천하를 위해 힘쓰는 것이 옳지만, 무도한 나라에서는 뜻을 제대로 펼칠 수 없으므로 스스로 몸을 정결히 하고 은거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