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衆怒難犯 (중노난범)
▶한자풀이
衆: 무리 중
怒: 성낼 노
難: 어려울 난
犯: 범할 범


무리의 분노는 거스르기 어렵다
분노로 일어선 대중은 당해내지 못함
-<춘추좌씨전>

춘추시대 위(衛)나라 왕이 연회를 베풀었다. 위왕이 버선을 신은 채 앉아 있는 저사성자를 보고 화를 냈다. 성자가 “지금 다리에 상처가 났습니다. 왕께서 보시기에 언짢으실 것입니다”라고 말하자, 왕은 더 버럭 화를 냈다.

“당장 네 발을 베어버리겠다.”

성자가 놀라 허둥지둥 물러났다. 위왕은 이처럼 방자하고 걸핏하면 성을 냈다. 성격이 포악한 데다 신하를 혹사하고 걸핏하면 광대들이 대부들에게 창피를 주기도 하는 패륜적 주군이었다. 난폭한 행동을 참지 못한 고관들이 마침내 반란을 일으켰다. 왕의 시종 견자사가 이를 진압하려 하자 왕의 심복 권미가 그를 말렸다.

“그대는 용사니까 전쟁하고 싶겠지만, 이번만은 어렵다. 우리 임금이 제멋대로 하고 싶은 짓을 많이 하였으니, 많은 사람의 분노를 거스르기가 어렵다(衆怒難犯). 다른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목숨이 위태롭다고 여긴 왕은 진(晉)나라로 망명을 가려고 했다. 권미가 나섰다. “제나라와 진나라가 우리를 노리고 있는데 진나라로 간다는 것은 당치도 않습니다.” 위왕이 노(魯)나라로 가려 하자 권미가 또 간했다. “노나라는 아니 되옵니다. 월(越)나라가 좋을 듯합니다.”

결국 왕은 월나라로 망명을 떠났다. 가는 도중 권미가 말했다.

“신이 먼저 가서 월나라 동정을 살피겠습니다. 위나라 사람들이 왕에게 무슨 짓을 할지 모르니 보물은 먼저 보내는 것이 안전할 듯합니다.”

왕의 보물이 든 수레를 끌고 월나라로 가던 권미는 도중에 수레를 돌려 자기 집으로 가버렸다. 그러면서 이것은 왕의 포악함에 대한 보답이라고 했다. <춘추좌씨전>에 전해오는 이야기다.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중노난범(衆怒難犯)은 무리의 분노는 다스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분노한 대중이 일어서면 누구도 당해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