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시험 몰린 2학기…'우선순위 공부법' 주목

    여름방학이 끝나고 2학기가 시작되면 누구나 마음이 흔들리기 쉽습니다. 방학 동안 비교적 여유롭게 생활하다가 다시 바쁘게 살아야 하니 집중력이 떨어지고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그러나 2학기는 1년 성적의 절반 이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특히 모의고사와 중간고사가 연달아 이어지는 시점에서는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이 필요합니다.첫째, 생활 리듬을 빠르게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습관이 남아 있다면, 수업 시간에 졸음이 쏟아지고 학습 효율이 떨어집니다. 아침에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맞추고, 잠들기 전 휴대폰 사용 시간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하루 동안 집중력이 달라집니다.방학으로 느슨해진 공부 습관을 되찾기 위해 매일 정해진 시간에 책상 앞에 앉아 공부하는 루틴을 만들어야 합니다. 단 한 시간이라도 좋습니다. 중요한 것은 다시 시작한다는 감각을 몸에 익히는 것입니다.둘째, 여러 시험이 몰려 있는 2학기에는 ‘우선순위 공부법’이 핵심입니다. 모의고사와 중간고사가 가까이 붙어 있다면 같은 과목이라도 공부 방법이 달라야 합니다. 모의고사는 전 범위에서 출제되므로 약점이 있는 부분을 확인하고 실수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반면 중간고사는 학교 수업 진도를 바탕으로 하는 만큼 수업 필기와 교과서 내용을 충실히 복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시험 일정에 맞춰 모의고사 대비 문제 풀이 한 시간, 중간고사 대비 정리 한 시간 하는 식으로 시간을 분배하면 두 시험을 동시에 준비할 수 있습니다.셋째, 짧은 기간에 여러 시험을 치르려면 체력 관리가 필수입니다. 잠을 줄여가며 무리하게 공부하기보다는

  • 대입 전략

    사탐 1과목 이상 응시 77.3%, 사탐런 최대 변수로…과탐, 수능최저 충족 '비상', 탐구학습 준비 최선을

    우려가 현실이 됐다. 올해 사탐런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2026학년도 수능 접수 현황 분석 결과, 탐구 과목에서 사회 과목 접수 인원은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탐에선 고득점 인플레가, 과탐에선 상당수 학생이 수시 수능최저 충족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수능 접수 기준 사탐런 현황과 영향을 분석해본다.2026학년도 수능 접수 인원 분석 결과, 탐구 과목에서 순수하게 사탐만 선택(사탐 1과목 또는 2과목)한 비율은 61.0%(32만4405명)로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탐 1과목+과탐 1과목’ 조합으로 접수한 16.3%(8만6854명)까지 합하면 사탐을 1과목 이상 접수한 전체 비중은 77.3%(53만1951명 중 41만1259명)에 이른다.이에 따라 사탐 과목별 접수자 인원도 폭증했다. 올해 사회문화는 26만3047명으로 전년 대비 7만8033명(42.2%)이 증가했다. 사탐 또는 과탐 선택 전체 학생 수가 53만1951명인 점을 비춰보면, 이 중 절반 가까운 인원이 사회문화를 선택했다는 것이다. 생활과윤리는 22만4552명(전년 대비 4만1111명, 22.4% 증가)에 달한다. 사회문화와 생활과윤리 두 과목은 2022학년도 이후 통합수능 체제에서 처음으로 20만 명대를 기록했다.다음으로 윤리와사상 5만4014명, 한국지리 4만8500명, 세계지리 4만6497명, 정치와법 3만7889명, 동아시아사 2만3490명, 세계사 2만3208명, 경제 8525명 순으로 선택 인원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사탐 9과목 과목별 접수자 합산은 전년 57만1810명에서 올해 72만9722명으로 증가 폭은 15만7912명(27.6%)에 달했다.사탐 접수자가 늘면서 해당 과목 2등급 이내 인원도 큰 폭으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2등급은 주요 상위권 대학

  • 대학 생글이 통신

    9월 모의고사, 약점 찾아 보완할 기회로 삼길…

    지난 3일 수시 원서 접수 전 마지막 모의고사인 9월 모의고사가 시행되었습니다. 9월 모의고사는 수시에 응시하는 학생과 정시를 노리는 학생 모두에게 원서 접수 전략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 시험입니다. 수능을 겨우 두 달여 남긴 시점이기에 수험생들이 커다란 긴장 속에서 치르는 시험이기도 합니다.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의 9월 모의고사는 수능 전 마지막으로 보는 평가원 모의고사입니다. 이전까지 진행한 모의고사와 달리 9월 모의고사는 출제 범위가 수능 범위와 동일합니다. 문제 유형과 출제 범위가 수능과 같기 때문에 취약점을 파악하고 보완할 수 있는 기회로 삼기 좋습니다.또한 고등학교 재학생만 응시할 수 있는 3월, 4월, 7월, 10월 모의고사와 달리 6월과 9월 모의고사는 재수생을 비롯한 N수생도 참가합니다. 따라서 수능에 실제 응시할 인원과 비슷한 인원이 참가하는 9월 모의고사 성적을 통해 자기의 수능 등급과 점수를 점쳐볼 수 있습니다. 9월 모의고사 결과는 10월 초에 통보됩니다. 따라서 수시에 지원하는 학생, 특히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있는 대학에 지원하는 수험생은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원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수험생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는 모의고사 결과에 지나치게 들뜨지도, 낙담하지도 말라는 것입니다. 모의고사는 어디까지나 모의고사기 때문입니다.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영어는 1등급 비율이 1.47%에 불과할 정도로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수능 영어는 한결 쉽게 출제되었습니다. 또 2025학년도 9월 모의고사에서 생활과 윤리는 1등급 커트라인이 47점으로 쉬운 편이었으나, 수능에서는 1등급 커트라인이 41점으로 내려갔습니다. 난이도

  • 영어 이야기

    'makeup'과 'makeover'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Disney, Marvel and Star Wars stories will receive a Korean webtoon makeover.The company announced that it has signed a multiyear partnership with The Walt Disney to adapt about 100 blockbuster titles from Marvel, Star Wars, Disney Studios and 20th Century Studios into its vertical-scroll format.This marks the first time that foreign content has turned to a Korean platform for storytelling. Webtoon and Disney reached the deal after about a year of negotiations.Webtoon Entertainment will start offering Amazing Spider-Man (2022-present), Avengers (2012), Star Wars (2015) and Alien (2021).Established in 2005, Webtoon Entertainment is the parent company of Naver Webtoon, one of the world’s largest online comics platforms.디즈니, 마블, 스타워즈 이야기가 한국 웹툰 스타일로 재탄생한다.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다년간의 파트너십을 체결해 마블, 스타워즈, 디즈니 스튜디오, 20세기 스튜디오의 인기 프랜차이즈 약 100편을 새롭게 웹툰으로 제작한다고 밝혔다.이번 파트너십은 해외 콘텐츠가 한국 플랫폼을 통해 스토리텔링을 시도하는 첫 사례로, 업계에서도 상징적 협업으로 평가된다. 웹툰과 디즈니는 약 1년간의 협상을 거쳐 이번 계약을 성사시켰다.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22~현재)’ ‘어벤져스(2012)’ ‘스타워즈(2015)’ ‘에일리언(2021)’ 등을 제공한다. 2005년에 설립된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세계 최대 규모의 온라인 만화 플랫폼인 네이버웹툰의 모회사다.해설웹툰은 기존에 책으로만 보던 만화를 스마트폰에서 보기 편하도록 세로로 구성,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하며 감상할 수 있게 만든 한국형 콘텐츠 형식으로 큰 인기를 얻어왔습니다. 그동안은 주로 창작물 중심으로 제작해왔지만, 이제 세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진짜' '사실' 남발이 왜곡하는 우리말

    지금도 크게 달라지진 않았지만, 한때 ‘원조’를 달고 호객 행위를 하는 식당이 많던 시절이 있었다. ‘원조××식당’ ‘원조◇◇국밥’ 하는 식이다. 하도 ‘원조’가 많다 보니 ‘참원조△△아구탕’ 식으로 차별화하기도 한다. ‘원조’란 어떤 일을 처음으로 시작한 사람한테 쓰는 말이다. 여러 곳에서 스스로 원조임을 주장하니 어디가 진짜인지 알 수도 없고, 맛도 비슷해 손님 입장에선 헷갈릴 뿐이었다. ‘원조’ 남발이 단어 본래의 의미를 헝클어뜨리고 기표(signifiant, 시니피앙)로서의 ‘권위’를 약해지게 만드는 것이다.‘진짜 대한민국’은 부정적 표현우리말에도 이처럼 남발에 의해 본래 의미에서 왜곡된 채 쓰이는 말이 꽤 있다. “진짜 대한민국”이란 구호가 있다. 현 정부에서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부터 내세워온 공식 슬로건이다. 이 말은 구호로 나오기까지 정치적 취지야 이해하지만, 우리 어법에는 그리 좋은 표현이 아니다. 자칫 그동안 이어진 대한민국 성장사 전체가 부정되는 결과를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진짜’는 워낙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이라, ‘진짜 대한민국’도 대부분 별생각 없이 상투적으로 받아들일지도 모른다. 이 말은 문장 속에서 두 가지로 쓰인다. 가령 “진짜 예쁘다(아프다/잘생겼다/힘들다)”처럼 말할 때는 문장 안에서 부사로 사용된 것이다. 이때의 ‘진짜’는 ‘꾸밈이나 거짓이 없이 참으로’란 뜻이다. 다른 하나는 명사로 쓰인 구조다. “너의 진짜 속셈은 무엇이냐?” “진짜 도자기” “진짜 보석이네” 같은 표현이 그것이다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귀납 추론, 주요 공식 적용…다양한 접근법 찾아야

    논술에서는 주어진 하나의 문제를 해결할 때 논리적 근거만 갖춘다면 다양한 접근 방법과 풀이가 폭넓게 허용되는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러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전략 중 첫 번째는 먼저 귀납적 추론으로 주어진 규칙을 파악해보는 것이다. 가령 문제에서 처음 보는 규칙이나 정의가 나왔을 때 몇 개의 숫자를 대입해보거나 주어진 정의대로 처음 몇 가지 경우를 나열해보면 대체로 규칙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다음으로는 해당 문제와 연관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보이는 주요 정리나 공식을 적용해보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해당 단원에서 가장 대표적인 정리나 공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기하 문제를 미적분으로 풀거나 수열 문제를 순열이나 조합 공식 등을 활용하는 등 단원 간 연계를 토대로 다양한 접근을 해보는 것도 중요한 문제 해결 전략이 될 수 있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의 전략 ◀1. 귀납적추론- 처음 보는 규칙이나 정의가 나올 때- 몇 개의 숫자를 대입해 보거나 경우의 수를 나열하여 규칙을 파악해 보기2. 연관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는 교과서의 주요 정리나 공식을 적용해 볼 것.- 예를 들어 미적분 문제에서는 ‘평균값 정리’를, 확률과 통계 문제에서는 중복 조합이나 이항분포의 공식을 문제에 적용해 보기3. 단원 간 연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시도를 해볼 것.- 예를 들어 수열 문제에서 주어진 규칙을 나열해볼 때 순열 또는 조합으로 규칙을 파악해 보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見小曰明 (견소왈명)

    ▶한자풀이見: 볼 견  小: 작을 소  曰: 가로 왈  明: 밝을 명사소한 것을 보는 걸 밝다고 한다미묘한 것을 감지하는 통찰력을 이름- <도덕경>노자의 <도덕경>은 도가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책이다. 노자가 글을 쓰는 방식인 정언약반(正言若反), 즉 진실은 언뜻 들으면 반대처럼 들린다는 어법이 곳곳에서 나타난다. “곧아도 찌르지 마라” “빛나도 눈부시지 마라” “진짜 큰소리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등이 대표적 사례다. 총 79장으로 구성되며 도(道)장이 42장, 덕(德)장이 37장이다. 도덕경은 도장과 덕장을 함께 부르는 말이다.<도덕경> 52장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천하는 시작이 있는데 그것이 세상의 어머니 같은 일을 한다. 천하의 진상에 대한 통찰을 얻으면 그것을 통해 현상 세계를 알 수 있다. (중략) 아주 작은 것을 볼 줄 아는 것을 명이라 하고(見小曰明), 부드러움을 잘 지키는 것을 강이라 한다(守柔曰强).”이 말은 주변의 미묘한 낌새도 허투루 넘기지 않고 세심하게 관찰하며, 다가올 일을 알고 대비하는 자세를 말한다. 득도한 고승은 작은 방 안에서도 사계의 변화를 모두 꿴다고 했다. 공자가 말한 일이관지(一以貫之)는 하나의 이치로 다양한 현상을 두루 안다는 뜻이다. 주역도 낌새와 기미, 조짐을 중시한다. 작은 변화를 미리 알면 큰 화를 당하지 않는다.견소왈명(見小曰明)은 사소한 것을 보는 걸 밝다고 한다는 뜻으로, 미묘한 변화를 감지하는 날카로운 통찰력을 이르는 말이다. 작은 행동을 보면 그 사람의 앞날을 안다는 견미지저(見微知著), 서리를 밟으면 곧 얼음의 계절이 온다는 것을 안다는 이상견빙지(履霜堅氷至)도 뜻이 같다.

  • 학습 길잡이 기타

    원뿔 자르면 원·타원·포물선·쌍곡선 나와요

    아주 먼 옛날, 어떤 수학자는 원뿔을 이리저리 잘라보며 그 단면의 모양을 관찰하는 데 푹 빠져 있었습니다. 그는 원뿔을 평평하게 자르면 동그란 원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죠. 조금 더 기울여 자르니 길쭉한 타원이 나타났습니다. 그의 호기심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원뿔의 비스듬한 옆면과 똑같은 각도로 칼을 대자, 세상에! 끝없이 뻗어나가는 신기한 모양, 바로 포물선이 눈앞에 펼쳐졌습니다. 그리고 원뿔을 2개 겹쳐놓고 수직으로 자르니, 신기하게도 대칭을 이루는 2개의 곡선이 생겨났는데, 이것이 바로 쌍곡선입니다. 그는 이 아름다운 곡선들이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직감했습니다. 이 도형들이 각각 어떤 특별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지 밝혀내기 위해, 그는 밤낮으로 연구에 매달리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이러한 지적 호기심이 바로 우리가 오늘날 배우는 원뿔곡선 이론의 위대한 출발점이 되었습니다.원은 원뿔곡선 중 가장 완벽하고 친숙한 모양입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그 단순함 속에 특별한 성질이 담겨 있죠. 원의 가장 중요한 성질은 평면 위 한 점(중심)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모든 점을 연결한 곡선이라는 점입니다. 이 성질 덕분에 원은 어디를 보아도 대칭적이고 균형 잡힌 모습을 유지합니다. 수레바퀴, 시계, 동전 등 우리 주변의 수많은 물건이 원 모양인 이유도 바로 이 완벽한 대칭성에 있죠. 고대 그리스인은 원의 완벽함에 매료되어 ‘신성한 도형’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원은 단순해 보이지만, 안정성과 균일함이 필요한 건축이나 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원형 기둥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힘을 견딜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