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모의평가는 모의평가일 뿐입니다. 모의고사에서 생각보다 높은 점수를 얻지 못했다면 내가 부족한 부분이 무엇이었는지 차분히 검토해 보면 됩니다.
[대학 생글이 통신] 6월 모평에 실망? 그럴수록 '멘털' 잡자
무더위가 절정에 이른 지금 수험생 여러분 역시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공부에 매달리고 있을 것입니다. 수능을 불과 100여 일 앞둔 여름방학이 얼마나 중요한 시기인지에 대해서는 더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난주 이야기한 여름방학 시간 관리 방법에 이어 오늘은 건강한 멘털을 유지하는 방법과 전공 탐색에 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공교롭게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6월 모의평가 결과가 나온 직후 여름방학을 맞게 됩니다. 모평 결과가 만족스러운 사람도 있겠지만, 기대에 못 미쳐 좌절하거나 마음을 제대로 잡지 못하는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럴 때일수록 “나는 할 수 있다”라고 스스로에게 주문을 걸며 멘털을 확실하게 잡아야 합니다.

6월 모의고사는 수능과 유사한 형태로 출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아주 중요한 시험입니다. 그러나 아직 수능을 친 것은 아닙니다. 모의평가는 모의평가일 뿐입니다. 수능까지 교육청과 학원 주관 모의고사를 치를 것이고, 교육과정평가원의 9월 모의고사도 있습니다. 수능 유형을 파악하고 자신의 실력을 점검할 기회는 아직 많이 남아 있습니다. 6월 모의고사 결과에 실망해 갈팡질팡하며 여름방학을 보낸다면 남은 모의고사는 물론, 실전 수능까지 망칠지도 모릅니다.

모의고사에서 생각보다 높은 점수를 얻지 못했다면 내가 부족한 부분이 무엇이었는지 차분히 검토해보면 됩니다. 모의고사 해설 강의를 들으며 차후에 비슷한 형태의 문제가 나오면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전략을 메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여름방학 기간에는 목표 대학에 대해 탐색하는 시간도 가져보기를 권합니다. 진학하고 싶은 대학의 커리큘럼과 건학 이념, 학과 과목 등을 살펴보는 일은 목표를 설정한다는 차원에서도 필요한 일입니다. 특히 수시 모집에 지원한다면 면접을 치르는 대학이 대다수인 만큼 해당 대학교가 추구하는 인재상을 살펴보고 자기 활동과 연결해봐야 합니다.

저는 대학 홈페이지에 들어가 모집 요강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재학생이 소개하는 전공 및 교양과목에 대한 영상을 보며 정보를 얻었습니다. 자기에게 맞는 대학과 전공을 찾아본다면 더욱 알찬 여름방학이 될 것입니다. 중국 성어에 ‘유지자사경성(有志者事竟成)’이란 말이 있습니다. 어떤 일을 이루고자 하는 강한 의지가 있는 사람은 고난을 극복하고 목표를 달성해낸다는 뜻입니다. 남은 기간 어려움을 이겨내고 당당한 대학생이 될 여러분에게 응원과 격려의 박수를 보냅니다.

엄정민 경희대 중국어학과 24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