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道不拾遺 (도불습유)

    ▶ 한자풀이 道: 길 도   不: 아닐 불   拾: 주울 습   遺: 잃을 유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법이 잘 지켜져 나라가 태평함-<공자세가(孔子世家)> 등상군(商君)은 위(衛)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앙(), 성은 공손(公孫)이다. 젊었을 때 형명학(刑名學)을 좋아해 정승 공숙좌를 섬겼다.형명학은 법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학문으로, 전국시대 신불해, 상앙, 한비자 등이 주창했다. 상군은 공숙자가 죽은 뒤 위나라에서 쓰임이 없자 천하의 영재를 구한다는 소식을 듣고 진(秦)나라 효공을 찾아갔다.그는 효공을 설득해 연좌제와 신상필벌 등 변법(變法) 개혁을 단행했는데, 법 적용이 매우 엄중했다. 태자가 법을 범하자 태자의 보육관인 공자건과 사부 공손가를 처형했다. 그러자 10년쯤 뒤에는 ‘길에 떨어진 것을 줍는 자가 없고(道不拾遺)’, 백성들의 삶이 넉넉해졌으며, 군사의 사기도 높아져 싸우면 연전연승했다. <사기(史記)>에 나오는 얘기다.<한비자>에도 이와 유사한 얘기가 있다. 춘추시대 정(鄭)나라 재상 자산(子産)은 적재적소에 인재를 기용하면서 철저히 신상필벌 원칙을 지켰다. 그러니 5년 만에 도둑이 없고, 길에 물건이 떨어져도 주워 가지 않았으며, 길가에 과일이 열려도 따 가는 사람이 없었다.공자의 일대기를 담은 <공자세가>에도 비슷한 얘기가 전해온다. 노(魯)나라 정공(定公) 때 56세의 공자는 대사구(大司寇)가 돼 법 집행을 맡았다. 3개월이 지나자 거래에 속이는 일이 없어졌고, 남녀간에 음란함이 사라졌으며, 길에 떨어진 물건을 줍지 않아 관(官)의 도움 없이도 잃은 물건을 찾을 수 있었다.도불습유(道不拾遺)는 ‘길에 떨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평균값정리…복잡한 식을 해결하는 만능도구

    평균값정리는 현재 시행되는 선택형 수능 수학의 공통 출제범위에 해당하는 수학Ⅱ 교과과정에서 배우는 기본 개념 중 하나다. 미분 가능한 함수의 주어진 구간 양 끝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은 기울기를 갖는 접선이 구간 안에 반드시 존재한다는 내용의 정리로, 증명 과정도 교과서에 상세히 기술돼 있다. 평균값정리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이것을 도구로 활용,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태의 식을 단순화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수리논술에서 일반적인 해결 방법이 떠오르지 않을 때 평균값정리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이를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해둘 필요가 있다. 포인트일반적인 증명이 막히면 귀류법을, 복잡한 형태의 식을 만나면 평균값정리를 사용해보자.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종 모양의 정규분포, 정점(중간값)의 의미를 이해하자

     16. [A]를 적용하여 <보기>의 상황을 이해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은?<보기>두 정당의 정치인 갑과 을이 단일 사안에 대해 경쟁하는 다수결 원칙의 선거 상황에서 갑은 정치 성향이 중간인 M의 입장에서, 을은 R 성향인 B의 입장에서 정책을 제시하였다. 유권자는 자신의 정치 성향에 따라 단일한 정점 선호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투표에 참여한다.① 정치 성향이 M의 왼쪽에 있는 L 성향의 유권자들은 모두 갑에게 투표할 것이다.② 정치 성향이 중간인 M의 입장에서 정책을 제시한 갑이 을보다 당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③ 정치 성향이 A인 유권자들은 자신의 정치적 선호 에 따라 R 성향의 정책을 제시한 을에게 투표할 것이다.④ 정치 성향이 B의 오른쪽에 있는 R 성향의 유권자들은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을에게 투표할 것이다.⑤ 을이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공약을 수정한다면 을은 갑이 제시한 정책과 유사한 정치 성향을 띤 공약을 내세우려 할 것이다.-2022학년도 7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A]를 적용하여 … 단일 사안에 대해 경쟁하는 다수결 원칙… 단일한 정점 선호위 문제에서 ‘[A]를 적용하’라고 하였는데, 그 [A]는 다음과 같다.중위투표자 정리 모형은 단일 사안에 대해 유권자의 정치적 선호가 하나의 정점을 갖는 단일 선호일 경우, 경쟁하는 두 정당의 정치인들이 내거는 공약은 중위투표자가 선호하는 정책에 접근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이때 중위투표자란 정치적 선호에 따른 유권자 전체의 분포에서 한가운데에 위치한 유권자를 말한다. 이 모형은 몇 가지 가정을 전제로 하는데 정치적 선호에 따른 유권자들의 분포는 종 모양의

  • 영어 이야기

    'a stitch in time saves nine'은 유비무환의 의미죠

    The currency authorities have been relatively inactive in the market, saying the dollar is strong globally. The won is expected to grow more volatile especially as the Fed is forecast to ramp up the target federal fund rate by at least 75 bps on Wednesday to a range of 3.00-3.25%, which is higher than the Bank of Korea’s benchmark interest rate of 2.50%.The South Korean central bank, which has said it would allow such interest rate discounts, may spur speculative currency trading unless the authority takes appropriate measures to stabilize the won.The BOK, along with the finance ministry and other authorities, needs to consider various steps including slower overseas investments by pension funds in addition to skilled intervention.A stitch in time saves nine. A repeated failure in currency stabilization may cause authorities to lose the market's confidence, making the won a target of global speculators.통화당국은 달러 강세가 세계적인 현장이라며 비교적 소극적으로 음직여왔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대폭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렇게 되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연 2.5%를 넘어서게 된다. 따라서 원화의 변동성은 더 커질 것이다.한국은행이 한·미 금리 차를 용인하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하게 밝힌 마당에 외환당국마저 원화가치 안정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투기적 거래는 더욱 극성을 부릴 것이다. 한국은행과 재무당국은 등은 연기금의 해외투자 속도 조절과 같은 노련한 개입을 포함해 다양한 대응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외환당국이 번번이 관리에 실패해 원화가 국제 투기 세력의 타깃이 됨은 물론 시장의 신뢰까지 잃게 된다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못막는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해설오늘 예문은 최근 심해지는 달러 강세, 원화 약세 현상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고종칙령, 한글을 공식문자로 끌어올리다

    2019년 3월 ‘금명간’이 갑자기 인터넷 실시간검색(실검)에 떴다. “경찰에서 한 연예인의 구속 영장을 금명간 신청할 예정”이라는 보도가 나온 뒤였다. ‘금명간’이 뭐지? 누리꾼에게 이 말이 생소했던 모양이다. ‘금일’을 금요일로 오해하고, 순우리말 ‘고지식’을 한자어 고지식(高知識, 물론 이런 말은 없다)인 줄 아는 것도 다 오십보백보의 오류다. 개화기 때 한글을 국문(國文)으로 지정금명간(今明間) 대신 차라리 ‘곧’이나 ‘오늘내일’, ‘이른 시일 안에’ 같은 일상의 말을 썼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굳이 ‘금일(今日)’이란 한자어를 쓰지 말고 쉽게 ‘오늘’이라고 했으면 누구나 알아봤을 텐데…. ‘고지식하다’는 성질이 외곬이라 융통성이 없을 때 쓰는 순우리말이다. 이를 엉뚱한 의미인 ‘높은(高) 지식(知識)’으로 해석하는 데선 무지 속에 스며든 창의력(?)도 엿보여 ‘웃픈’ 느낌이다.글쓰기의 ‘읽기 쉽고, 알기 쉽게’란 명제 앞에 ‘한자어와 쉬운 우리말’의 관계는 종종 곤혹스러운 화두를 던진다. 제576돌 한글날(10월 9일)을 앞두고 우리말이 처한 현실이다. 단순히 말장난 같은 해프닝이라 하기엔 우리말 실태가 구조적으로 복잡하다. 비슷한 어휘력 논란이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한글과 한자, 고유어와 한자어, 거기에 영어와 일본어 등 외래어가 뒤섞이면서 치열한 ‘언어적 세력다툼’을 벌여온 게 지난 100여 년의 우리말 역사다. 특히 한글 전용 대(對) 한자 혼용 논란은 광복 이후 때론 격렬하게, 때론 느슨하게, 그러면서도 줄기차게 부딪쳐온 갈등의

  • 대학 생글이 통신

    내신 시험 임박했을 땐 새로운 문제 풀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한양대 의예과에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합격한 22학번 오진우입니다. 이번에는 내신 공부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우선, 내신 기간입니다. 내신 기간이란 한 학기에 중간고사, 기말고사 각각 1회로 진행되는 학교 정기고사에 집중적으로 대비하는 기간입니다.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제 경우 내신 기간을 5주로 설정했습니다. 5주 동안에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니면 비교과 활동이나 대외 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시험공부에만 집중했습니다.다음으로 과목별 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수학 과목은 심화 문제집과 학교 프린트, 교과서 문제를 반복해 풀어보길 바랍니다. 심화 문제집은 세 권을 넘기지는 말아야 합니다. 시험일까지 여유가 있을 때는 심화 문제집의 문제들을 풀며 내공을 기르고, 낯선 문제에 대한 자신감을 기르길 바랍니다.시험이 임박했을 때는 절대 새로운 문제를 풀지 마세요. 시험을 코앞에 두고 새로운 문제들을 접하면 자신감이 하락하거나 지금까지 해온 공부를 의심하게 되고, 수학적 원리에 입각한 올바른 풀이법이 아니라 잔기술과 편법을 찾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는 학교 프린트와 수학 교과서 문제들을 보길 바랍니다. 해당 문제들은 학교 선생님께서 변형해 서술형 문제 및 고득점 문제로 배치할 가능성이 큽니다. 수업 중에 여러 번 마주쳤을 문제들이기에 지금까지 머리로 해온 공부를 손근육에 각인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시간이 부족한 시험 기간에는 머리보다 손이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니까요.과학도 동일합니다. 시험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았을 때와 시험이 임박했을 때, 학습 양상과

  • 대입 전략

    2022학년도 의대·치대 1위 연세대, 수의대 1위 서울대…의대, 2개년 연속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 등이 상위권

    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약대 등 의약학계열 입시는 수능 백분위 1점 차이로 대학이 달라질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통합수능)는 수능 제도가 바뀌면서 대학별로 몇 점이 오르고 떨어졌는지 등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연도별로 의대, 치대 등 각 그룹 내 대학 순위는 비교가 가능하다. 그룹 내 대학 순위의 변화는 정시 지원전략 수립 시 중요한 점검사항이다.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서 발표한 의약학계열 최근 2개년 정시 입시 결과를 분석해본다.의대는 전국에 39곳이 있다. 이 중 2021학년도는 31개 대학, 2022학년도는 30개 대학이 국어, 수학, 탐구(2과목 평균) 백분위 평균(100점 만점) 70%컷 동일 기준으로 정시 입시 결과를 발표했다. 백분위는 내 점수 아래 몇%의 학생이 위치하는지를 나타내주는 지표다. 분석 시 탐구 1과목 반영 또는 가산점을 더한 총점을 발표한 곳 등 기준이 달라 순위 비교가 힘든 곳은 제외했다.분석 결과 최근 2개년 모두 연세대가 의대 중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세대와 함께 서울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울산대까지 5개 의대가 상위 5위권을 유지했다. 5개 의대는 수험생 사이에서도 상위권 의대로 통하는 곳이다.2021학년도 결과를 먼저 살펴보면, 연세대가 99.5점으로 1위에 올랐고 울산대와 성균관대가 99.2점으로 공동 2위, 서울대와 가톨릭대가 99.0점으로 공동 4위를 기록했다. 2022학년도엔 연세대가 99.3점으로 1위에 올랐고, 서울대와 울산대가 99.2점으로 공동 2위를 기록했다. 성균관대 가톨릭대 한양대가 99.0점으로 공동 4위에 올랐다. 중앙대 계명대가 공동 10위로 98.3점이었고, 연세대(미래)와 영남대가 97.8점으로

  • 대학 생글이 통신

    특목·자사고에 밀리지 않는 생활기록부 만들기(2)

     희망 계열과 과목 간 연결고리를 찾아 활용하라자신이 진학하고자 하는 계열과 수강하는 모든 과목의 연결고리를 찾아놓는 것이 좋습니다. 수행평가 또는 발표에서 이런 연결고리를 언급함으로써 전공적합성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과목 특성상 개별 수행평가 혹은 발표가 없어 세부능력특기사항에 활동 내용을 기재할 수 없더라도 연결고리 아이디어는 필요합니다. 독서 기록을 제출할 때 적합한 책을 찾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동아리 활동의 아이디어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저는 수강한 고급물리학 과목과 제 전공과목인 경제가 금융공학에서 사용하는 ‘블랙-숄즈 방정식’을 통해 융합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고급물리학 시간에 배운 파동방정식을 이용해 선생님과 방정식의 해를 유도하는 과정을 공부했고, 실제 대입 자기소개서에서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수강 과목과 전공 계열 간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면 책을 활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책은 다양하고 깊은 지식을 전달해주기도 하지만, 학생의 수준을 가늠하는 좋은 잣대가 됩니다. 서울대의 자소서 3번 문항은 지원자에게 고교 과정 중 가장 인상 깊었던 도서 두 권과 그 이유를 서술하라고 요구합니다. 서울대가 하나밖에 없는 대학별 자소서 자유 문항을 독서에 할애하는 것은 독서가 학생의 깊이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방증합니다. 독서를 통해 전공적합성뿐만 아니라 수학 능력과 잠재력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생활기록부 내에서 유기성을 만들어라다수의 특목·자사고는 학교만의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대학 수준의 과목을 제공하거나, 자유 프로젝트 시간을 운영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