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추상적 진술과 구체적 사례
비판적 합리주의는 기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의 관찰로부터 새로운 과학 이론이 비롯된다고 보았다. 이때 기존 과학 이론은 즉시 버려지고 기존 과학 이론을 수정하여 쓸 수는 없다. 과학자들은 기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이 발견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새로 수립하고, 가설을 시험할 수 있는 사례를 떠올린다. 만약 그러한 사례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그 가설은 잠정적 과학 이론의 지위를 부여받는다. 비판적 합리주의는 과학이 참된 진리에 도달할 수는 없으나 점진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모든 과학 이론은 잠정적이라는 것이다. 과학 이론은 거듭된 반증의 시도로부터 꾸준히 살아남을 수 있으나 언제라도 반증될 수 있기 때문이다.과학자들은 기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이 발견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새로 수립… 사례를 떠올린다.국어 영역에서는 지문 내용이 추상적이고 관념적이면 그것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구체적 사례를 제시해 적용해보는 문제를 출제한다. 지문에 철수 쌤도 무슨 말인지 알기 어려운 ‘과학자들은 기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이 발견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새로 수립… 사례를 떠올린다’는 설명이 있었다. 각각의 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사례를 <보기>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11. 윗글의 비판적 합리주의의 입장에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물질의 존재와 무관하게 공간은 항상 같은 상태라는 과학 이론이 그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던 시기에 아인슈타인은 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새로운 가설로 설명하고자 했다. 그래서 아인슈타인은 태양처럼 질량이 큰 물체는 주변의 공간을 왜곡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후 에딩턴은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어떤 별의 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들을 분석한 결과, 일식 때의 별빛 위치가 일식이 아닐 때의 별빛 위치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에딩턴은 이 별빛은 태양에 의해 왜곡된 공간을 따라 휘며 진행한 것이라고 보았다.
- 2022학년도 10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
즉 ‘과학자(들)’의 사례로 ‘아인슈타인’과 ‘에딩턴’을 찾을 수 있어야 하고,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다는 말의 의미를 고려해 ‘기존 과학 이론’의 사례로 ‘물질의 존재와 무관하게 공간은 항상 같은 상태라는 과학 이론’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이 발견된 문제 상황’을 ‘설명할 수 없는 현상’과 연결시킬 줄도 알아야 한다. 나아가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새로 수립’의 사례로, ‘태양처럼 질량이 큰 물체는 주변의 공간을 왜곡한다는 가설을 세’운 것을, ‘사례를 떠올’리는 것의 사례로 ‘일식 때의 별빛 위치가 일식이 아닐 때의 별빛 위치와 다르다’는 것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가설을 세운 과학자는 아인슈타인이고, 가설을 시험할 수 있는 사례를 떠올린 과학자는 에딩턴이라고 구별하는 데 조금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물론 <보기>에 ‘이후’라는 시간과 관련한 어휘를 보고 그 관계를 짐작할 수도 있으나, <보기>의 설명 내용을 통해 두 과학자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에딩턴의 활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딩턴의 활동은 과학자들이 벌이는 전형적인 ‘관찰’ 활동이다. 관찰은 실험과 함께 가설이나 이론을 검증하는 활동이다. 이런 사실은 고등학생이면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과학 이론은 잠정적지문은 ‘과학 이론’의 탄생과 폐기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과학 이론을 진리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15세기 과학 혁명 이후 과학의 시대에 살고 있으니 당연하다. 그러나 과학 이론은 어디까지나 사실들로 뒷받침될 뿐이다.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면 과학 이론은 쓸모없다. 그래서 과학 이론은 잠정적이라 하는 것이다. 포인트 1. 지문의 내용이 추상적이고 관념적이면 그것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구체적 사례를 제시해 적용해보는 문제를 출제한다.
2. 관찰은 실험과 함께 가설이나 이론을 검증하는 활동이다.
3. 과학 이론은 사실들로 뒷받침될 뿐이고,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면 과학 이론은 쓸모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