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간학문적 연구, 이질적인 학문의 만남
공공선택론은 정치학의 영역인 공공 부문의 의사결정에 대해서 경제학적 원리와 방법론을 적용하여 설명하려는 연구이다. 공공선택론은 기존의 정치학과는 다르게 다음 세 가지 가정으로부터 출발한다.첫 번째 가정은 방법론적 개인주의로, 모든 사회 현상의 분석 단위를 개인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이 가정에서는 집단을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유기체적 주체로 보지 않기 때문에 국가는 의사결정의 주체인 개인들의 집합체라고 본다. 따라서 정치 현상은 개인들의 의사결정을 집합적 결과로 보여 주는 것이다.두 번째는 인간을 ‘경제 인간’으로 본다는 가정이다. 경제 인간은 자기애를 갖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합리적인 인간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해관계를 최우선시하므로 구체적 목적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비용을 최소화하고 편익을 극대화하려고 한다. 다만 비용, 편익, 효용은 사람마다 다르다.마지막 가정은 수요와 공급의 관점에서 정치도 본질적으로 경제시장과 같은 선택의 문제이며 정치적 활동 역시 교환 행위로 본다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정치는 정치시장으로, 정치인은 재화와 용역의 공급자로, 유권자는 수요자로 해석된다. 경제시장에서 사람들은 교환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거래에 참여한다. 정치시장도 이와 마찬가지인데 기존의 경제학의 관점과는 달리, 거래의 결과가 거래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거래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이 세 가지 가정을 바탕으로 공공선택론에서는 공공 부문의 의사결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는데 그중 정치인과 유권자가 유발하는 문제를 분석하는 모형으로 중위투표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不恥下問 (불치하문)
▶한자풀이不 : 아닐 불恥 : 부끄러울 치下 : 아래 하問 : 물을 문아랫사람에게 묻는 게 부끄럽지 않다모르면 누구에게도 물어야 한다는 뜻 -<논어(論語)>자공(子貢)이 스승 공자에게 위(衛)나라 대부인 공문자(孔文子)의 시호(諡號)가 어떻게 해서 ‘문(文)’이 되었는지를 물었다.공자가 답했다. “공문자는 민첩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그런 까닭에 시호를 문이라 한 것이다(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文也).” 공자의 학문 자세를 엿볼 수 있는 대목으로 <논어(論語)> 공야장편에 나오는 얘기다.불치하문(不恥下問)은 글자 그대로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무리 지위가 낮거나 못난 사람일지라도 자기가 모르는 것을 알 수 있으니 묻는 것을 주저하고 수치스럽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공자가 관직에 있을 때 종묘(宗廟)에서 제사를 모시는 일이 있었다. 공자는 제사를 지내면서 제물의 위치 등을 두루두루 종묘지기에게 물었다. 집에 돌아온 공자에게 제자들이 물었다.“예(禮)로 말하면 스승님을 따를 사람이 없는데 어찌 종묘지기에게 그리 물으셨는지요.”공자가 답했다. “종묘에서는 그게 예니라.” 공자가 왜 대인(大人)인지를 보여주는 장면이다.공자천주(孔子穿珠)라는 말이 있다.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게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의미다. 공자가 실에 구슬 꿰는 법을 몰라 바느질하는 아낙네에게 물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공자는 아낙네의 말을 듣고 개미 허리에 실을 맨 뒤 구슬 구멍 반대쪽에
-
대학 생글이 통신
새벽시간 등 활용해 '순공시간' 극대화하세요
평소 이리저리 시간만 날리고 있는 것 같아 고민하는 학생들이 있을 겁니다. 앉아 있는 시간은 길지만 공부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드는 학생도 있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순공 시간’, 즉 순수공부 시간은 어떻게 하면 늘릴 수 있을까요? 오늘은 제가 공부 시간을 최대한 늘리기 위해 썼던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첫 번째로,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길러 아침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늦게 일어나서 씻고 밥 먹고 공부하려고 하면 이미 오전이 지나버리는 경험을 한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최대한 일찍 일어나서 아침에 공부하면 부족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아침 기상 시간을 앞당겨서 공부해보니 학습량을 이전보다 많이 늘릴 수 있었고, 그 결과 모의고사 점수도 이전보다 높아졌습니다. 처음에는 아침 일찍 일어나는 것이 힘들겠지만, 이른 기상을 습관화한다면 아침에 맑은 정신으로 공부할 수 있어 순공 시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부 효율도 높아질 것입니다.다음으로는 낭비하는 시간을 줄여 공부 시간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저는 SNS를 하느라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아깝게 흘려보낸 적이 많았습니다. 시간을 허비하지 않기 하기 위해 휴대폰에 스크린 타임을 설정했고, 하루에 일정 시간만 SNS를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SNS를 둘러보며 낭비하는 시간을 줄이면서 순공 시간을 보충했습니다. 꼭 SNS가 아니어도 각자 공부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소를 찾아 개선하고, 공부 시간을 보충할 필요가 있습니다.마지막으로는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하교 시간 또는 점심시간에 영어 단어를 암기하거나, 쉬는 시간에 어려운 수학 문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동일한 등가 비교 연산의 반복, 여럿 중 하나 고르기
서로 다른 경계 상자에서 같은 종류의 객체가 탐지될 수 있다. 이때는 각 경계 상자가 하나의 대상에 중복되어 표시된 것인지, 서로 다른 대상에 표시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이미지 속의 각 대상별로 가장 정확한 경계 상자 하나만 표시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비최댓값 억제(NMS, Non-Max Suppression)’라고 한다. NMS는 두 경계 상자의 교집합을 합집합으로 나눈 값인 IoU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IoU 값은 두 경계 상자의 위치가 일치할수록 1에 가까운 값이 나오며, 이 값이 설정된 임곗값보다 크면 두 경계 상자가 동일한 대상에 표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둘 중 신뢰도 점수가 낮은 상자를 삭제한다. 그리고 IoU 값이 설정된 임곗값보다 작으면 경계 상자가 서로 다른 대상에 표시된 것으로 판단하여 두 경계 상자 모두 그대로 둔다. 이러한 방법으로 한 가지 종류의 객체에 대해 그려진 모든 경계 상자들 중 가장 높은 신뢰도 점수를 가진 경계 상자를 기준으로 다른 경계 상자들을 하나씩 삭제해 나간다. 이후 IoU 값이 설정된 임곗값보다 작아서 지워지지 않고 남겨진 경계 상자 중에서 가장 높은 신뢰도 점수를 가진 경계 상자를 다음 기준으로 정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다른 모든 대상에 표시된 경계 상자들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반복한다. 이렇게 해서 결국 이미지 속의 각 대상별로 가장 높은 신뢰도 점수를 가진 경계 상자 하나씩만 남게 된다.-2022학년도 7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서로 다른 경계 상자에서 같은 종류의 객체가 탐지…각 경계 상자가 하나의 대상에 중복되어 표시… 서로 다른 대상에 표시… 각 대상별로 가장 정확한 경계 상자 하나만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寸陰是競 (촌음시경)
▶ 한자풀이 寸 : 마디 촌陰 : 그늘 음是 : 이 시競 : 다툴 경아주 짧은 시간이라도다투어 귀히 쓰라는 뜻 - 《천자문(千字文)》<천자문(千字文)>은 4언절구의 한시(漢詩)이자 한문 습자의 대표적 교본이다. 전해오는 최초의 <천자문>은 남북조시대 양무제 때 학자 주흥사(周興嗣)가 쓴 것이다. 조선시대에도 서예가 석봉 한호(韓濩)가 쓴 <천자문> 등이 있다. 이 책에 이런 글귀가 있다. “한 자의 벽옥이 보배가 아니요, 한 치의 시간이야말로 보배니, 분초를 다투며 공부하고 수양해야 한다. 이것은 성현에게만 국한되는 말이 아니다. 성공한 사람은 늘 시간을 아꼈다.”이에 해당하는 한자가 척벽비보 촌음시경(尺璧非寶 寸陰是競)이다. 한 자짜리 구슬이라도 보배가 아니니, 촌각(寸刻)을 다투어 아껴 쓰라는 뜻이다. 세상 최고로 귀한 게 시간이라는 거다. 이 글귀 뒤에는 <진서(晋書)>와 <회남자(淮南子)>에 나오는 말이 이어진다. “도간이 항상 말하기를, 대우(大禹)는 성인이면서도 촌음(寸陰)을 아꼈으니, 보통사람으로서는 한 푼의 짧은 시간도 마땅히 아껴야 한다. 우임금은 햇빛이 한 치쯤 옮겨가는 것도 아낄 정도였으니 참으로 부지런히 살았다. 해도 돌고 달도 돌아 시간은 사람과 같이 있으려 하지 않는다. 그러하기에 성인은 한 자나 되는 보배는 귀히 여기지 않으면서도 한 치의 시간은 중히 여긴다.”촌(寸)은 아주 짧거나 날카롭다는 뜻이다. 짧으면서도 날카롭게 상대의 허를 찌르는 문장을 촌철살인(寸鐵殺人)이라고 한다.미국 시인 칼 샌드버그는 시간을 동전에 비유한다. “시간은 인생의 동전이다. 시간은 네가 가진 유일한 동전이고, 그 동전을 어디에
-
대입 전략
인문 합격선 288.3~229.5점, 자연계 285.8~238.2점…인문 수학 4등급도 인서울, 수학 포기하지 말아야
통합수능 2년차, 국어와 수학에서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고착화되면서 이과생 강세는 올해도 반복될 전망이다. 인문계 학과의 정시 합격선은 주저앉은 반면, 이공계 학과는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통합수능 전후 주요 대학의 정시 입시 결과를 분석하고, 남은 기간 학습전략을 소개한다.대입정보포털 ‘어디가’를 통해 발표된 2022학년도 주요 19개 대학 정시 합격선(국어, 수학, 탐구(2) 백분위 합, 300점 만점, 학과별 70%컷 평균)을 살펴보면 인문계는 서울대 288.3점, 고려대 280.0점, 성균관대 277.2점, 한양대 275.1점, 이화여대 271.6점, 연세대·서강대 269.0점, 중앙대 265.6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9개 대학 중 인하대가 229.5점으로 가장 낮게 분석됐다.통합수능 체제에서 주요 대학 인문계 학과의 정시 합격선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SKY 중 한 곳인 연세대 인문계 학과의 합격선 하락폭이 가장 컸는데, 2021학년도 평균 287.9점에서 2022학년도 269.0점으로 백분위 합이 무려 18.9점 하락했다.반면 성균관대 인문계 학과는 하락폭이 3.4점(280.6점→277.2점)으로 가장 작았다. 이에 따라 19개 대학별 최저 합격선은 2021학년도 247.5점(인하대)에서 2022학년도 229.5점(인하대)으로 18.0점 하락했다.이 같은 이변은 통합수능 체제에서 문과생의 수학 약세가 가장 큰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통합수능 수학은 이과생(미적분 또는 기하 응시)이 백분위와 표준점수를 통틀어 문과생(확률과통계)을 전 점수대에서 앞서는 구조다. 지난해 수능 수학 1등급 내 이과생 비중은 85.3%로 추정된다. 이과생 백분위는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문과생은 주저앉는 모습이다.자연계 학과는 인문계 학과와 달리 통상적인 변화폭 내에 머물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짝수 반대는 홀수, 그렇다면 남학교 반대말은 여학교?
정답은 여학교가 아니라 ‘적어도 한 명의 여학생이 다니는 학교’이다. 남학교의 반대말을 명제화해 생각하면 ‘우리 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모두 남학생이다’라는 명제에 대한 부정이며 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여학생이 적어도 한 명은 존재한다는 뜻이 된다.이처럼 명제의 조건이나 결론을 부정할 때 ‘임의성’과 ‘존재성’의 관계를 잘 파악해야 올바른 증명을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수리논술에서 자주 출제되는 귀류법에 대한 증명 논제는 이런 관계를 명확히 기술해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예시 논제를 통해 관련된 증명 구조를 파악해보자. 포인트수리논술에서 주로 출제되는 증명 방법에는 직접증명과 간접증명 그리고 수학적 귀납법이 있으며 귀류법은 이 중 간접증명에 해당한다.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시간표에 맞춰 공부시간 균형을
수능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제 경험상 수능까지 남은 시간은 순식간에 사라집니다. 그런 만큼 수능을 준비하는 데 계획이 중요합니다. 수능에서는 여덟 과목(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영역 2과목, 제2외국어 영역)을 봅니다. 이 많은 과목을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공부 계획을 세우는 저만의 방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저는 우선 실제 수능 시간표를 이행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조금 의아할 수 있습니다. ‘수능 시간표에 맞춰 공부하는 건 일러도 수능 한 달 전쯤 하지 않나?’ 하고 생각할지도 모르죠. 하지만 수능 시간표를 이행한다는 건 수능 시간표를 그대로 따라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2학기 초반에는 학교에서 수시로 입시 상담 등이 이뤄져 수능 시간표에 맞춰 생활하고 싶다 해도 쉽지 않죠. 제 방식은 ‘비율’을 고려하는 겁니다. 그 비율은 실제 과목별로 주어지는 시간을 뜻합니다. 국어 80분, 수학 100분, 영어 70분, 한국사 및 탐구영역 30분. 이맘때부터 8:10:7:3:3:3 비율을 가볍게 맞춰주는 겁니다.예를 들어 10시간 정도 공부한다면 국어는 2시간, 수학은 3시간, 영어는 2시간, 한국사와 탐구 과목은 1시간 정도씩 하는 거죠. 수능에서도 이렇게 시험 시간을 설정한 데는 이유가 있을 겁니다. 수학은 창의력과 추론 실력을 요하는 고난도 문제에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지만 한국사는 꾸준히 공부했다면 10분 내로도 풀 수 있을 만큼 크게 어렵지 않죠. 그래서 저렇게 대강 틀을 잡아주는 것입니다.이렇게 틀을 잡았다고 해서 무조건 끝까지 그대로 이행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극단적인 예를 들어, 수학은 대한민국 1등에 최고 대학의 교수들과 대적할 수 있는 실력이지만 영어는 apple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