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결론이 둘 중 오직 하나임을 알고 있을 때, 즉 결론이 A이거나 A가 아니거나 둘 중 하나며 A이면서 A가 아니기도 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음을 알고 있다면, A라는 결론을 부정해 모순을 보임으로써 증명논리의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A라는 결론을 부정했을 때 모순이 나타난다면 결론은 오직 A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이처럼 결론을 부정해 모순을 보이는 ‘귀류법’에 의한 증명이 수리논술에서 출제되는 논증추론 문제에 자주 출제된다.
따라서 이 같은 증명논리의 구성을 잘 이해하고 이와 같은 논리에 의해 답안 작성 연습을 꾸준히 해본다면 증명 문제 해결에 많은 도움이 된다.
![[2026학년도 논술길잡이] 조건부 확률의 이해…경품 당첨은 먼저 뽑아야 유리?](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102.3.jpg)
![[2026학년도 논술길잡이] 모평균과 신뢰구간, 실생활 활용도 높아 자주 출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96.3.jpg)
![[2026학년도 논술길잡이] 히스토그램 등 중등 통계 연계과정 미리 점검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29.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