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수시 노린다면 일반고도 비교과 포기 말아야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2024학년도 대입 수시에서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에 합격했습니다. 원하던 학교였고, 전형적인 학교장추천으로 합격했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우선, 고려대 학교장추천전형에서 내신 성적은 전체 점수의 80%를 차지하는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저의 내신 성적으로는 고려대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이란 압박을 많이 받으며, 1학년 2학기와 3학년 1학기에 성적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제 경우처럼 원하는 대학에 합격할 수 있는 내신 성적을 계속 파악하며 압박감이나 위기감을 느끼는 것도 좋은 성적을 향상시키는 자극제가 될 수 있습니다.다음으로 비교과입니다. 일반고 학생은 보통 비교과 부문을 챙기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저는 1·2학년 때 “어차피 학교생활기록부는 자사고나 외고 학생들에게 밀리기 때문에 열심히 챙길 필요 없어”라는 말을 종종 들었습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전혀 근거 없는 말이었습니다. 수시 교과전형에도 학교생활기록부가 반영된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됩니다. 제가 입시를 준비할 때 고려대의 경우 학생부 등급 1점 극초반대가 떨어지고 2점대가 붙기도 했습니다.비교과 비중 20%가 작아 보이지만, 실제로 미치는 영향력은 생각보다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할 수 있는 활동은 모두 해봐야 합니다. 저는 학생회장을 비롯해 3년 내내 임원 활동을 했습니다. 각종 대회에도 열심히 참가했습니다. 일반고가 특목고에 비해 활동 참여 기회가 적다고 하지만, 그 기회를 잡을 확률은 훨씬 높습니다.저는 한국경제신문 청소년 기자인 생글 기자로 활동했습니다. 2학년 때는 학교에 없던 상경 관련 동아리를 만들었죠. ‘일반고니

  • 대학 생글이 통신

    경제학·경영학 차이 알고 상경계 지원하자

    상경계열에 진학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경제학과 경영학의 차이입니다. 저는 이 두 분야가 굉장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먼저, 누구의 시선에서 바라보는가입니다. 경제 주체는 크게 가계, 기업, 정부입니다. 경제학은 이 세 주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반면, 경영학은 기업인의 관점에서 기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습니다. 사람과 사회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파악하더라도 경제학은 학술적인 성격이, 경영학은 실무적 성격이 강합니다.다음으로 무엇을 배우는가입니다. 경영학의 세부 전공은 회계학, 재무·금융, 마케팅, 인사·조직, 생산·서비스 운영, 경영정보, 전략 등입니다. 경제학에서는 이런 분야를 전혀 배우지 않습니다. 경제학에서는 수학과 통계학을 활용해 환율이 올라갔을 때 국내 소비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미국이 재정지출을 늘릴 때 한국의 투자량은 얼마나 늘어날지 같은 문제를 다룹니다. 또 임금 수준이 높아졌을 때 사람들의 노동 공급이 늘어날지 등을 질문합니다.졸업 뒤 진로도 다릅니다. 주변에서 보았을 때 경제학부에서는 대학원에 잔학하거나 금융권, 정부 쪽으로 많이 진출합니다. 경영학과에서는 공인회계사(CPA), 로스쿨, 기업으로 많이 나갑니다. 실제로 서울상대 동창회보에 따르면 2023년 경제학부 졸업생 중 36명은 대학원에 진학(로스쿨 포함)했고, 18명은 금융계로 갔으며, 13명은 공무원이 되었습니다. 경영대에서는 대학원 진학(로스쿨 포함)이 30명, CPA 8명, 컨설팅 회사 6명, 중소벤처기업 취업이 12명이었습니다.경영과 경제 전공을 놓고 고민하는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피식민지'가 말이 안되는 이유

    “피식민지인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도 왜곡된 다양한 정서가 스며 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에 세계인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다양한 진단과 전망이 쏟아져 나온다. 예문도 그중 한 대목이다. 평범한 문장 같지만 주목해야 할 표현이 있다. ‘피식민지’가 그것이다.주권 잃은 나라는 ‘식민지’가 바른말이 말이 자꾸 걸린다. 학교에서 ‘식민지’라는 단어를 배운다. 우리 역사에서 절대 잊을 수 없는 단어다. “정치적ㆍ경제적으로 다른 나라에 예속돼 국가로서의 주권을 상실한 나라. 경제적으로는 식민지 본국에 대한 원료 공급지, 상품 시장, 자본 수출지의 기능을 하며, 정치적으로는 종속국이 된다.” 국어사전에서는 식민지(植民地)를 이렇게 풀이한다. 그러니 팔레스타인은 ‘피식민지’가 아니라 ‘식민지’다.식민지에 대응하는 말은 ‘식민국(植民國)’이다. ‘식민지를 가진 나라’라는 뜻이다. 우리는 과거 일제강점기 때 일본의 식민지였다. 일본은 식민국이었다. 그래서 ‘나라 국(國)’ 자를 못 쓰고 식민지(地)라고 부른다. 국권을 상실한 곳, 즉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다.그럼 피식민지는 무엇일까? 틀린 말이다. 식민지가 바른 말인데, 여기에 ‘피(被)-’를 붙여 ‘그것을 당함’이란 의미를 덧칠했다. 아마도 의미를 확실히 드러내고 싶은 데서 비롯된 ‘심리적 일탈’일 것이다. 요즘 우리말 교육이 제대로 안 돼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우리말에서 접두어 ‘피(被)-’는 ‘그것을 당함’의 뜻을 더한다. 고용인과 피고용인, 상속인과 피상속인, 선거권과 피선거권, 수식어와 피수

  • 대입 전략

    지난해 정시 정원보다 3만7081명(49%) 더 뽑아

    지난해 전국 대학이 수시에서 뽑지 못해 정시로 넘긴 인원은 총 3만7081명에 달했다. 정시에서 처음 뽑기로 한 인원보다 3만7000여 명을 더 뽑았다는 것이다. 대학별 수시이월은 많게는 1000명 규모까지 발생한다. 최종 정시 지원전략 점검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다. 정시 원서 접수 직전 발표할 올해 수시이월과 함께 지난해 수시이월 규모도 함께 참고하기를 권한다. 2023학년도 전국 대학의 수시이월 규모를 분석해본다.수시이월은 수시에서 뽑지 못해 정시로 이월하는 인원을 말한다. 각 대학은 수시 미등록 충원 마감 후 정시 원서 접수 직전 수시이월을 포함한 최종 모집 인원을 홈페이지에 발표한다. 올해는 12월 30일(토)부터 1월 2일(화) 사이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대비 고3 학생 수가 8.4%(3만6178명) 줄면서 수시이월 규모는 비슷하거나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주요 21개대 759명 이월, 정시 2만6224명 선발종로학원이 지난해 수시이월을 분석한 결과, 전국 225개 대학의 수시이월은 총 3만7081명에 달했다. 정시 최초 계획 대비 49%를 더 뽑았다. 전국 평균 정시 비중은 최초 22.3%에서 최종 33.2%로 상승했다. 주요대 및 권역별로 정원내외 기준 수시이월을 살펴보면, 주요 21개대는 759명이 이월돼 최종 정시에선 2만6224명을 뽑았다. 정시 최초 대비 증감률은 3.0% 수준이다. SKY는 318명, SKY를 제외한 주요 10개대에서 159명의 수시이월이 발생했다. 주요 15개대는 164명, 주요 21개대는 118명이 이월됐다. 주요 21개대를 제외한 서울권은 674명이 이월돼 정시 최종 인원은 8502명까지 늘었다. 최초 계획 대비 8.6%를 더 뽑았다. 수도권 소재 대학은 1864명(최초 대비 14.0%)이 추가돼 최종 정시로 1만5211명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博而不精 (박이부정)

    ▶한자풀이博: 넓을 박    而: 말이을 이    不: 아닐 부    精: 정교할 정널리 알지만 자세하지는 못하다여러 방면으로 알지만 정통하지는 못함  - <후한서>마융(馬融)은 후한(後漢) 때의 학자로 <시(詩)> <서(書)> <역(易)> <논어(論語)> <효경(孝經)> <노자(老子)> <회남자(淮南子)> 등의 경전을 쉽게 풀이한 글을 남겼다. <후한서> ‘마융전’에는 마융이 공자가 편찬한 역사서로 전해지는 <춘추>의 대표적 주석서 중 하나인 <춘추좌씨전>에 주석을 붙이려다가 전대 경학자였던 가규(賈逵)와 정중(鄭衆)의 글을 평한 글이 나온다. 그 내용은 이렇다.“가 선생은 정밀하나 두루 알지 못하고, 정 선생은 두루 아나 정밀하지 못하니, 정밀하면서 박식한 것으로는 누가 나보다 낫겠는가(賈君精而不博 鄭君博而不精精博 吾何加焉).”자못 자신의 학식을 드러내는 말인데, 마융은 후에 <좌씨전>뿐만 아니라 <곡량전(穀梁傳)> <공양전(公羊傳)>을 포함한 삼전(三傳) 모두를 비교 분석한 <춘추삼전이동설(春秋三傳異同說)>을 지었다고 한다.박이부정(博而不精)은 여기저기 두루 관심이 있고 아는 게 많지만 앎에 깊이가 없는 것을 말한다. 두루 아는 사람은 한 가지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박자부지(博者不知)도 뜻이 비슷하다. 깊이 알지만 두루 알지는 못한다는 정이불박(精而不博)은 뜻이 반대다. 박대정심(博大精深)은 아는 것이 크고 자세하고 깊은, 완벽한 학식을 가리킨다. 현재의 교육제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학위를 이르는 박사(博士)는 ‘넓게 아는 선비’라는 의미다. 천학비재(淺學菲才)는 학문이 얕고 재주

  • 대학 생글이 통신

    내용 숙지하고 구어체 많이 써야 좋은 발표죠

    동아리 면접, 수행평가, 각종 말하기 대회 등 발표를 해야 하는 상황을 두려워하는 친구들이 있을 것입니다. 저도 고등학생 때는 긴장을 많이 했지만, 대학에 들어와서는 발표를 즐기고 있습니다. 매 순간 좋은 발표를 하려고 노력한 경험이 쌓여 이제는 발표가 제 강점이 된 듯합니다. 가장 도움이 될 만한 발표 관련 팁 몇 가지를 전해드립니다.무엇보다 먼저 발표할 내용을 ‘전부’ 이해해야 합니다. 전문적이고 어려운 발표 주제가 왠지 멋있을 것 같죠? 그러나 고등학생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를 선정하면 발표가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될 수 없습니다. 적절한 수준의 주제를 골라야 합니다. 그리고 발표 내용들, 예를 들면 경제학 용어나 수식 등을 전부 이해해야 합니다.쉬운 주제를 선정하면 발표를 돋보이게 하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는 ‘자신만의 것’을 추가해보세요. 저는 고등학생 때 평균값 정리와 ‘과속방지 카메라’를 발표 주제로 잡았습니다. 교과서에도 실린 내용인 만큼 주제 자체는 식상했지만, 제가 경험한 ‘문제 상황’을 추가해 발표를 풍성하게 만들었습니다. 과속방지 카메라가 구간 내 과속을 잡아내지 못하는 것을 한계점으로 잡아 평균값 정리와 연관 지어 설명했죠. 그리고 나름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발표를 마무리했습니다.다음으로 대본을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저는 대본을 작성하는 동시에 발표 연습을 합니다. 대본을 한 문단 정도 쓰고 소리 내어 읽어봅니다. 분명 어색하다는 느낌을 받을 거예요. 이유는 ‘글말’과 ‘입말’의 차이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A과자 나트륨 함량이 기존 수치보다 22%p 증가했습니다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8년 만에 논술 부활…미적분·기하 등 고르게 학습해야

    고려대는 2025학년도부터 8년 만에 다시 논술전형을 실시하며 총 344명의 논술 선발 인원 중에서 자연계열은 174명을 선발한다. 고려대가 올해 공개한 모의 논술 문항을 분석해보면 이전에 논술을 출제하던 시기에 비해 제시문 분량이 적어지고,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기하, 확률과통계에서 고르게 출제했음을 볼 수 있다. 또 이전 기출문제에 비해 기하가 쉬워지고 공간벡터 등이 삭제되는 등 출제 범위도 달라진 만큼 예전 고려대 기출문제보다는 연세대 등 주요 상위권 대학의 최근 기출문항으로 고려대 수리논술을 준비하는 것이 올바른 대비 전략이다.고려대 수리논술 대비전략 주요 포인트1. 미적분, 기하, 확통을 고르게 학습해야2. 엄밀한 풀이과정에 기반한 증명형 (서술형) 문제연습3. 이전 고려대기출문제 보다는 최근 경향의 상위대(연성서한중) 기출문제로 대비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각기 다른 분야 이론도 상호 영향 주고받아

    ‘수반’이라는 개념은 어떤 속성들과 다른 속성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인데, 윤리학 분야에서 논의되기 시작해 다른 분야로 확산했다. 수반론에 따르면 도덕적 속성과 비도덕적 속성(자연적 속성)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자는 선한 사람이다”라고 말하면서 공자와 동일한 상황에 부닥쳐 있고 그와 동일하게 행동하지만 선한 사람이 아닌 그런 사람이 있다는 주장은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도덕적 속성은 비도덕적 속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비도덕적 속성에서 동일한 두 개인은 도덕적 속성에서도 동일하다.이러한 논의의 영향을 받아 미학에서도 미적 속성과 비미적(非美的) 속성 사이에 미적 수반이 존재한다고 보는 미학자들이 나타났다. 시블리에 따르면 미적 속성은 감상자가 미적 감수성을 발휘해야 지각할 수 있는 속성이고, 비미적 속성은 시각과 청각 등의 지각 능력을 발휘하면 충분히 지각할 수 있는 속성이다. 미적 수반이란 한 작품의 미적 속성이 그 작품의 비미적 속성에 의존하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미적 수반론은 비미적 속성의 차이 없이는 미적 속성의 차이도 없다고 본다.미적 수반론은 미적 판단의 정당화 문제에 대해 미적 실재론*자들에게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미적 실재론자는 ‘운명 교향곡’은 장엄하다는 미적 판단을 정당화하는 데 수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장엄함이 느린 리듬이나 하강하는 멜로디 등의 비미적 속성에 수반하는데, 그 비미적 속성이 ‘운명 교향곡’에서 발견된다는 것이다.*미적 실재론: 미적 속성이 대상에 객관적으로 실재한다고 보는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