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개념 이해에는 또 다른 개념 이해가 필요

    용해도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용매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으로,…과포화 상태는 용질이 용해도 이상으로 녹아 있는 상태인데…결정화는 포화 상태의 혼합물이 과포화 상태가 되어 용질이 고체 입자로 석출되는 것으로…임계 온도는 어떤 물질이 액체로 존재할 수 있는 최고 온도이고, 임계 압력은 어떤 물질이 기체로 존재할 수 있는 최대 압력이다. 온도와 압력이 임계 온도와 임계 압력 이상일 때 물질은 액체도 아니고 기체도 아닌 초임계 상태로 존재한다. (중략)반용매는 용질을 녹이지 않고 용매와는 잘 섞이는 물질로, 반용매를 혼합물에 첨가하면 반용매는 용매와 섞이고 용질은 고체 입자로 석출된다. GAS 공정에서는 결정화하려는 물질을 액체 용매에 녹여서 혼합물을 만들고 용기에 적당량 채운 뒤 용기를 밀폐한다. 이후 용기의 온도와 압력을 이산화 탄소와 액체 용매의 임계 온도와 임계 압력의 사이에 맞추고 초임계 이산화 탄소를 용기에 주입한다. 그러면 혼합물이 과포화 상태가 되고 녹아 있던 용질은 고체 입자로 석출된다. 반용매가 용매와 섞이면서 포화될 수 있는 용질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다. 석출되는 용질의 양은 처음에 채운 혼합물의 양이 같다면 그 농도에 의해 정해진다.결정화 공정에서 고체 입자를 석출할 때는 우선 일정한 수의 용질 분자가 모여서 집합체를 이루어 결정핵이 생성되어야 한다. 혼합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결정핵을 만들 수 있는 용질 분자의 수가 많아 결정핵이 많이 생긴다. 결정핵이 많이 생성되면 하나의 결정핵에 모일 수 있는 용질 분자의 수가 적어져서 고체 입자의 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2023학년도 교육청 전국연합학력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뇌전증·조현병…질병명 속 완곡어법

    국내 엠폭스(MPOX) 확진자가 3일 현재 누적 50명을 돌파하자 방역당국이 경계심을 바짝 끌어올리고 있다. 엠폭스의 예전 이름은 ‘원숭이두창’이다. ‘두창’은 요즘 잘 쓰지 않는 말이지만, 한 세기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제일 무서운 질병이었다. 1920년 조선일보는 7월 14일 자에서 6월 한 달간 경기도의 전염병 발생 현황을 자세히 전했다. 부정적 인식 바로잡기 위한 노력“장질부사 발생이 165인 내에 사망한 자 25인이요, … 창홍열 발생이 35인 내에 사망한 자 9명이요, 지부데리아 발생이 58인 내에 사망한 자 10명이요, 발진지부스 발생이 27인 내에 사망한 자 8명이요, 두창 발생이 2047인 내에 사망한 자 539명이요, 천연두 환자 제일 다수하다더라.”100년 전 질병 이름으로 쓰던 우리말 모습이 낯선 듯하지만, 전혀 생소하진 않다. 당시 ‘두창’이 압도적 발병률과 사망률(25%가 넘는다)로 치명적 전염병이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두창을 ‘천연두’라고 했다는 것도 덤으로 알 수 있다.‘장질부사(腸窒扶斯)’는 ‘장티푸스(腸typhus)’를 가리키던 말이다. 지금은 외래어를 현지 발음에 맞춰 한글로 적으면 되지만 과거엔 한자음을 빌려 쓰던 시절이 있었다. 이른바 ‘음역어’다. 이 병이 얼마나 무서웠던지 나중에 ‘염병’의 대명사가 될 정도였다. 염병(染病)은 두 가지로 쓰인다. 하나는 글자 그대로 전염병을 뜻하고, 다른 하나는 장티푸스를 가리킨다.‘창홍열(猖紅熱)’은 국어사전에 없는 말인데, 당시 신문에선 ‘성홍열(猩紅熱)’과 뒤섞어 썼다. 성홍열은 발진이 생긴 피부의 붉은색이 원숭이의 일종인 오랑우탄(성성이)의

  • 대학 생글이 통신

    수행평가 주제, 진로와 연결시키고 내용은 알차게

    수행평가는 여러분의 생활기록부, 학업 성적, 지식 외 다양한 역량을 쌓도록 도와줍니다. 그중에서도 생활기록부 관점에서 수행평가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첫 번째로 수행평가 주제입니다. 수행평가는 보통 해당 과목에 적합한 주제여야 합니다. 선생님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주제를 아예 정해주시는 선생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내용에 자신이 넣고 싶은 콘셉트를 적용하면 됩니다. 다만 주제를 정할 때는 당연히 여러분의 진로나 관심사, 희망 학과에 어울리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해당 과목과 아무 상관이 없는 내용보다 과목 특성과 결부할 것을 추천합니다. 다양한 과목을 골고루 공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서로 다른 분야를 융합하고 새로운 문제의식을 도출하는 능력을 증명하는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담당 선생님께서도 가르치는 과목을 먼저 충실히 이해한 학생의 수행평가를 더 좋게 보시지 않을까요?두 번째로 수행평가 내용입니다. 수행평가의 종류는 선생님마다 다양한데, 보통 발표 또는 보고서 형태입니다. 두 형태로 나눠 내용 구성에 대해 설명하자면, 우선 공통적으로 ‘선행연구 조사’가 중요합니다. 중·고등학교 수준에서 학계에 없는 아이디어를 도출하라는 식의 수행평가는 현실적으로도 어렵고, 그 정도 수준을 요구하지도 않습니다.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보완하고 수정하는 방식의 내용이 대부분일 텐데, 이때 자료 조사를 꼼꼼히 하지 않으면 낭패를 볼 가능성이 큽니다. 해당 과목과 관련된 자료라면 수년간 수행평가 과제를 검토한 선생님께서는 이미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다. 이 같은 현실을 모르고 유명

  • 대입 전략

    서울대 63·연세대 73·고려대 60명 등 1만571명…전체 선발인원 중 45.6%, 4817명 수능 없이 뽑아

    보건의료산업 성장으로 간호사 수요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졸업 후 취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일자리 유지 등 안정성 측면에서 전문 직종으로 인기가 높다. 최근 정부도 간호학과 정원 증대에 나서는 등 전문인력 양성에 적극적이다. 2024학년도 기준 간호학과 선발 대학은 113곳에 이른다. 서울권 주요 대학부터 지방권까지 폭넓게 분포돼 있다. 2024학년도 간호학과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전국 4년제 대학 중 2024학년도 간호학과 신입생을 선발하는 곳은 113곳에 이른다. 전형계획안 정원 내 총 1만571명을 모집한다. 서울권 소재 대학으로는 12개 대학 919명 규모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등 주요 대학 상당수가 간호학과를 선발한다. 수도권은 아주대, 인하대, 가천대(메디컬) 등 13개교에서 1007명을, 거점 국공립은 10개 대학에서 860명을 모집한다. 이외 78개 지방권 대학에서 7785명을 계획하고 있다. 최종 간호학과 선발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까지 발표된 전형계획안은 교육부의 간호학과 정원 증원 계획이 포함되지 않은 최초 계획안이다. 교육부는 지난 4월 말 410명 규모의 2024학년도 간호학과 정원 증원 계획을 발표했다. 교육부 안대로 정원을 늘리면 전국 간호학과 선발 규모는 1만1000명 수준까지 증가하게 된다.대학별로는 경동대 선발 인원이 355명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가천대(메디컬) 255명, 초당대 206명, 광주대와 남부대 각각 200명, 중앙대 195명, 경운대 180명 순으로 선발 인원이 많다. 서울권 대학에선 중앙대 다음으로 성신여대 89명, 경희대 85명, 가톨릭대(서울) 80명, 이화여대 78명, 연세대 73명, 삼육대 69명, 서울대 63명, 고려대 60명 순으로 선발

  • 대학 생글이 통신

    중간고사 이후 마음가짐·전략 이렇게 점검하세요

     # 새 활동보다 행동을 수정하는 방향으로중간고사가 끝난 뒤 시험에 대한 후회나 아쉬움으로 뭔가 새로운 걸 시도하려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낯선 방법을 동원하기보다는 지금까지의 하던 것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공부할 것을 추천합니다. 특히 새삼스레 공스타(공부 인스타그램)나 플래너를 만드는 것은 금물입니다. 계획을 세우고 확인하는 것보다 형광펜과 색연필로 플래너를 꾸미는 데 집중하는 경우가 많고, 공스타도 마찬가지로 다른 계정을 기웃거리며 시간만 낭비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플래너든 공스타든 어디까지나 공부를 도와주는 수단이어야 합니다. 공부 자체보다 집중하게 되는 일은 과감히 접는 것이 현명합니다. 시험 기간 때처럼 기록해야 할 일정이 많은 시기에는 그때그때 중요한 내용만 달력에 적고 넘어가는 정도로도 충분합니다.노트 정리도 비효율적인 활동이 될 수 있습니다. 눈에 잘 띄게 한다고 알록달록하게 꾸미는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시간 낭비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학습 내용을 새로운 노트에 정리하기보다는 보던 책을 중심으로 정리하며 단권화하는 것이 시간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재수를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고3 때 중간고사 성적이 애매하게 나오면 갑자기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재수생이 참여하는 6월 모의평가 직후 기말고사 기간에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때 지레 겁을 먹고 재수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는 굉장히 위험하고 잘못된 생각입니다. 재수나 반수는 수능까지 치른 뒤 대학교 합격·불합격 결과가 나온 다음에 결정할 일입니다. 미리 재수를 생각하면 공부에 최선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焦眉之急 (초미지급)

    ▶한자풀이焦: 탈 초  眉: 눈썹 미  之: 갈 지  急: 급할 급눈썹이 타는 아주 화급한 상태매우 다급한 일이나 상황을 비유- <오등회원(五燈會元)>불혜선사(佛慧禪師)는 고승(高僧)으로, 그의 수행은 당대(唐代) 그 어느 고승보다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 선사는 살아 있을 때 사문(沙門: 불문에 들어가서 도를 닦는 사람)으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고 답해줬다.어느 날 한 사문이 불혜선사에게 물었다. “선사님, 이 세상에서 다급한 상태가 많겠지만 그중 어느 경지가 가장 시급합니까?”선사는 사문을 지그시 바라보며 답했다. “그것은 눈썹을 태우는 일이다.”<오등회원>에서 전해지는 이 이야기에서 유래한 초미지급(焦眉之急)은 눈썹에 불이 붙은 상태, 즉 아주 화급한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원문은 화소미모(火燒眉毛)지만 그 말이 소미지급(燒眉之急)으로 되고, 그것이 다시 초미지급(焦眉之急)으로 변했다.눈에 보이지 않으면 급함을 모르는 경우도 많지만 눈썹이 타면 바로 눈앞에서 일어나는 일이니 누구나 다급함을 알아챈다는 뜻일 듯싶다.급하거나 위태로움을 나타내는 고사성어는 많다.누란지세(累卵之勢)는 ‘포개어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험하고 다급한 형세를 비유하며 위여누란(危如累卵)으로도 쓴다. 백척간두(百尺竿頭)는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위태로움이 극도에 달함을 이른다. 초미지액(焦眉之厄)은 ‘눈썹이 타는 재액(災厄: 재앙으로 인한 불운)’이라는 뜻으로, 매우 급하게 닥치는 재앙을 가리킨다. 일촉즉발(一觸卽發)은 ‘한 번 닿으면 곧 터진다’는 뜻으로, 조그만 것도 원인이 돼 일이 크게

  • 대학 생글이 통신

    대입 준비, 효율성 추구하되 밀도에 집중하자

    고등학교 때 4개의 동아리에서 활동하면서 다양한 친구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함께 동아리 활동을 하며 가장 놀란 점은, 처음에는 열의를 보이던 친구들이 점점 소홀해지다가 결국 동아리 모임에 나오지 않는 일이 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대학 진학을 위해 경쟁하다 보면 동아리 활동보다 내신 점수를 올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공부에 조금이라도 지장을 주는 활동은 포기하게 되는 일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스스로 선택해 시작한 활동이라면 그게 무엇이든 최선을 다해 알찬 결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추천합니다.그렇게 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은 행동이니, 자기 선택에 책임감 있게 행동하라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최선을 다하라고 강조하는 이유는, 활동에 대충 참여하면 아무것도 남는 게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말하고는 있지만 저도 고등학교 3년 내내 참여한 모든 활동에서 최선을 다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시험공부가 밀려 있을 때는 피상적인 내용만 담은 보고서를 제출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과제를 끝낸 스스로를 자랑스러워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막상 수시 원서를 내기 위해 3년간의 생활기록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알게 된 사실은, 정성을 들이지 않은 과제도 열심히 수행한 과제와 똑같이 세부 특기사항에 적히지만 결과적으로 의미 없는 문장이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오히려 당시에는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생각하며 포기할까 고민했던 활동들이 수시를 준비하는 데 강력한 무기가 되었습니다. 그런 경험을 하고 나니 동아리 활동에 무관심했던 친구들의 생활기록부와 저의 생활기록부에 적혀 있는 내용에는 큰 차이가 없을지 모르겠

  • 영어 이야기

    경제적인 어려움을 느낄땐 'feel the pinch'

    Inflation has hit almost every corner of the real economy in South Korea and the country’s popular summer dessert bingsu is no exception, with its price set to rise about 30% on-year this year.Bingsu, sometimes written bingsoo, is a milk-based Korean-style shaved ice dessert with various sweet toppings like diced fruit, condensed syrup, red beans and ice cream. It is very popular on the peninsula, especially in summer.The retail industry expects that the higher price tags of bingsu will not stop consumers’ love for the ice dessert as some people are willing to luxuriate their life with little things, while cutting back their spending in general after feeling the pinch of inflation.The Korean-style shaved sweet ice dessert has for years been picked as one of the must-eat foods by foreigners traveling to Korea.인플레이션은 한국 실물경제 곳곳에 충격을 줬고, 한국에서 인기있는 여름 디저트 빙수도 예외는 아니다. 올해 빙수 가격은 약 30% 인상될 예정이다.영어로 bingsoo라고도 표기되는 빙수는 간 얼음에 우유를 넣고 그 위에 잘게 썬 과일, 연유, 팥, 아이스크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달콤한 토핑을 얹은 한국식 디저트로, 특히 여름에 인기가 많다.유통업계에서는 빙수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의 빙수 사랑을 막지 못할 것으로 예상한다.인플레이션 충격으로 소비자들은 전반적인 지출을 줄이지만 소소한 것으로 사치를 부리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한국식 빙수는 수년째 한국을 여행하는 외국인들이 꼭 먹어봐야 하는 음식 중 하나로 꼽혔다.해설빙수는 우리나라에서 인기있는 여름 간식이죠. 인플레이션으로 경제 전반에 걸쳐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는데요. 일부 고급 식당에서 올해 빙수 가격을 급격히 올릴 예정이라는 기사의 일부입니다.‘어려움을 느끼다’라는 의미로 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