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주요대 탐구 반영·사탐응시 분석
뉴스1
뉴스1
자연계 학생 중 탐구과목에서 과학탐구(이하 과탐) 두 과목을 선택하는 대신 사회탐구(이하 사탐) 한 과목 또는 두 과목 선택을 고민하는 학생들이 올해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재 모의고사 등의 상황으로 볼 때 4~6등급대 학생들이 많이 고민하는 것으로 보인다. 2026학년도에 대입 재도전을 하는 재수생들도 과탐보다는 사탐 과목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 경우 과탐 두 과목 모두 선택한 학생들도 본인이 선택한 과목에서 응시생 수가 줄어 불리해지지 않을까 고민이 클 것으로 보인다.
[2026학년도 대입 전략] 수능 최저 기준에 사탐 반영하는 대학 많아…자연계 국어·수학 등급 낮으면 '사탐런' 고려를
[2026학년도 대입 전략] 수능 최저 기준에 사탐 반영하는 대학 많아…자연계 국어·수학 등급 낮으면 '사탐런' 고려를
2026학년도에 자연계 학과이지만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에서 사탐도 반영하는 대학들이 많다. 고려대,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서울시립대 등 서울권 주요 대학들은 사탐 과목도 수시 최저 등급으로 반영한다. 등급 확보만 되면 과탐 과목과 동급으로 간주해 불이익이 없다. 이 외에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세종대, 한국외대, 단국대, 아주대, 숙명여대에서도 사탐 과목으로 모두 수시에서 최저 등급으로 인정하고 있다.

서울대는 지역균형전형 간호대,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에서 사탐 과목도 수시 최저 등급으로 인정하고 있다. 연세대는 국제형(국내고) 전형 융합과학공학부, 숭실대는 논술 우수자전형에서 인정한다. 인하대는 의예과를 제외하고는 수시에서 최저 반영 과목으로 지정했다. 국민대의 경우 자연계 학과에서는 과탐을 지정해놓은 상황이다.

현재 과탐에서 4~6등급대 학생 중 수시에서 수능 최저등급 확보가 매우 중요한 학교 내신 상위권 학생들에게는 전략적 판단을 할 수 있는 상황이다.

정시에서는 자연계학과에서 사탐 과목을 인정하지만, 상당수 대학에서는 과탐 과목을 응시한 학생들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기 때문에 다소 복잡한 셈법이 요구된다.

정시에서 자연계 학과이지만 사탐 과목이 인정되면서 불이익도 없는 대학은 서강대, 건국대, 한국외대다. 사탐 과목을 자연계 학과에서 인정하지만 과탐 과목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은 연세대다. 연세대 자연계 학과 내에서도 융합과학공학부, 간호, 식품영양, 실내건축, 의류환경학과 등 5개 학과에서는 불이익이 없다. 고려대·성균관대·한양대·중앙대·경희대·이화여대·서울시립대·동국대·홍익대·숭실대·국민대·숙명여대·세종대·단국대·인하대·아주대 등에서는 과탐 과목에 3%, 크게는 6%까지 가산점을 준다.

서울대학교는 자연계 학과에서 과탐 과목을 지정했다. 그러나 간호대,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에서는 정시에서 사탐 과목도 인정한다. 서울대 자연계 학과에서는 과탐 과목 중 서로 다른 과목 I+II에서는 3점, 서로 다른 과목 II+II에는 가산점 5점을 부여한다.

정시에서 자연계 과탐 과목에 가산점이 부여되더라도 대학별 환산식에 따라 합격 가능성을 계산해볼 때, 연세대는 가산점이 3%가 적용되는 기계공학과의 경우 과탐에서 2등급 이내, 사탐에서 1등급 이내에 들어오면 가산점이 부여되더라도 지원할 수 있다. 과탐에서 5% 가산점이 부여되는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의 경우 과탐에서 2등급, 사탐에서 1등급이면 과탐 가산점이 부여되더라도 극복이 가능하다. 가산점이 3% 반영되는 한양대 기계공학과, 가산점이 5% 반영되는 중앙대 기계공학과도 마찬가지로 과학탐구 2등급, 사회탐구 1등급일 경우 과탐 가산점에 따른 불이익을 극복할 수 있다.

경희대 미래정보디스플레이는 과탐 과목당 4점이 가산되는 방식으로 과탐에서 2등급 또는 3등급, 사탐에서 1등급 안에 진입하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 밖에 가산점이 3% 부여되는 서울시립대·동국대·홍익대·숙명여대·세종대·숭실대(2.5% 가산) 등에서는 사탐 2등급 이내, 단국대·국민대 등에서는 사탐 3등급 이내에 진입할 경우 가산점이 부여되더라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자연계 학생 중 현재 과탐 과목에서 4~6등급대 학생들은 과탐을 통해 2~3등급 이내로 진입할 가능성, 반면 사탐을 통해 2~3등급 이내 진입 가능성을 판단해야 하는 상황이다. 판단은 빠를수록 유리할 수도 있다. 1등급 최상위권 대학에서는 정시에서 당연히 가산점이 부여되기 때문에 과탐이 유리할 수밖에 없는 것은 상식적 판단이다.

따라서 자연계 학생 중 현재 수학, 국어 과목에서 안정적인 2등급 이내로 진입하면서 과탐 과목에서 큰 부담이 없는 학생들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
그러나 국어·수학에서 3·4·5등급 대이고, 탐구 과목에서도 비슷한 상황 또는 그 이하의 상황일 경우 사탐런에 대한 전략적 판단이 필요할 수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