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一葉知秋 (일엽지추)
▶한자풀이
一: 한 일
葉: 잎 엽
知: 알 지
秋: 가을 추


나뭇잎 하나로 가을이 옴을 알다
작은 일을 가지고 올 일을 미리 짐작함
-<회남자(淮南子)>

<회남자(淮南子)는 전한의 회남왕 유안(劉安)이 빈객들을 모아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이다. 모두 21권으로 되어 있으며, <여씨춘추(呂氏春秋)>와 함께 제자백가 중 잡가(雜家)의 대표작이다.

<회남자> 설산훈 편에는 “작은 것으로 큰 것을 밝히고, 나뭇잎 하나 지는 것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알고(一葉知秋), 병 속의 얼음을 보고서 세상이 추워졌음을 알 수 있노라”하는 구절이 있다. 여기에서 유래한 일엽지추(一葉知秋)는 낙엽 하나로 가을이 오는 것을 안다는 뜻으로, 작은 일로 장차 다가올 일을 미리 짐작한다는 말이다. 당나라 시에도 “산의 중은 여러 갑자년을 풀지 못하지만, 나뭇잎 하나가 지는 것으로 가을이 돌아왔음을 안다(山僧不解數甲子 一葉落知天下秋)”는 구절이 나온다.

<논어>에 나오는 일이관지(一以貫之)도 함의가 비슷하다. 공자가 자공에게 물었다. “자공아, 너는 내가 많은 걸 배워서 그걸 안다고 생각하느냐?” 자공이 “당연히 그렇지 않습니까”라고 답하니 공자가 말했다. “아니다. 나는 하나의 이치를 꿰어서 알고 있느니라(一以貫之).” 이는 하나의 이치를 꿰면 나머지는 절로 따라온다는 뜻이다. 흔히 도가 깊은 스님은 방 안에 앉아서도 사계가 바뀌는 것을 안다고 했는데 일엽지추, 일이관지와 뜻이 하나로 이어진다.

통찰은 작은 조짐으로 큰 변화를 읽을 줄 아는 힘이다. 지식과 경험, 사유가 어우러져 통찰력을 키운다. “어리석은 사람은 당해봐도 모르고, 보통 사람은 당하고 나서야 깨닫고, 현명한 사람은 당해보지 않고도 깨닫는다”는 말이 있는데, 이 또한 통찰의 힘을 이르는 말이다. 내공(內功)이 깊다는 것은 작은 조짐이나 기미를 보고서 다가올 변화를 미리 알아챈다는 뜻이다.

신동열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신동열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우리가 배우고 익히는 것은 결국 통찰의 촉을 날카롭게 가는 훈련인 셈이다. 배움에 게으르면 통찰의 촉도 둔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