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수 변화에 따른 2026학년도 대입 분석
2026학년도 고3 학생 수는 45만3812명이다. 직전 연도에 비해 4만7733명, 11.8%가 늘어난 수치다. 소위 2007년생인 황금 돼지띠의 해에 태어난 학생들이 금년도 고3 학생이 된다. 통합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이후 가장 많다.

학생 수가 늘어 2026학년도 대학입시는 치열한 경쟁과 함께 합격 점수도 올라갈 것이라고 쉽게 전망할 수 있다. 수험생들은 다소 불안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경쟁률이 줄고 합격 점수가 낮아질 수도 있다.
[2025학년도 대입 전략] 올해 고3 학생수, 12% 늘어 45만3812명…경쟁률·합격선, N수생 변수따라 크게 달라질 듯
2022학년도 44만6573명, 2023학년도 43만1118명, 2024학년도 39만4940명으로 고3 학생 수는 연속 감소해왔다. 2022학년도와 2024학년도 두 개 연도만 놓고 비교할 때 학생 수는 5만1633명으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학생 수가 큰 폭으로 줄어 당연히 입시 경쟁이 완화되고, 합격 점수도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2022학년도부터 2024학년도까지 대학에서 공식 발표하는 대학알리미 합격 점수는 이러한 학생 수 변화에 따른 예상과 다르게 나타났다.

대학알리미 발표 기준으로 서울권 인문계 정시 합격 평균 점수는 국수탐 백분위 평균 점수 기준 2022학년도 84.2점, 2023학년도 86.8점, 2024학년도 87.1점으로 상승했다. 2024학년도는 2022학년도에 비해 무려 2.9점 상승했다. 학생 수가 5만1633명이나 줄었음에도 합격 점수는 크게 상승한 것이다.

서울권 자연계 정시 합격 점수도 2022학년도 86.1점, 2023학년도 88.3점, 2024학년도 89.3점으로 점수가 해마다 올랐다. 2024학년도와 2022학년도 비교 시 3.2점이나 오히려 상승했다.

수시 학교 내신 합격 점수는 학생부 교과전형 기준으로 인문계는 2022학년도 2.45등급, 2023학년도 2.34등급, 2024학년도 2.57등급으로 합격선이 다소 불규칙하고, 2024학년도는 2022학년도 합격 점수에 비해 0.12등급 정도 떨어지는 것에 불과했다.

자연계는 2022학년도 2.22등급, 2023학년도 2.15등급, 2024학년도 2.13등급으로 학생 수 감소와 무관하게 합격 점수는 오히려 상승했다.

학생부 종합전형의 경우에도 인문계는 2022학년도 3.11등급, 2023학년도 3.00등급, 2024학년도 3.08등급이었고, 자연계는 2022학년도 2.76등급, 2023학년도 2.64등급, 2024학년도 2.83등급으로 다소 불규칙적이었으며, 점수의 변동 폭 또한 그다지 크지 않았다.

따라서 2026학년도 고3 학생 수가 늘었다고 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합격선이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은 섣불리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매년 대학입시는 수시에서 지원 패턴의 변화, 수능 고득점 학생들이 얼마만큼 뽑혀서 나갔느냐, 재수생이 얼마만큼 들어오느냐, 재수생 중에서도 수능 고득점 학생들이 들어오느냐, 아니면 반대로 수능 점수가 낮은 학생들이 들어오느냐 등 예측할 수 없는 변수가 많다.

재수생이 늘었다고 고3 학생들이 크게 불리할 것이라는 전망도 할 수 없다. 현재 수시에서 고3 수능 고득점 학생들이 대거 합격하는 추세다. 재수생이 늘었다고 해서 상위권이 많이 들어왔다고 볼 수 없는 상황이다. 오히려 하위권 재수생들이 많이 들어와 기대 이상의 고득점으로 연결되는 고3 학생도 많을 수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
고3 학생이 많아진 점 또한 단순하게 경쟁 관계 구도로만 해석할 수 없다. 수능에 좀 더 집중하면 예전보다 더 수능 등급 확보가 용이하고 고득점으로 이어질 기회가 될 수도 있다.

2026학년도 대학입시는 지금부터 얼마만큼 노력을 하느냐에 따라 예전과 다르게 점수 상승을 기대할 수도 있는 입시 환경으로 해석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