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12) 고리대금업과 경제
대부업자 '샤일록'은 악인이었을까 중세 종교적 이유로 고리대금업 탄압 돈 흐름 끊어져 시민 봉기 일어나기도 "너는 그에게 이자를 위하여 돈을 꾸어주지 말고 이익을 위하여 네 양식을 꾸어주지 말라."(구약 레위기 25:37) "오 믿는 자여,두 배 또 두 배로 지나치게 탐욕을 부리지 말라."(코란 3:130)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주라."(신약 누가 6:35) 고리대금업(usury)에 대해서는 어느 종교,어느 문명권도 관대하지 않...
-
경제 기타
(4) 현금영수증제도
현금영수증제도는 세계적 '명품' 선진국 · IMF "우리도 벤치마킹" 호랑이도 무서워 한다는게 세금이라는 얘기가 있다. 오랜 역사에서 생겨난 세금의 이름을 살펴보면 충분히 그럴만도 하다. 오줌세 수염세 같은 우스꽝 스러운 세금이 생겼다가 원성과 함께 자취를 감춘적이 더러 있기 때문이다. 1세기때 로마 베스파시아누스황제는 섬유업자에게 오줌세를 매겼다. 섬유업을 하는 사람들이 공중변소에서 수거한 오줌으로 양털의 기름기를 제거했다는게 그 ...
-
경제 기타
립싱크 금지법 타당한가요.
찬 “입만 벙긋 거리고 큰 돈챙기는 건 잘못 반 “자칫 한류 붐에 찬물 끼얹을 수도 있어” 최근 각종 오디션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있는 가운데 가수들의 립싱크(녹음된 노래를 실제 노래 하듯이 입모양만 따라하는 것)및 핸드싱크 (녹음된 연주를 실제 연주하듯이 보여주는 것)를 금지하는 내용의 립싱크 금지법이 발의돼 논란이일고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명수 자유선 진당의원은 “돈을 내고 보는 공연에서 사전고지 없이 립싱크를 하는것은 관...
-
경제 기타
인종차별,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IQ 168의 바보 혹은 천재! 자신이 테러리스트가 아니라는 사실을 밝히기 위해 미국 대통령을 찾아간 한 남자를 아는가? 이 남자는 최근까지 상영되며 큰 인기를 얻었던 인도의 팩션 (Faction) 영화 '내 이름은 칸'의 주인공이다. 인도에 살던 칸은 어머니의 죽음 후 동생이 있는 미국으로 떠난다. 그곳에서 그는 아름다운 여성과 결혼해 행복하게 살던 중 9 · 11테러가 발생한다. 그 이후 사람들의 비난이 시작되고 아들이 죽는 사고까지...
-
경제 기타
'스승의날' 교육현장에서는…
올해로 제30회 스승의 날을 맞이했다. 이 날은 1963년 청소년적십자사 중앙학생협의회에서 5월24일을 '은사의 날'로 정해 기념하는데에서 유래했다. 전국에서는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는 갖가지 행사들이 열렸다. 노래를 부르고 편지를 낭독하는 등 평소에 느낀 고마움을 스승에게 표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러나 이와 대조될 만한 결과가 한국교총(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을 통해 나왔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의 절반 이상이 최근 1~2년 사이...
-
경제 기타
한류문화 전도사 어린이들의 대통령 '뽀로로'!
어린이들은 만화를 즐겨보고,개념을 형성해 가는 동안 무엇보다도 자신이 좋아하는 만화의 주인공 캐릭터에 관심을 갖는다. 요즘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캐릭터는 바로 뽀로로,일명 뽀통령이라고 불리는 귀여운 펭귄 캐릭터이다. 뽀로로는 아이코닉스가 기획하고 오콘,SK브로드밴드,EBS가 공동제작한 3D 애니메이션이다. EBS 방송당시 평균 시청률 5%를 기록하였고 출판 및 완구,DVD 시장에서 뽀로로 돌풍을 일으켰다. 우리나라에서 많은 사랑을 ...
-
경제 기타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은 어떤 기준으로 투자할까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은 어떤 기준으로 투자할까 ☞ MSCI와 FTSE지수 흔히 증권시장(증시)은 자본주의의 꽃이라고 한다. 소유(투자자)와 경영(경영인)을 분리함으로써 자본주의 발전을 이끈 거대 기업(주식회사)이 탄생할 수 있는 기초가 됐기 때문일 것이다. 주가 지수는 증시의 현 수준을 나타내는 바로미터(나침반)다. 증시에서 주권(주식회사의 소유권을나타내는 증서)이 거래되는 기업(상장사)들의 전반적인 주식가격(주가) 움직임을보여준다. ...
-
커버스토리
아시아 넘어 세계로…한국 대중문화 '눈부신 성장'
1960년대까지만 해도 트로트를 제외하고는 순수하게 국내에서 작곡된 노래가 별로 없었다. 미국 팝송이 유행했으며 외국 노래에 우리말 가사를 붙인 번안가요가 인기를 끌었다. 우리나라 가요의 수출은 꿈도 못 꿨다. 영화도 마찬가지다. 국산 영화는 재미없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었다. 대중들은 할리우드 영화에 열광했다. 1980년대 홍콩 영화 전성기 때는 '같은 아시아에서도 영화를 저렇게 잘 만들 수 있구나'라고 감탄만 했다. 홍콩 배우 주윤발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