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잃어버린 10년' 제조업서 회생돌파구

    일본은 전통적으로 제조업이 강한 나라다.장기 불황 속에서도 제조업만은 세계 최강의 경쟁력을 잃지 않았다.아니,어쩌면 불황 속에서 더 강해졌다고 해야할 지도 모르겠다.일본 경제가 부활하면서 10년 불황을 이겨낸 '일본식 경영'의 힘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일본 기업의 저변에 깔려 있는 고유의 DNA(유전자)말이다. ◆노사 합의로 위기 돌파 일본 최대 철강회사인 신일본제철.1987년 6만명에 달하던 직원이 엔(円)고 여파와 1990년대 장기불황을...

  • 커버스토리

    '모노츠쿠리' '히토즈쿠리'

    일본 경제의 부활을 취재하면서 자주 들었던 말이 있다. 바로 모노즈쿠리(物作い,물건 만들기)와 히토즈쿠리(人作い,사람 만들기)다. 둘은 동전의 양면이자 일본 경제 부활의 비결을 엿볼 수 있는 열쇠 말(키워드)이기도 하다. 모노즈쿠리는 단순히 물건을 만드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물건 만드는 것을 천직으로 여기고 제품에 자신의 혼을 불어넣는다는 일본 특유의 제조업 마인드다. 오사카에 있는 소규모 부품업체 히가시다기공.삼대째 이 공장을 경영...

  • 커버스토리

    이슬람 왜 후진사회가 됐나

    마호메트 풍자만화 파문,이란 핵문제,무장 정치단체인 하마스의 팔레스타인 총선 승리…. 올해 초 세계인의 눈과 귀를 집중시킨 이 사건들의 공통점은 뭘까. 바로 '이슬람'이다. 마호메트는 이슬람교의 창시자다. 이란은 이슬람의 전통에 따라 신정(神政)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다. 하마스는 이슬람 원리주의를 따르는 과격 단체다. 기독교와 이슬람 간 문명 충돌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최근엔 이란 강경 보수파의 종교지도자가 사상 처...

  • 커버스토리

    소수 종교지도자가 의사결정

    21세기 들어 이슬람이 국제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2001년 9·11 테러를 주도한 알 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과 그의 추종자들을 잡기 위해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을 공격했다. 그 결과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탈레반 정권은 붕괴됐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9·11 테러가 발생한 다음 해인 2002년 1월 북한 이란 이라크 등 3개국을 '악의 축'으로 지목했다. 북한을 빼면 이라크와 이란은 대표적인 이슬람 국가들이다....

  • 커버스토리

    갈수록 원리주의에 빠져

    이슬람 문명은 탄생 초기만 해도 매우 개방적이며 유연한 체제였다. 기독교나 유대교와 달리 다른 종교에 대해서도 관대했고 각 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다양하게 인정했다. 교황이 지배하고 기독교가 사회 전반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중세 유럽사회와 비교하면 이슬람은 열린 '자유 사회'였다. 그 결과 이슬람 문명은 급속도로 퍼져나갔고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위용은 유럽 전체를 압도했다. 하지만 이슬람은 거기서 멈춰버렸다. 서유럽 사회가 르네상스...

  • 커버스토리

    '이슬람=아랍' 아니다

    '이슬람,아랍,중동….'이 말들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슬람과 아랍을 동일시하는 잘못을 저지르기 쉽다. 이슬람은 종교적 범위를 일컫는 말로 전 세계 15억명의 무슬림(이슬람교도)들이 살고 있는 문화권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아랍은 종족적 개념이다. 아랍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면서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일부다처제,여성 할례,근친 결혼 등이 대표적인 아랍권의 유습이다. 전체 이슬람 세계에서 아랍이 차지하는 비중...

  • 커버스토리

    세금,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나

    정부가 비과세나 감면 규정 등 으로 누더기가 된 세제를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세금문제를 건드리지 말라"는 여당의 반발에 밀려 정부는 세법개정 논의 시기를 하반기 이후로 미뤄놓았지만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선거 때마다 단골 메뉴로 도입된 각종 선심성 세금 감면 덕분에 우리나라 세법은 '세무사를 위한 법'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복잡해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정 소득에 세금을 물리지 않는 비과세나 세금을...

  • 커버스토리

    "세금 = 필요惡"

    세금은 '필요악(必要惡)'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정부가 교육이나 치안 등의 공공재를 공급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세금을 거둬야 하지만,세금을 내는 입장에서는 어떻든 소득이 줄어들기 때문에 우선 이를 환영할 이유가 없다. 또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크기 때문에 세금은 언제나 논란이 큰 국가적 의사결정의 하나다. '세금의 나쁜 결과'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그저 "정부가 내 돈을 강제로 거두어가기 때문에 나쁜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