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그린북' 통해 현재 경기상황 파악
통계청이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각종 경제지표 외에도 경기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재정경제부가 매달 발간하는 '그린북(Green Book)'을 살펴보는 방법이다. 그린북의 공식 명칭은 '최근 경제동향'이지만 그린북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책 표지가 녹색으로 돼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제동향 보고서를 표지 색깔을 따 '베이지북(Beige Book)'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이유다. 그린북이 담고 있는 경제동향은 크게 해외경제와 국내경...
-
커버스토리
동북공정 '북한 땅'이 더 문제다
2003년 한국 역사계를 뜨겁게 달궜던 '동북공정(東北工程) 논란'이 3년이 지난 2006년 다시 점화됐다. 중국이 2002년 5월에 시작된 동북공정 결과물들을 최근 다시 공개했기 때문이다. 동북공정이란 중국 학계가 동원돼 벌이고 있는 중국 동북지역의 역사 재조명 작업을 뜻하는 말. 고구려 등 고대 한국의 영토 중 일부분이 현재 중국에 속해 있으므로 고구려,발해의 역사는 중국의 역사라는 주장이 동북공정의 핵심이다. 2004년 당시 한국과 중국...
-
커버스토리
중국이 집요한 이유는 뭔가‥북한까지 자기 땅으로 편입?
지난 13일 오후 1시 서울 종묘공원에서 시민 2000여명이 모여 '중국 동북공정 저지 범국민대회'를 열었다. 국학운동시민연합,국학원,우리역사바로알기시민연대,세계국학원 청년단,홍익교사협의회 등의 단체 소속 회원들이 주축이었다. 이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지난 10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노무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원자바오 총리가 중국의 동북공정을 2004년과 마찬가지로 다시 학술단체의 사안으로 돌린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하고 한국 정부의 ...
-
커버스토리
북한 무너지면 중국이 들어온다‥고구려의 악몽이여!
서기 666년,연개소문이 죽자 고구려는 일대 혼란에 빠진다. 개소문의 유언에 따라 장자 '남생'이 막리지가 되었으나 '남건'과 '남산' 두 아우는 형을 불신하고 배척한다. 남건은 형이 국정파악을 위해 외곽 성을 순시할 때 기회를 잡아 평양을 장악하고 형을 공격한다. 남생은 아들 '헌성'을 당나라에 보내 구원을 요청한 뒤 아예 당에 투항해버린다. 그로부터 석 달 뒤 당은 대규모의 군사로 요동정벌을 강행한다. 투항한 적국의 실권자로부터 필...
-
커버스토리
경제가 발전해야 환경도 깨끗해진다
"인간은 공기를 오염시키고 하천과 바다를 더럽히고 있다. 산림도 사라지고 있다. 수많은 동·식물이 멸종되고 천연자원은 곧 바닥을 드러낼 것이다.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고 있으나 식량 생산은 한계에 이르렀다. 극지방의 빙하가 녹고 이상기후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환경 파괴를 멈추지 않으면 인류는 종말을 맞을 것이다." 우리가 익히 들어온 환경보호론자들의 주장이다. 신문·TV나 환경·재난영화를 통해 이런 주장을 너무나 많이 듣고...
-
커버스토리
환경 나빠졌다는데 수명은 어떻게 늘어났지?
'회의적 환경주의자'는 1067쪽이나 되는 방대한 책이다. 각주 290쪽(2930여개)에 참고문헌이 1800여개에 달한다. 책 두께만 봐도 질릴 만한 이 책의 통계적 증거와 주장을 생글생글 지면에 전부 전달할 수는 없다.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했다. ◆인간은 행복해지고 있다 환경보호론자들은 경제성장(개발)으로 인류가 멸망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거꾸로 인류의 삶은 나아지고 있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인간의 평균 수명은 지난 ...
-
커버스토리
"성장론 공격하려다 좌파 환경론 허구 깨달아"
통계학자인 비외른 롬보르가 '회의적 환경주의자'란 책을 쓰게 된 계기는 매우 역설적이다. 당초 롬보르 자신도 그린피스의 일원이었고 환경을 등한시하는 성장론자들을 공격하기 위해 각종 환경관련 통계 자료를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연구가 거듭될수록 성장론자들의 주장이 맞다는 것을 알게 됐다. 당연히 책의 내용은 애초의 연구목적과는 정반대로 좌파 환경 보호론자들을 공격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사이먼과 엘릭의 내기 1972년 세계적 미래연구...
-
커버스토리
탈북자 1만명 눈앞
지난 8월22일 저녁 태국 방콕. 탈북자 175명이 숨어있던 한 2층 주택에 현지 경찰들이 들이닥쳤다. 경찰이 도착한 시간은 저녁 6시께,탈북자들이 모두 집 밖으로 끌려나온 것은 9시가 넘어서였다. 북한으로 강제 압송될 것으로 생각한 탈북자들은 경찰들과 대치해 3시간 동안 격렬하게 저항했다. '탈북자 1만명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수는 1990년대 초 만 해도 연간 10여명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누적으로 9000명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