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권력유지위해 개혁거부… 결국 한탕주의 노선밖에
주민들 굶어 죽는데 정권 유지에만 급급…역사에 남을 우화 중국 베트남 등 대부분 사회주의 국가들이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하면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데 왜 북한은 개혁 · 개방을 하지 않고 있을까. 이는 한마디로 북한 정권이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 위험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사회주의 국가들이 시장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면 모두 초창기 지도자가 물러난 후 추진하거나 체제 전환 과정에서 국가 지배 체제가 붕괴되는 ...
-
커버스토리
"사회주의는 반드시 망한다"…하이에크의 계획경제 붕괴 예언
"인간은 완전한 지식을 가질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가지고 있다고 자만한다. 이런 자만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는 역사가 또렷하게 보여준다. 사회주의의 몰락,복지국가의 몰락은 자만의 단적인 증거다. " 민경국 강원대 교수는 사회주의,공산주의가 기초로 하는 이성에 대한 광신이 자만과 독선으로 이어지고,이는 결국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를 가져왔다고 지적한다. (인간 이성의 문제는 조금 어려운 철학적 얘기지만 북한이 왜 저런 열악한 국가가 ...
-
커버스토리
⑭ 정확한 논리적 연결어를 사용하라
이메일이 하루에 30여통 정도씩 밀려들어오고 있습니다. 논술에 대한 갈증이 이렇게 심했었나요? 제때제때 친절하고 꼼꼼하게 첨삭을 해드리지 못하는 것이 너무 죄송하네요. 대신 문제에 대한 제시문 해설과 문제풀이,예시답안이 담겨 있는 파일을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보내준 학생들의 성의를 봐서라도 빠뜨리지 않고 모두 읽고 있으니 앞으로도 계속 보내주세요. 그리고 글을 보내주실 때는 메일에 직접 내용을 적어주세요. 한글 파일로 보내주시면 일일...
-
커버스토리
글쓰기가 경쟁력이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Warren Buffet)은 2005년 '전미 가족대학 작문위원회'로부터 희한한 상을 받았다. 그 상은 다름아닌 작문상.연초에 주주들에게 보내는 연례보고서가 그 대상이었다. 들은 수상 이유로 복잡한 경제적 상황과 버핏의 아이디어를 가장 적절한 단어로 단순명료하고 쉽게 설명한 점을 들었다. 그의 글은 이처럼 훌륭해 제너럴일렉트릭(GE) 최고경영자(CEO)인 이멜트가 글쓰기에 대한 자문을 요청했으며 구글은 이 보고서를 ...
-
커버스토리
생각하는 힘 키워주는 글쓰기가 '知力의 원천'
글쓰기는 생각하는 순서를 익히는 작업이다.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제대로 전달하려면 올바른 순서가 필요하다. 문장이 뒤죽박죽되고 논리가 없으면 글이 아니다. 논술은 특히 더 그러하다. 귀납적이고 연역적인 방식으로 추리를 하고 논증을 해야 한다. 전체가 짜임새가 있어야 하며 문법에 맞고 오탈자도 물론 없어야 한다. 그래서 글쓰기가 어렵고 논술이 어렵다. 국내 주요 대학들이 대학 수시 입시에서 논술을 중시하는 것도 다 이유가 있다. ...
-
커버스토리
논술 안하고 대학 간다고???
대입 정원의 60% 뽑는 수시, 논술이 '키워드' 연 · 고대 등 논술전형 선발인원 작년보다 늘어 2011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논술 비중이 지난해에 비해 더욱 커졌다. 수시 모집에서는 논술, 정시 모집은 수능이라는 기조가 더욱 강화된 것이다. 올해 대입선발 인원은 총 38만여명으로 수시에서 약 23만명(60%),정시에서 15만명 가량을 선발하게 된다. 지난해 57%에서 올해 3%가 늘어난 수치이다. 33개 개학이 대학별 고사의 하나로...
-
커버스토리
⑬ 논술은 답을 먼저 찾고, 글을 쓰기 시작해야
하루에 들어오는 이메일의 양이 점점 늘고 있네요. 하지만 의외로 아직 논술을 제대로 접해보지 못한 학생들이 많은 것을 보고 조금 놀라고 있습니다. 기초수준의 문제유형이 다 끝나면 점차 복잡하게 만들어진 기출문제를 가지고 풀 예정이니,그때까지 어느 정도 기반은 닦여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지면 관계상 해설을 길게 하지 못하므로,242호에 실린 <2008학년도 숙명여대 모의논술 문제>의 예시답안만 말씀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커버스토리
139. 띄어쓰기 : 의존명사와 접미사의 구별
접미사,조사,의존명사 넘나드는 '들' 띄어쓰기를 공략하기 위해서는 문장 안에서 어떤 말이 접미사로 쓰였는지 의존명사로 쓰였는지를 구별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접미사일 때는 붙여 쓰고 의존명사일 때는 띄어 써야 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복수(複數)임을 나타내는 말 '들'은 접미사로도,의존명사로도,조사로도 쓰이기 때문에 헷갈리기 십상이다. 가)쌀,보리,콩,조,기장 들(등)을 오곡(五穀)이라 한다. 나)이 회사가 지난 10일 개최한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