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미국이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보는 이유는?
중국에 들어온 풍부한 달러를 무제한 사들여 위안화 가치 낮게 유지 "중국은 내부적으로 거품 덩어리가 있는 과열 경제이므로 통화절상 정책이 이익이 된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 "위안화를 절상하지 않을 경우 중국을 환율조작국에 지정할 수 있다"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 "(중국을 환율조작국에 포함시킬 경우) 미국 국채 보유를 줄이고 대중 수출에 보복을 가하겠다" (왕치산 중국 부총리) 미국과 중국이 위안화 절상을 놓고 거의 경제전쟁에 돌...
-
커버스토리
중국이 환율 자유화(위안화 절상)하면 자연스럽게 세계무역 불균형 해소
中, 위안화 가치 인위적으로 낮춰 美 무역적자 커져 최근 세계 금융시장의 화두는 단연 중국의 '위안화 절상'이다. 중국이 미국과 더불어 G2(주요 2개국)란 칭호까지 얻으며 글로벌 패권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두 나라는 달러와 위안화 간 환율 조정을 둘러싸고 첨예한 갈등을 지속하고 있다. 환율이 뭐기에 두 강대국이 이렇게 으르렁거리는 걸까. 환율제도는 어떻게 바뀌어 왔고 왜 미국은 중국에 계속 위안화 가치를 절상할 것을 요구하고 있을까....
-
커버스토리
낙태논쟁 뒤엔 인구의 경제학이…
미국에서 낙태허용 논란은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상징적 잣대이자 대통령선거를 판가름하는 핵심쟁점이다. 민주당은 낙태를 옹호하고 공화당은 반대하는 것이 전통이다. 2007년 대선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민주당의 낙태지지 강령 때문에 아슬아슬한 고비를 넘겼다. 재미있는 것은 공화당내에서도 낙태문제가 중도와 정통을 가르는 이슈라는 점이다. 루돌프 줄리아니 당시 뉴욕 시장은 예비선거에서 선두를 달렸지만, 일찌감치 대통령의 꿈을...
-
커버스토리
낙태를 둘러싼 성(聖)과 속(俗)의 '기나긴 전쟁'
"기독교의 생명 윤리 위배" vs "사회·경제적 불가피" 인구폭발 산아제한… 저출산 낙태금지… 시대따라 변해 ⊙ 그리스로마와 기독교 동방박사에게서 유대인의 왕이 태어났다는 정보를 얻은 헤로데왕은 아기예수를 제거하기 위해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두 살 이하 남자 아이들을 모조리 죽이라고 명령한다. 마태오 복음서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이 전승은 역사적 사실 여부를 떠나 적어도 당시 로마에서 행해지던 영아살해(infanticide) 관습을 충실히 ...
-
커버스토리
"여자는 아이 낳는 노예 아니다 - 출산 거부가 여성해방"
여성의 선택권이라고 주장한 '보부아르' 여자가 생리적인 운명을 완전히 성취하는 것은 모성에 의해서이다. 여자의 모든 기능은 종(種)의 존속으로 그 방향이 정해져 있으므로,여자의 '자연적' 천직은 바로 거기에 있다. 그러나 인간 사회는 결코 자연에 맡겨진 것이 아니다. 그리고 특히 약 1세기 전부터 산아(産兒)는 단순히 생물학적 우연에 지배되지 않고,의지에 의해 통제돼 왔다. 조심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자가 '걸렸을' 때는 남녀가 다 같...
-
커버스토리
스타…? 함부로 따라하지 마세요!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귀에 익숙한 동요가 말해주듯이 우리 사회는 지금 뭇사람의 시선과 환호를 한몸에 받는 이른바 스타 열풍에 휩싸여 있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이런 스타신드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TV에는 연예프로그램이 넘쳐나고, 신문과 온라인 미디어는 연예가 소식을 앞머리에 올린다. 특히 자라나는 청소년들은 유명 연예인과 프로선수에게 열광한다. 스타의 브로마이드사진을 걸어놓고 스타의 행동을 베끼...
-
커버스토리
스타보다 성실한 보통사람이 성공 가능성 더 높다
대박 스타 꿈꾸다 진정한 기회 놓쳐 김연아와 같은 스포츠 스타든,소녀시대와 같은 연예인 스타든 스타는 화려하다. 빛이 난다.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다. 그렇게 밤하늘의 별과 같아서 '스타'라고 한다. 그러나 스타가 되기까지 길은 험난하다. 스타가 되고 나서도 인기가 떨어질까봐 전전긍긍한다. 팬들의 주목을 받지 못해 다른 길을 선택해야 할 때는 뭘해야 할지 막막하다.나락으로 떨어진 기분이 든다고 한다. 별은 밤하늘에서는 영롱하게 빛나지만 해...
-
커버스토리
스타 '신기루' 좇지 마라… 노력한 만큼 확실히 얻을 수 있는 길이 공부다
▶ 한순구 교수가 전하는 경제학적 進路 멘토링 세계적인 스포츠 스타나 유명 가수,또는 화려한 배우가 되고 싶은 꿈을 꾸어보지 않은 청소년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가 운동선수나 가수,배우가 되겠다고 하면 대뜸 “정신 차리고 공부나 하라!”고 혼을 내며 자녀의 꿈을 무참히 짓밟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이다. 심지어 학업성적이 떨어지는 반면 스포츠나 노래,연기 등에 재능이 있는 자녀를 가진 부모들도 천편일률적으로 공부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