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군주론의 재조명…21세기 리더십은?

    '군주는 배신도 해야 하고,때로는 잔인해져야 한다. 달라진 운명과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는 임기응변도 필요하다. 할 수 있다면 착해져라.하지만 필요할 땐 주저없이 사악해져라. 군주의 가장 큰 임무는 나라를 지키고 번영시키는 것이다. 이런 목적만 완성되면 무슨 짓을 했던 위대한 군주로 칭송받는다. ' 이탈리아의 통일과 번영을 꿈꾸며 새로운 정치사상을 설파한 니콜로 마키아벨리(1469~1527)가 쓴 '군주론'의 골자다. '군주론'이 출간...

  • 커버스토리

    군림서 소통으로... 리더십의 進化

    리더십(leadership)의 사전적 의미는 '무리를 다스리거나 이끌어가는 지도자의 능력'이다. 우리말로는 지도력,통솔력 정도로 해석된다.어느 국가,어느 시대나 변화와 개혁은 리더십이 있는 몇몇 인물이 주도했다. 때로는 권위적 리더십이 세상을 바꿨고,때로는 섬김의 리더십이 변화를 이끌었다.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능력도 시대상황이나 경제상황에 따라 달랐다. 리더십에도 일종의 패러다임이 있는 셈이다.패러다임(paradigm)은 미국의 과학사학...

  • 커버스토리

    정치인은 왜 자기 주머니만 채울까?

    '톰 소여의 모험'을 쓴 미국의 유명한 소설가 마크 트웨인은 정치가들을 빗대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나 오늘 정말 놀라운 장면을 하나 목격했어. 글쎄 정치가가 양손을 자기 바지 주머니에 넣고 있는 거야.” 정치인들이란 늘 남의 바지 주머니,그러니까 공공의 재산을 슬쩍한다는 걸 조롱한 것이다. 마크 트웨인의 말처럼 국민의 대표여야 할 정치인들은 종종 국민의 이익을 위해 일하기 보다는 자기 바지 주머니를 채우기에 바쁜 게 현실이다.왜 정치인...

  • 커버스토리

    대입 논술 5계명과 10大 이슈

    대입 수시 원서 접수가 시작됐다. 논술에 승부를 거는 학생들은 막바지 준비에 여념이 없다. 논술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풀어쓰는 힘겨운 작업이다. 짧은 시간 안에 실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긴 어렵다. 하지만 남은 시간을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그간 쌓은 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학생들의 논술 실력 향상을 위해 노력해온 생글 생글은 막바지 논술 준비에 도움을 주기위해 대학 교수와 고등학교 선생님들의 조언을 얻어 논술 전략 5...

  • 커버스토리

    첨삭받아 약점보완··· 시간 배분··· "이젠 실전 훈련"

    대입 논술 5계명 논술은 막판에 몰아치기 공부로 성적이 크게 올라가지는 않는다. 평소에 미리 준비해야 당황하지 않는다.또한 현실적으로 학생들의 입장에서 논술에만 올인하는 것도 부담스럽다. 하지만 논술시험이 눈앞에 다가온 시점에서 몇가지를 염두해 두면 효율을 높일수 있다. 논술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막판 준비포인트를 정리한다. 1.항상 예외를 염두해둬라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 기출이나 모의 문제는 그 자체로 하나의 가...

  • 커버스토리

    공정사회··· 포퓰리즘 ··· 청년실업 ··· 생글 커버스토리 '열독'

    대입 논술고사는 상위권 대학이나 중하위권 대학이나 모두 시사 주제가 적지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국내외 이슈들을 꼼꼼히 챙기는 것이 시험에서 낯선 주제를 받아들었을 때의 당혹감을 피하는 최선의 길일 것이다. 논술전문학원인 S·논술의 도움을 받아 올해 논술고사에 나올만한 10대 주제를 골라봤다. 아래의 주제들은 이미 생글생글의 커버스토리로도 자주 다뤄졌던 만큼 지난호들을 참고하면서 공부해도 좋을 것이다. 물론 이런 시사외에...

  • 커버스토리

    IT권력 지도가 바뀐다

    요즘 정보기술(IT) 업계 사람들은 "졸면 죽는다"는 말을 많이 한다. "정상에 도달했을 때 위기는 이미 시작됐다"는 말도 많이 한다. 잘나가던 기업이 하루 아침에 벼랑 끝으로 내몰리기도 하고,이름 없는 기업이 어느 날 갑자기 세계적인 스타로 뜨기도 한다. 세계 IT 업계의 현재 모습이다. 헤게모니 시프트,쉽게 말해 주도기업이 바뀌고 있다. 세계 IT 시장의 지도는 왜 바뀔까. 주도하는 기업은 누구에서 누구로 바뀌고 있을까. 세상은 지...

  • 커버스토리

    쇠락하는 HW 명가들...소프트가 하드를 지배하다

    아이폰 등장과 함께 시작된 '모바일 혁명'은 소프트웨어(SW)가 얼마나 중요한지 여실히 보여줬다. 소프트웨어 기술력이 강한 기업이 주도권을 잡고 하드웨어(HW)에 주력해온 기업들은 줄줄이 위기에 빠졌다. 세계 최대 휴대폰 메이커인 노키아가 벼랑 끝으로 몰렸고,미국 통신업계의 자존심이라고 하는 모토로라는 구글에 팔렸다.휴렛팩커드(HP)는 PC 사업에서 손을 떼기로 했다. 한 마디로 말하면 하드웨어 시대에서 소프트웨어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