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키워드 시사경제
'매수 일색' 증권사 보고서, 믿어도 될까요
2차전지 양극재 업체인 에코프로비엠은 올 들어 증시에서 가장 뜨거웠던 종목 중 하나다. 올초 9만3400원이던 주가가 4월 한때 31만5500원까지 폭등하면서 코스닥 시가총액 1위까지 올랐다. 에코프로비엠의 지주회사인 에코프로도 시총 2위 자리를 꿰찼다. 2차전지산업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이긴 하지만, 단기간에 주가가 과열돼 ‘묻지마 투자’가 몰린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지난 3일 한 증권사가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투자의견 ‘매도’를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유진투자증권은 이날 에코프로비엠 종목 보고서에서 “현재 주가는 2030년까지 예상 성장을 반영한 상태”라며 “검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서가 주목받은 까닭은 국내 증권사가 특정 종목에 매도 의견을 내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리서치 전문가가 제시하는 투자 조언증권사들은 증시에 상장된 주요 기업의 투자가치를 판단해 나름의 의견을 내놓고 있다. 주식 투자자는 이들 투자의견을 참조해 의사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증권사들이 매일 아침 쏟아내는 분석 보고서를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증권사에 따라 세부적인 단계 구분은 조금씩 다르지만 투자의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이 종목은 살 만하다”고 권하는 ‘매수’와 “이 종목은 파는 게 낫다”고 조언하는 ‘매도’다. 매수와 매도의 중간으로 ‘중립’이라는 의견도 있다.그런데 국내 증권사의 투자의견은 상승장에서든 하락장에서든 매수 일색이어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을 자주 받는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주요 증권사 32곳 중 28곳은 매도 의견을 한
-
경제 기타
역사 속 금 이야기
제62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스토리에선 금의 역사를 다뤘습니다. 금을 향한 인간의 욕망과 도전이 역사의 궤적을 어떻게 바꿔 놨는지 일러스트를 곁들여 재미있게 이야기했습니다. 금과 관련된 속담과 격언도 살펴봤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남다른 포부로 세계적인 전자상거래 기업을 일군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의 삶을 소개했습니다. 주니어 생글 기자들은 스승의 날을 앞두고 주변의 고마운 선생님을 인터뷰해 기사를 작성했습니다.
-
경제 기타
주가 수익·손실 2.5배로 커지는 파생상품이죠
금융위원회가 차액결제거래(CFD) 제도 개선에 나선다. CFD는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도 증권사를 통해 레버리지 투자(빚투)를 할 수 있는 장외파생상품이다. 금융위 등은 최근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發) 무더기 주가 폭락 사태와 관련, 이른바 ‘작전 세력’이 CFD를 악용해 주가 조작 거래 등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략)금융위는 우선 종목별 CFD 잔액을 공시하도록 제도를 바꿀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는 특정 종목에 CFD 물량이 얼마나 쌓여 있는지 투자자가 알 수 없는 ‘깜깜이 구조’다. 금융위는 이날 CFD에 대해 ‘종목별 매수 잔량 등의 공시 미비’를 제도상 보완 필요사항으로 꼽았다.- 2023년 5월 3일 자 한국경제신문 기사 -요즘 뉴스에서 많이 등장하는 차액결제거래(CFD)라는 장외파생상품의 거래 방식을 바꾸겠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CFD는 경제 공부를 꾸준히 해온 사람들에게도 낯선 개념입니다. 주식을 활용하기는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투자 구조가 훨씬 복잡한 파생상품입니다. 이해하기 어렵다 보니 아무나 투자하기도 어렵습니다.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한 잔액이 5000만원을 넘거나 소득이나 자산이 많은 사람 가운데서 전문투자자 자격을 받은 사람들만 투자할 수 있습니다.CFD는 내가 가진 돈보다 더 많이 주식에 투자한 것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상품입니다. 1000원만 가지고 있어도 2500원어치 주식을 사는 것과 똑같이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수익도 많이 나지만 손실도 2.5배 많이 납니다. 주가가 오르면 적은 돈으로도 큰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주가가 떨어지면 손해가 큽니다.CFD에 투자하면 원금보다 더 많은 돈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주식에 투자할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문학작품 의미 다각도로 생각해 비판점 도출해야
유형2 - 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지난 시간에 논술 유형을 ‘논리에 기초한 논리 공격’과 ‘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 ‘유추를 적용한 문제 추론’으로 나눴는데, 이번에는 두 번째 ‘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을 소개합니다. 물론 비판의 논제 유형이 위의 세 개로만 구분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추 적용과 함의 도출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도 있고(기준제시문이 문학작품인데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 논리에 기반해 한계를 지적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배우고자 하는 것은 비판 유형의 핵심적인 전개 방법이며, 이를 기초로 여러 비판 유형의 문제를 더 깊이 있게 푸는 역량을 키워야 합니다.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 유형은 기준제시문이 문학작품일 때 많이 사용되는 사고방식입니다. 문학작품이 의미하는 바를 얼마나 깊이 읽어낼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예를 들어 <토끼와 거북이> 우화를 바탕으로 ‘협력이 중요하다’는 주장의 한계를 지적한다면 무엇을 생각할 수 있을까요? 비판해야 할 대상을 염두에 두면, 이 우화는 여러 시사점을 줍니다.시사점 : (1)(토끼와 거북이처럼) 사회 구성원 간 속도나 일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2)(토끼와 거북이가 서로 각자의 방식을 수용할 수 없듯) 동등한 협력을 강요하는 것은 오히려 각 구성원에게 부당함으로 다가올 수 있다. (3)(거북이처럼) 경쟁이 동기 부여가 된다. 문학작품의 상징적 의미(혹은 비유나 사례)를 대상제시문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각도로 생각해보고 이것을 글감으로 잡아야 깊이 있는 비판적 사유를 전개할 수 있습니다.아래 실전형 문제를 풀어보
-
디지털 이코노미
천재 창업자 소멸과 넘치는 자본이 낳은 시장은?
돈이 땀보다 귀해졌다. 자본소득이 경제성장률보다 높았다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까지 언급하지 않아도, 누구나 현금보다 주식을 소유하는 것이 부를 증식하는 쉬운 방법이라는 점을 안다. 미국 시장을 기준으로 할 때 좋은 소식은 미국 주식의 절반을 일반 가계가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며, 나쁜 소식은 미국 주식의 89%는 가장 부유한 10%가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창업자의 권력 회복이유야 어떻든, 이런 현상 덕분에 투자할 곳을 찾는 자본이 많아졌다. 그 혜택을 많이 받은 대상 중 하는 스타트업일 것이다. 요즘 기술 스타트업은 자본화가 잘 돼 있어 충분한 자본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시장의 수용성이 높아져 수개월 안에 해당 분야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과거라면 몇 년 혹은 몇십 년 걸릴 일이었다. 이 같은 변화는 창업자의 권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됐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창업자와 자본을 대는 경영진 사이의 긴장감은 대체로 높았다. 원대한 비전을 품은 괴팍한 백인 청년 창업자는 회사 확장을 위해 데려온 나이 들고 노련한 경영자를 이기기 어려웠다. 1985년 스티브 잡스가 괴팍하고 고집스럽고 변덕이 심하다는 이유로 회사에서 쫓겨난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권력은 창업자들에게 돌아왔다.과거에는 세상을 바꿀 아이디어를 가진 천재는 가득하고 자본을 구하기가 어려웠지만, 10년 뒤에는 반대였다. 진정한 천재는 많이 양성되지 못했지만, 이용 가능한 자본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빌 게이츠는 처음으로 창업자가 자기 회사 가치를 1000억달러까지 늘릴 수 있음을 증명했다. 스티브 잡스는 회사에서 쫓겨났지만, 그를 대신했던 스컬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경기침체
[문제] 경기침체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경기침체는 주로 투자보다 저축이 부족해 발생한다.② 경기침체가 나타나면 자연실업률 이상의 실업이 발생한다.③ 중앙은행의 긴축적인 통화정책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④ 스태그플레이션은 자연재해 등이 발생할 때도 나타날 수 있다.⑤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스는 정부 개입으로 유효수요를 늘려 경기침체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해설] 경기침체란 영업활동 저하, 감소한 구매력,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 실업 증가, 재고 누적, 디플레이션, 공장 감축, 공공불안 등의 특징이 드러나는 경제 상황이다. 경기침체는 주로 저축보다 투자가 부족해 발생한다. 중앙은행의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이자율이 상승하면 투자와 소비가 감소해 경기가 침체하기도 하며, 자연재해에 따른 총공급 충격은 총수요 감소에 따른 경기침체와 달리 물가까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케인스는 유효수요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경기침체 시 정부가 지출을 확대해 일자리를 늘려야 하는 등 정부 개입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정답 ①[문제] 외부효과를 내부화하는 사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① 담배 구매자에게 건강세를 부과한다.② 탄소 배출 허가권의 거래를 허용한다.③ 교역 상대국의 수입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한다.④ 독감 예방주사를 맞는 사람에게 보조금을 준다.⑤ 환경 기준을 어기는 생산자에게 벌금을 부과한다.[해설] 외부효과란 한 사람의 행위가 제3자의 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에 대한 보상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일컫는다. 외부효과는 부정적 외부효과와 긍정적 외부효과가 있다. 외부효과가 발생하면 사회
-
테샛 공부합시다
인구 100억명 전망…비관론 vs 낙관론 승자는?
증기기관의 발명에서 시작된 18세기 영국 산업혁명으로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면서 공장 증설과 분업화된 노동으로 생산성이 향상됐습니다. 도시가 산업화하면서 농촌 인구가 도시로 대규모 이동해 도시과밀화가 시작됐죠. 이에 따라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농촌에서 이주한 근로자들의 삶은 열악해졌습니다. 당시 이런 상황을 지켜본 경제학자가 있었습니다. 인류는 결국 빈곤에 빠져바로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입니다. 한 시대에 이름을 남긴 경제학자는 그 당시 상황을 통해 경제 문제를 바라봅니다. 산업혁명으로 물자가 풍족해지기 시작하면서 인류의 삶은 이전과 달라졌죠. 하지만 도시는 대규모 인구 이동을 수용할 능력이 부족했습니다. 맬서스가 보기에 인구는 급격히 늘어나는데 이를 수용할 물질적인 것들이 받쳐주지 못했죠. 즉, 먹고사는 문제였습니다. 특히 맬서스는 식량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였나 봅니다.이런 인식은 1798년 출간된 <인구론>에서 그대로 드러납니다. 앞으로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어나 인류는 과잉인구와 식량부족으로 큰 빈곤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입니다. 이를 ‘맬서스 함정’이라 합니다. 맬서스는 식량은 토지라는 한정된 자원에서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생산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한계생산이 감소하는 ‘수확 체감의 법칙’이 나타난다고 봤지요. 과연 맬서스의 우울한 예측은 맞았을까요? 맬서스의 예측은 틀렸다“덮어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 매우 자극적인 내용이지요? 1960년대 한국의 인구 억제 정책을 위한 표어입니다. 전쟁
-
영어 이야기
flush와 blush는 어떻게 다를까요
Back in 2021 when t he ma rket w a s f lu sh w it h ack in 2021 when the market was f lush with liquidity, the gross merchandise value, or the value iquidity, the gross merchandise value, or the value of goods sold on the platform, was the key valuation f goods sold on the platform, was the key valuation yardstick. But now investors are shifting their focus to ardstick. But now investors are shifting their focus to the profitability of online platforms. he profitability of online platforms.“It won’t be easy to improve profits under the business It won’t be easy to improve profits under the business model of making cold chain-based dawn deliveries odel of making cold chain-based dawn deliveries of fresh food, given the low margin of fresh food and f fresh food, given the low margin of fresh food and the high costs of the cold chain,” said a retail industry he high costs of the cold chain,” said a retail industry official. “The more it sells, the more costs it incurs. Under the The more it sells, the more costs it incurs. Under the current business structure, it seems unlikely to make a urrent business structure, it seems unlikely to make a profit in the near term.”Last year, South Korea’s retail giant Lotte Group ast year, South Korea’s retail giant Lotte Group ceased dawn delivery services for fresh food, two years eased dawn delivery services for fresh food, two years after it jumped into the burgeoning market to challenge fter it jumped into the burgeoning market to challenge Kurly and Softbank-backed Coupang Corp. 시장 유동성이 풍부했던 2021년에는 총 상품 판매 금액, 즉 (온라인 유통) 플랫폼에서 팔린 물건의 총 금액이 온라인 소매업체의 가치를 측정하는 핵심 기준이었다.그러나 이제 투자자들의 관심은 온라인 플랫폼의 수익성, 다시 말해 이윤을 얼마나 내는지로 옮겨가고 있다.“신선식품의 낮은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