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챗GPT, 사람처럼 '마음' 가질 수 있을까
788호 생글생글은 대화하는 인공지능(AI) 챗GPT를 커버스토리로 올렸다. 챗GPT는 ‘햄릿 독후감을 쓰라’는 지시를 글로 입력하면 적절한 분량으로 글을 써내는 능력을 지닌 대화형 AI다. 컴퓨터 코딩도 스스로 하고, 작문 숙제도 대신 해 주고, 변호사 시험에 합격할 정도로 똑똑한 챗GPT가 낳을 문제점을 지적했다. AI가 인간처럼 의식 또는 마음을 가질 수 있는지도 다뤘다.
-
커버스토리
이 글은 누가 썼을까? 챗GPT인가, 사람인가
[챗GPT는 오픈AI에서 훈련한 큰 언어 모델입니다. 사람이 문장을 입력하면, 챗GPT는 적절한 대답을 생성합니다. 이것은 인공지능 기술의 일종으로, 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대답할 수 있습니다.]위 문장은 사람이 직접 쓴 것일까요? 아니면 기계가 쓴 것일까요? ‘챗GPT(Cha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가 무엇인지를 중학생과 고등학생용으로 써달라’는 사람의 글을 읽고 ‘대규모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가 생성해낸 답입니다. 문장만 보면 쓴 주체가 기계인지, 사람인지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영어로는 더 완벽한 문장을 구사합니다.지구촌이 챗GPT 열기로 뜨겁습니다. 페이스북, 넷플릭스보다 빠른 속도로 가입자가 늘고 있습니다. 나온 지 두 달 만에 3억 명을 넘었죠. 챗GPT는 키워드를 입력해 검색하는 구글형 서비스를 구식으로 만들어버렸습니다. 키워드가 아니라 글로 질문하면 맞춤형 문장으로 정리한 답을 제시합니다. 특정 주제로 논문을 쓰고, 소설을 쓰고, 컴퓨터 코딩을 짜고, 미국 변호사시험에 합격할 정도입니다.모든 것은 진화한다고 했습니다. 인공지능도 예외가 아닙니다. 생물이 단세포에서 다세포로 진화했듯이 인공지능도 그러합니다. 찰스 다윈은 진화를 촉진하는 것은 경쟁이라고 말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구글을 꺾기 위해 챗GPT를 내놓자 구글도 곧 경쟁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뜨거운 이슈, 챗GPT를 알아봅시다. 세계가 깜짝 놀란 챗GPT 서비스…1분도 안 걸려 햄릿 독후감 써요챗GPT가 지구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인공지능(AI) 중에서 가장 똑똑하다는 평가를 받는 놀라운 녀석입니다. 키워드로 하는 검색은 이제 구식입니다. 질문을 글로 쓰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788)
-
생글기자
벗었다 썼다 번거로운 실내 마스크 규정
지난 1월 30일부터 대중교통과 병원 등 의료시설을 제외한 대부분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됐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2020년 10월 처음 시행된 지 2년3개월 만이다.이후 많은 사람이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벗고 생활하고 있다. 학원, 영화관, 미술관 등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마스크를 벗은 사람들은 오랜만에 답답함에서 벗어나 해방감을 느낀다고 한다.마스크를 계속 쓰고 다니는 사람도 적지 않다. 주변에 코로나 확진자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이 쓰고 있으니 왠지 눈치가 보여 쓰기도 한다. 워낙 오랫동안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까지 마스크를 쓴 탓에 습관적으로 착용한다는 사람도 있다.원칙적으로는 실내 마스크 의무가 해제됐지만, 마스크를 반드시 써야 하는 곳도 있다.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과 병원 약국 등 의료시설이 대표적이다. 스쿨버스, 학원 버스 등 통학 차량에서도 마스크를 써야 한다. 대형마트에서는 마스크를 안 써도 되지만 마트 내 약국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의무다. 졸업식, 입학식 등 인파가 몰리는 곳에서도 마스크 착용을 권고한다. 그러다 보니 썼다 벗었다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마스크를 그냥 쓰고 다닌다는 사람도 많다.마스크를 벗는 날을 기다려왔지만 어느새 마스크 착용은 습관이 돼버렸다. 많은 사람이 여러 가지 이유로 여전히 마스크를 쓴다. 우리는 아직 마스크에서 온전히 해방되지 않았다.진찬호 생글기자(금오중 2학년)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선생님 감사합니다”…한복 입고 졸업식
지난 7일 서울 대조동 동명여고에서 열린 100회 졸업식 및 성년례(成年禮)에서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졸업생들이 큰절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높아지는 무역 장벽과 수출 한국의 미래는?
○페트로 달러(Petro Dollar)=석유 수출국이 보유한 오일 딜러를 의미한다. 미국 달러화가 기축통화로 자리 잡은 결정적 계기는 원유 결제는 오직 달러로만 한다는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약속에서 비롯됐다. 1974년 석유 파동이 터지자 사우디와 미국은 페트로 달러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협력을 통해 사우디는 미국에 국가 안보를 보장받고 미국은 세계에서 달러의 지위를 더욱 높일 수 있었다.○산타 랠리(Santa Rally)와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산타 랠리란 연말에 보너스가 집중되고 소비가 늘어나면서 기업의 매출이 증대돼 크리스마스를 전후한 연말과 신년 초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현상을 일컫는다. 어닝 서프라이즈란 시장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 깜짝 실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때는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파킨슨 법칙(Parkinson’s Law)=영국의 경영 연구가 시릴 파킨슨이 현대의 관료사회를 풍자하며 제창한 법칙이다. “공무원이 상급으로 출세하기 위해서는 부하를 늘릴 필요가 있으므로 공무원은 일의 유무나 경중과 관계없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한다”며 공무원 조직을 비판했다. 공무원과 그 조직은 사업 규모에 관계없이 늘어나며, 세금 등 수입이 있는 한 규모가 커지는 점을 파킨슨은 지적했다.○그린메일(GreenMail)=투기성 자본이 경영권이 취약한 기업의 지분을 매집한 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을 교체하겠다고 위협하거나 대주주에게 인수합병(M&A) 포기의 대가로 높은 가격에 지분을 되사줄 것을 요구하는 행위다. 대주주에게 초록색인 미국 달러화를 요구하는 편지를 보낸다는 점에서 그린메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인플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도덕적 해이
[문제] 도덕적 해이에 해당하지 않는 사례는?① 정해진 급여를 지급한 후, 일부 직원이 태만하게 근무한다.② 팀별 발표의 경우, 팀 구성원 중 일부는 발표 준비를 게을리한다.③ 에어백을 설치한 자동차의 운전자는 설치 이전보다 부주의하게 운전한다.④ 화재보험에 가입한 사람은 가입 이전보다 화재방지 노력을 게을리한다.⑤ 보험시장에서 평균 보험료를 제시하면 사고를 낼 확률이 높은 사람이 가입한다.[해설] 도덕적 해이란 감춰진 행동의 상황에서 어떤 계약이나 거래가 이뤄진 이후 정보를 가진 측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는 현상을 뜻한다. 감춰진 행동이란 거래(계약) 이후 거래당사자 중 한쪽의 행동을 상대방이 관찰할 수 없는 상황이다. 팀 구성원이 발표 준비를 게을리하는 것, 에어백 설치 이후 운전자 부주의하게 운전하는 것, 화재보험 가입 후 화재 방지 노력을 게을리하는 것, 급여를 받은 뒤 직원들이 근무를 태만하게 하는 것 모두 계약이나 거래가 이뤄진 이후 도덕적 해이를 보여주는 예다. 정답 ⑤[문제] 총수요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① 이자율이 상승하면, 총수요도 증가한다.② 총수요는 이자율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③ 총수요의 변동을 가져오는 주요 원인은 소비보다 투자에 있다.④ 화폐의 중립성이 성립한다면, 통화량의 증가가 총수요의 증가를 가져온다.⑤ 한 국가에서 생산한 상품의 총수요는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입의 합이다.[해설] 한 경제체제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이 구입하고자 하는 재화의 양을 총수요라 한다. 즉, 소비(C), 투자(I), 정부지출(G), 순수출(X-M)의 합이다. 총수요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다른 변수보다 안정적이다. 반면, 총
-
대학 생글이 통신
국어 독서영역 공부할 때 이것만은 하지 마세요
‘성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이 충족돼야 하고, 하나라도 충족되지 못할 경우 실패한다’는 안나 카레니나 법칙처럼,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공부 방법은 모두 비슷하지만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 친구들에게는 제각기 독창적인 공부 습관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어 독서영역을 공부할 때 지양해야 할 습관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지문 대충 읽기국어 시험 독서영역을 통해 평가하려는 요소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대학교에 가서 전공 책을 읽고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지입니다. 문제는 이해력을 측정하는 도구일 뿐이죠.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 친구 중에는 지문을 날림으로 읽고 문제에 시간을 더 투자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문제는 지문을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지문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선 당연히 문제가 풀리지 않죠.충분한 시간을 들여 지문을 꼼꼼히 읽고 완벽히 이해한 뒤 문제를 풀어보면 어떨까요? 이렇게 했는데 전체 시간이 부족하다면 차라리 가장 어려워 보이는 독서 지문 하나를 버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보통 독서 제재 중에서는 과학, 기술, 경제가 어렵다는 평가를 많이 받습니다. 평소에 문제를 풀 때 시간이 촉박하다면 이 세 제재의 지문은 가장 나중에 푸는 것이 좋습니다.# 표시에 집착하기몇몇 친구의 모의고사 시험지를 보면, 거의 선생님 판서처럼 도형이 가득하고 지문의 모든 문장에 밑줄이 그어져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지문 읽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 방식을 유지해도 좋습니다. 하지만 저는 굳이 그렇게 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선생님들이 화려한 표시를 사용하는 이유는 학생들에게 설명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럼 학생들은 무엇을 위해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