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개화세력은 일본을 조선 발전의 모델로 선택…문명개화·자주독립 명분으로 군사정변 시도
전근대 한국은 내부 모순이 폭발 직전까지 축적됐어도 혁명을 유발할 요인은 부족했다. 기존 질서를 무너뜨릴 능력을 갖춘 자연 재앙과 외부 침략이 거의 없었다. 구성원들이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조직적으로 힘을 행사할 수 있는 도시는 부족했고, 혈연 중심의 향촌 공동체로 구성됐다. 특히 조선은 체제 유지를 절대가치로 표방한 성리학과 모든 권력을 그물망처럼 장악한 유림 집단 때문에 혁명의 발생 자체가 불가능했다. 그런데 근대로 들어오는 개화기의 제2단계 과정에 갑신정변이 일어났다. 훗날 혁명의 중심 역할을 담당한 임시정부는 이 정변을 ‘갑신혁명당의 난’으로 정의하면서 ‘혁명’으로 평가했다.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지금 종로의 조계사 옆인 우정국의 낙성식 축하연장에서 불길이 치솟았다. 소수 개화당원이 ‘문명개화’라는 시대적 요청과 ‘자주독립’을 명분으로 군사정변을 시도한 것이다. 새로운 세계의 탄생을 선언하고, 강령 등 실천 방법까지 선포한 갑신정변은 청나라의 군사력에 패배해 ‘삼일천하’로 끝났다. 주도자들과 참여자들은 살해, 망명, 처형, 투옥, 유배를 당하고, 가족은 노비로 전락했다. 무려 500~600여 명이 참혹하게 희생당한 사건이다.역사학자로서 궁금하고, 한 인간으로서 의아한 생각이 든다. 그들은 왜, 무엇을 위해 실패 위험성과 가족의 희생을 무릅쓰면서 ‘정변’을 계획했을까. 어떻게 학습하고 이론을 확립하고, 세력을 규합하며 훈련했을까. 왜 미숙했다고 비판받은 방식으로 추진하고 참혹한 실패를 겪었을까.먼저 그들에게 혁명의 필요성을 자각시킨 조선의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선은 2번
-
영어 이야기
경제적인 어려움을 느낄땐 'feel the pinch'
Inflation has hit almost every corner of the real economy in South Korea and the country’s popular summer dessert bingsu is no exception, with its price set to rise about 30% on-year this year.Bingsu, sometimes written bingsoo, is a milk-based Korean-style shaved ice dessert with various sweet toppings like diced fruit, condensed syrup, red beans and ice cream. It is very popular on the peninsula, especially in summer.The retail industry expects that the higher price tags of bingsu will not stop consumers’ love for the ice dessert as some people are willing to luxuriate their life with little things, while cutting back their spending in general after feeling the pinch of inflation.The Korean-style shaved sweet ice dessert has for years been picked as one of the must-eat foods by foreigners traveling to Korea.인플레이션은 한국 실물경제 곳곳에 충격을 줬고, 한국에서 인기있는 여름 디저트 빙수도 예외는 아니다. 올해 빙수 가격은 약 30% 인상될 예정이다.영어로 bingsoo라고도 표기되는 빙수는 간 얼음에 우유를 넣고 그 위에 잘게 썬 과일, 연유, 팥, 아이스크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달콤한 토핑을 얹은 한국식 디저트로, 특히 여름에 인기가 많다.유통업계에서는 빙수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의 빙수 사랑을 막지 못할 것으로 예상한다.인플레이션 충격으로 소비자들은 전반적인 지출을 줄이지만 소소한 것으로 사치를 부리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한국식 빙수는 수년째 한국을 여행하는 외국인들이 꼭 먹어봐야 하는 음식 중 하나로 꼽혔다.해설빙수는 우리나라에서 인기있는 여름 간식이죠. 인플레이션으로 경제 전반에 걸쳐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는데요. 일부 고급 식당에서 올해 빙수 가격을 급격히 올릴 예정이라는 기사의 일부입니다.‘어려움을 느끼다’라는 의미로 예문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799)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19년 전 발표한 첫 장편소설에 세계가 관심
천명관 작가의 장편소설 <고래>가 2023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최종후보(쇼트리스트) 여섯 편에 올랐다. 맨부커상이 부커상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한국 작품이 이 부문 최종후보에 네 번째 선정됐다. 2016년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가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받았으며 이후 한강의 다른 소설 <흰>, 정보라의 소설집 <저주토끼>가 최종후보까지 진출했다.5월 23일 <고래>가 두 번째 수상작이 될지, 관심이 폭증하고 있다. 부커상 최종후보에 오르기만 해도 세계적인 관심 속에서 판권 계약이 줄을 잇는데, 이미 국내외에서 <고래>가 유영하기 시작했다.<고래>는 2004년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으로 천명관 작가의 첫 장편소설이다. 처음으로 쓴 작품이 노벨문학상, 프랑스 공쿠르상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부커상 후보에 올랐다니 놀라울 따름이다.부커상 심사위원회는 <고래>에 대해 “이런 소설은 없었다. 읽어보길 추천한다. 에너지에 휩쓸린다. 캐릭터는 비현실적이지만 있을 법한 이야기다. 착한 캐릭터는 아니지만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이 있다”며 아래와 같이 부연설명했다. “사악한 유머로 가득 찬 소설, 유머와 무질서로 전통적 스타일을 전복하는 문학 양식인 카니발레스크(Carnivalesque) 동화. 한국의 풍경과 역사를 관통하는 피카레스크(picaresque·악인이 주인공인 소설)식 탐구. 생생한 인물들은 어리석지만 현명하고, 끔찍하지만 사랑스럽다.”이상야릇하면서 독특한 이야기출간 19년 만에 <고래>가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다는 뉴스를 접한 독자들은 부커상 심사위원들의 평에 고개를 끄덕이며 ‘최종후보에 오를 만한 작품을 찾아낸 안목&r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1+(-1)+1+(-1)+ … 의 값은 0.5일까?
만일 누군가 위의 급수에 대해 ‘짝수 항까지만 더하면 1-1+1-1+ … +1-1=0이고, 홀수 항까지만 더하면 1-1+1-1+ … +1=1이므로 이 급수의 값은 두 합의 평균인 0.5다’라고 주장한다면 어떨까? 이렇게 무한과 관련해 오개념이나 혼란을 경험하게 되는 이유는, 유한에서 성립하는 연산법칙(결합법칙)을 무한에 적용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극한의 개념이 정립되기 전에는 수학자들 사이에서도 이렇게 급수의 수렴, 발산과 관련해 논란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수리논술에서도 급수의 수렴 판단에 대한 논리적 추론 문제가 자주 출제되므로 미적분에서 배운 급수의 개념을 올바르게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자.포인트급수에서 덧셈기호 + 는 형식적인 기호임을 유의한다. 즉, 유한개의 합에서 성립하는 연산법칙을 적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S=1+(-1)+1+(-1)+1+(-1)+ …-S=(-1)+1+(-1)+1+(-1)+ …두 식을 빼면 2S=1이므로 S=0.5또는 결합법칙을 적용하면1+(-1)}+1+(-1)}+1+(-1)}+ … =01+1+(-1)}+1+(-1)}+1+(-1)}+ … =1이처럼 모순적인 결과를 얻은 이유는 유한에서 성립하는 성질을 무한에서 무리하게 사용했기 때문이다.
-
2022학년도 대입 전략
최근 3년 경찰대 경쟁률 80~90대 1 수준 유지, 1차 통과가 관건…문제형태·난이도 수능과 유사
경찰대와 육군, 해군, 공군, 국군간호사관학교는 수시·정시 지원 횟수 제한을 받지 않고 추가로 지원할 수 있는 특수대학이다. 다른 대학 입학을 원할 경우 등록 포기도 자유로운 편이다. 대입에서 한 번의 기회가 더 있는 셈이다. 2024학년도 경찰대 및 사관학교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경찰대·사관학교 총 875명 선발…경찰대 지난해 경쟁률 87.4 대 1경찰대와 사관학교는 1차 시험을 필수로 치르는데, 시험 날짜가 동일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다섯 곳 중 한 곳만 지원이 가능하다. 올해는 7월 29일(토)에 1차 시험을 치른다. 본인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해 한 곳을 집중적으로 준비하기를 권한다.올해 입시 일정을 살펴보면, 경찰대가 5월 19일(금)~29일(월) 일반전형 원서를 접수해 시작이 빠르다. 사관학교는 6월 16일(금)에서 26일(월) 사이 학교별로 지원할 수 있다. 7월 29일(토) 1차 시험에 이어 8~12월 학교별로 체력평가, 면접 등 2차 시험을 진행한다. 사관학교 우선선발은 11월 2일(목)~10일(금) 학교별로 합격자를 발표한다. 경찰대와 사관학교 종합선발은 12월 중반 합격자 발표가 이뤄진다.모집 인원은 육군사관학교가 330명(남 288명·여 42명)으로 가장 많고, 공군사관학교 235명(남 199명·여 36명), 해군사관학교 170명(남 144명·여 26명), 국군간호사관학교 90명(남 14명·여 76명) 순으로 많다. 4개 사관학교 합계로 보면 남녀 선발 비중은 각각 78.2%(645명), 21.8%(180명)로 집계된다. 경찰대는 남녀 구분 없이 50명을 선발한다.경찰대, 사관학교는 매해 경쟁률이 높게 형성된다. 경찰대는 2021학년도 84.7 대 1, 2022학년도 92.4 대 1, 2023학년도 87.4 대 1을 기록하는 등 최근 3년 내내 80~90 대 1의 높은 경쟁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교과 지식에 어긋나도 부끄럽지 않은 이유는?
<용해도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용매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으로, 보통 용매 100g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질량이다. 혼합물의 과포화 상태는 용질이 용해도 이상으로 녹아 있는 상태인데, 과포화 상태의 혼합물은 포화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결정화는 포화 상태의 혼합물이 과포화 상태가 되어 용질이 고체 입자로 석출되는 것으로 결정화 공정을 거치면 입도*가 작은 고체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결정화 공정은 약물의 생체 흡수율을 높여야 하는 제약 분야 등에서 사용된다.* 입도 : 입자 하나하나의 평균 지름.>14.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④ 과포화 상태의 혼합물이 포화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으로 인해 용질이 석출된다.- 2023학년도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용해도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용매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 과포화 상태는 용질이 용해도 이상으로 녹아 있는 상태철수 쌤은 과학 용어를 접할 때 버릇이 하나 있다. 전제조건을 이해하는데 무척 신경쓰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키가 크다 작다 할 때도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 대상이 되는 사람을 같은 거리에 두고 키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로 ‘같은 거리’가 키를 비교할 때 전제조건이 된다. 지문에서는 ‘일정한 온도’ ‘일정한 양의 용매’가 용해도를 비교할 때 전제조건이다. 전제조건에 신경써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판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키가 커도 나와 멀리 떨어져 있으며 작게 보이고, 작아도 나와 가까이 있으면 커 보이지 않는가? 지문에서 말하는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도 온도와
-
생글기자
19기 생글기자에 도전하세요!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국내 최고의 중·고교생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생각하고 글쓰기)’이 고등학생 19기, 중학생 12기 ‘생글기자’를 모집합니다. 미래 인재의 꿈을 키우는 학생 여러분의 많은 지원을 기대합니다. 내가 쓴 글, 전국 학교·도서관 배달돼생글기자는 자신의 학교와 지역 소식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 사회,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기사를 써 생글생글에 게재할 수 있습니다. 1200자 분량(띄어쓰기 포함)의 글을 써 보내면 한경은 생글기자의 이름, 사진, 소속 학교 등과 함께 지면에 싣습니다. 자신이 쓴 글이 생글생글을 통해 전국 중·고교와 지역 도서관 등으로 배달되는 것입니다. 생글기자에 선발돼 그런 최고의 경험을 해 보세요.생글기자 활동은 생각하는 힘과 글 쓰는 실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어떤 진로를 선택하든 다양한 이슈에 대해 생각해보고 글을 쓰는 습관은 미래 인재의 필수 소양입니다. 생글생글 편집진의 첨삭 등 철저한 글쓰기 관리로 활동을 마칠 때쯤 글쓰기 실력이 눈에 띄게 향상된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고력 확장과 대입정보 획득도 강점생글기자 활동은 국내 최고 경제종합신문인 한국경제신문의 경제교육연구소가 이끌어줍니다. 다른 매체들이 형식적으로 진행하는 학생기자 활동과 비교하기 힘든 강점입니다.생글기자를 거쳐 대학과 사회에 진출한 ‘한경 생글기자 동문’ 선배가 1000명이 넘습니다. 주요 명문대학, 다양한 학과에 재학 중인 생글기자 선배들이 여러분의 학업과 진학, 진로 탐색을 도와줄 겁니다. 생글기자 선후배 간 멘토·멘티 활동, 대입 및 고교 입시 정보 교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