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대학 과목 선이수제, 한국서도 활용할 수 있어야

    지난달 6일부터 2주 동안 미국의 2만여 고교와 더불어 민사고, 외대부고, 청심국제고 등 국내 76개 고교 시험장에서 미국 AP(Advanced Placement, 대학 과목 선이수제) 시험을 실시했다. AP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이 1년간의 수강을 마무리하고 학점을 인정받기 위한 최종 시험을 각자의 학교에서 치른 것이다.AP는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컬리지보드의 표준화된 교육과정이다. 미국의 대다수 고교는 대학 과정 수강 기회인 AP 과정을 운영하며, 2022년 기준으로 미국 고등학생의 34.6%가 한 과목 이상을 수강했다. 현재 36개 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영어학(52만 명 수강), 미국사 (45만 명 수강), 영문학 (31만 명 수강), 세계사(30만 명 수강)가 대표 과목이다. 한국 학생들에게는 미적분학과 컴퓨터과학 과목도 인기가 많다.1년간의 과정을 잘 이수하고 5월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으면 세계 유수 대학 입시에 큰 도움이 된다. 대학 진학 후에도 이수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학업 기간 단축으로 학비를 절약하거나,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에 좀 더 쉽게 도전할 수 있다. 무엇보다 대학 1학년 과목을 미리 경험해봄으로써 학생 스스로 본인의 지적 호기심과 적성에 대해 고민하고 전공 방향성을 잡아가는 소중한 기회로 삼을 수 있다.해외에서는 학생들이 대학교 학문을 준비하는 것(College Readiness)이 고등학교의 목표이고, 개별 학생 수준에 맞는 학습을 중시하기 때문에 AP와 같은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학생들이 각자의 관심사와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최선호 생글기자(청심국제고 3학년)

  • 대학 생글이 통신

    정확한 발음연습, 외국어 구사능력 키워

    언어학에서 외국어의 발음은 대개 언어능력(linguistic competence)이 아닌 언어수행(linguistic performance)으로 봅니다. 발음이 유창하지 않더라도 언어능력은 뛰어날 수 있기에 발음에 과하게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발음이 중요하지 않다는 뜻은 아닙니다. 발음을 통해 우리는 ‘언어의 중추’라고 불리는 브로카 영역과 그 밖의 다른 뇌 영역들을 연결시키는 학습을 할 수 있고, 언어마다 어떤 단위로 분절해 이해하고 산출할지 전략을 세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영어의 경우 정확한 음절의 변별보다 강세에 의한 변별이 더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발음 자체는 좋지 않더라도 강세에 대한 이해는 꼭 필요합니다. 영어를 일정한 톤으로 아무런 속도 변화나 휴지(pause) 없이 읽는 사람이라면 강세와 그 구분을 더 중시해야 합니다. 이는 영어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는지, 적절하게 영단어와 영문장을 분석하고 있는지 등을 나타내주기 때문입니다.신경해부학적으로 사람은 암기와 관련된 학습을 하거나 언어 관련 활동을 할 때 Lt. VL PFC(좌 복측 전전두피질)의 음운 루프에서 내적 암송을 진행합니다. 내적 암송이 빠른 사람은 일반적으로 암기하는 속도가 빠릅니다. 실제 말하기 속도와 내적 암송 속도도 상당 부분 일치합니다. 따라서 영어 발음 학습은 단순히 더 멋있는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라기보다 뇌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자극 입력 과정이라고 여길 필요가 있습니다.이런 발음 학습을 하기 위해선 어떤 방법이 효율적일까요? 저는 영어로 된 영화를 보며 영어 자막을 켜놓습니다. 한 문장 단위로 멈춘 뒤 그대로 따라 하고, 이후에는 원서를 소리 내 읽는 과정을 수없이 반

  • 시사·교양 기타

    고전 속 숨은 경제이야기

    주니어 생글생글 제115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한국 고전 문학에 담긴 우리 선조들의 경제 활동입니다. <양반전> <흥부전> <전우치전> 등 조선 중·후기에 정리된 이들 고전 소설은 중·고등학생 필수 도서입니다. 우리 선조들의 생활 양식과 시대상을 잘 담고 있습니다. ‘독점’과 ‘상속’ 등 소설 속에 나온 경제 개념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주 꿈을 이룬 사람들의 주인공은 대학도 다니지도 않고 혼자서 건축 공부를 한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다다오입니다. 그의 삶과 건축 세계를 들여다봅니다.

  • 20기 생글기자에 도전하세요

    복잡한 연산과 검색 실행, 해답을 찾는 일은 인공지능(AI)에 맡겨도 되는 시대입니다. 인간은 무엇에 주목하고 AI에 어떻게 묻고 활용할지에 집중해야 합니다. 책 속 활자에서 얻을 수 없는 경험에 도전하고 자신의 머리로 사고하는 법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국내 최고 청소년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생각하고 글쓰기)의 ‘생글기자’는 그런 자질을 키워주는 훌륭한 플랫폼입니다.한국경제신문이 올해 생글기자 고등학생 20기, 중학생 13기를 모집합니다. 생글기자는 학교 및 지역 소식뿐 아니라 국내외 경제, 사회,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주제로 기사를 작성해 생글생글에 실을 수 있습니다. 생글생글은 매주 월요일 13만여 부가 발행돼 전국 1400여 학교와 도서관 등에 배달됩니다.생글기자 출신 동문은 총 1341명에 이릅니다. 서울대, 의대·치대·한의대 등 국내외 명문대에 진학한 사람만 전체의 40%가 넘습니다. 이들 생글기자 선배가 여러분의 진로 탐색과 학업, 진학 정보에 도움을 주는 멘토로도 활동합니다. 많은 지원 바랍니다.● 지원 자격: 전국 중·고교생 누구나● 모집 인원: OO명● 원서 접수: 6월 1일(토)~6월 29일(토)● 접수 방법: 생글생글 홈피(sgsg.hankyung.com)에서 지원서 내려받아 작성한 뒤 이메일(nie@hankyung.com)로 발송-증명사진(jpg 파일) 첨부, 휴대폰 번호 및 이메일은 본인 것 한정● 합격자 발표: 7월 8일(월) 생글생글 지면 및 홈페이지● 기타: 7월 말 선발자 대상 오리엔테이션 예정. 추후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 (02)360-4053

  • 커버스토리

    쪼그라드는 중산층?…과연 사실일까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 ‘한국의 중산층은 누구인가’가 요즘 화제입니다. 중산층은 항상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인데요, 이 보고서는 중산층 기반이 흔들린다는 통념과 달리 중산층 비중이 유지 또는 확대됐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서입니다. 민감하게 해석될 여지가 있어 지난 1월에 낸 보고서를 총선이 지난 이달 초 공개했다는 점도 눈길을 끌었습니다.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중산층 분류(중간소득의 75~200%)를 적용할 경우, 2011년 51.9%였던 국내 중산층 인구 비중은 10년 뒤인 2021년 57.8%로 늘어났습니다. 이는 공적 이전소득을 포함해 실제로 각 가구가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삼은 겁니다. 코로나19 사태 때 정부 지원금이 많이 풀린 영향이 없지 않겠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중산층 비중은 소폭이나마 증가했습니다.그럼에도 “중산층이 무너지고 있다” “소득불평등이 악화하고 있다”라는 얘기는 왜 자꾸 나오는 걸까요? 서구 선진국 중에서도 중산층이 줄고 있다는 통계를 발표하고, 국내 집값 상승 등 자산소득의 증가세가 근로소득 증가세를 압도하던 기억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KDI 보고서가 주목을 끄는 것은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낮게 평가하는 고소득층의 소득 여건이 악화되면서 ‘중산층 위기론’이 싹텄을 수 있다는 진단입니다. 중산층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됐고 왜 중요한지, 과연 국내에서 중산층이 감소하고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는지 등을 4·5면에서 살펴봤습니다.중산층은 사회적 평등과 안정의 척도소득만 따지는 한국 수준 돌아봐야죠중산층은 계급적 분류는 아닙니다. 생산수단의 소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畏首畏尾 (외수외미)

    ▶ 한자풀이 畏: 두려워할 외  首: 머리 수  畏: 두려워할 외  尾: 꼬리 미목을 움츠리고 꼬리를 사리다남이 아는 것을 아주 두려워함         - <춘추좌씨전>춘추시대에 진(晉)나라와 초(楚)나라는 서로 패권을 다투면서 주변의 약소국들을 위협했다. 기원전 610년에 진나라 영공(靈公)이 소국들을 소집했는데, 정(鄭)나라는 이웃한 초나라의 눈치를 보느라 참석하지 못했다. 이에 진나라는 정나라가 초나라 편에 설 것이라 판단하고 정나라를 공격할 채비를 했다. 이 소식을 접한 정나라의 공자 가(家)는 진나라의 대신 조돈(趙盾)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우리 군주는 그동안 귀국의 군주를 잘 섬겨왔으나 지금 귀국에서는 ‘너희는 아직 내 마음에 차지 않는다’라고 말하고 있으니, 우리나라는 이제 망할 일만 남았습니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머리가 어찌 될까 두려워하고 꼬리가 어찌 될까 두려워한다면, 온몸에 걱정스럽지 않은 곳이 어디 있겠는가(畏首畏尾 身其餘幾)’라고 했고, 또 ‘사슴은 죽을 때 소리를 고르지 않는다’라는 말도 있습니다. 소국이 대국을 섬김에 대국에서 덕을 베풀면 소국이 도리를 지키지만, 덕을 베풀지 않으면 사슴처럼 되고 맙니다. 쇠몽둥이에 맞아 험한 곳으로 도망치느라 다급한 마당에 고운 소리를 낼 겨를이 어디 있겠습니까?”공자가 편찬한 것으로 전해지는 <춘추>의 대표적 주석서 중 하나인 <춘추좌씨전>에 전해오는 이야기다.정나라는 지금까지 진나라를 잘 섬겨왔지만 지나치게 핍박당하면 하는 수 없이 초나라에 의탁해 진나라에 맞설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에 진나라는 정

  • 영어 이야기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공매도는 'short selling'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said it has uncovered 211.2 billion won of naked short sales of Korea-listed stocks by nine global banks between 2021 and 2023. Of the total, Credit Suisse and Nomura made up more than half at 116.8 billion won.The regulator said the nine foreign banks shorted 164 stocks listed in South Korea, without first borrowing them. The stocks include those of Hotel Shilla Co. and Kakao Corp.The total sum of penalties to be slapped on the nine banks will likely surpass 100 billion won,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The penalty for illegal short selling varies, depending on the intentionality of the order, the value of illegal transactions and profits they took from the trade, and the rate of order execution,” said a senior FSS official. “In principle, they can be fined up to 100% of the illegal transaction amount.”금융감독원은 외국 은행 9곳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 상장 주식 2112억원 규모를 무차입 공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크레디트스위스와 노무라가 1168억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금감원은 9개 외국 은행이 호텔신라와 카카오를 비롯한 한국에 상장된 164개 종목을 먼저 차입하지 않고 공매도했다고 밝혔다.업계에선 금감원의 조사가 마무리되면 외국 은행 9곳에 부과될 총 과징금 규모가 1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불법 공매도 과징금은 주문의 고의성을 비롯해 위반 금액 규모, 위반을 통한 이득 규모, 주문 체결률 등에 따라 달라진다”며 “원칙적으로 위반 금액의 최대 100%까지 과징금을 물릴 수 있다”고 말했다.해설회사의 경영 상태가 나빠지면 주식 투자자들은 그 회사 주식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주가가 떨어질 때 시세차익을 얻을 목적으로 하는 주식 거래

  • 생글기자

    존엄사 허용, 입법화 논의 필요하다

    존엄사가 국내에서는 입법화되지 않아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기 위해 스위스로 가서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이 있다. 현재의 의료기술로는 살아날 가망이 없거나 통증이 극심한 경우 존엄사를 택하는데, 그것도 존엄사를 허용하는 외국으로 나가야 하는 것이다.2021년 서울대 윤영호 교수팀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안락사, 조력사에 대한 찬성 비율이 73.6%에 달했다. 이는 본인의 의지에 따라 죽음을 선택할 권리에 대해 우리 사회가 예전보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얘기다. 인간이 출생을 스스로 선택할 순 없지만, 불치병으로 고통받는 사람에게 인간답게 죽을 권리를 택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은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 법률은 죽음에 직면한 임종 말기의 사람에 대해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하지 않는 것만 허용하고 있다.불치병, 난치병 등으로 건강이 호전되길 기대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치료를 강제하는 것은 인간의 존엄을 해치는 행위다. 자신의 확고한 의지로 존엄사를 택하는 것은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행복추구권의 하나로 존중해야 한다. 물론 존엄사가 생명윤리와 충돌할 수 있다. 그러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사회질서 유지 등에 반하지 않는다면 존엄사를 선택하는 자기결정권과 삶의 가치관은 보장받아야 한다.경제적 곤궁 등 현실의 고통이 두려워 존엄사를 우회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사회적 돌봄시스템을 충분히 갖춘 이후 존엄사를 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존엄사를 인정할 수 있는 확실한 기준에 대해 충분한 사회적 합의도 필요한 시점이다.윤상규 생글기자(대일고 1학년)